북, 한미 공중정찰 등에 “공세적 대응할 것” 위협

입력 2024.05.26 (11:04) 수정 2024.05.26 (11: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를 하루 앞둔 오늘(26일) 한미 공중 정찰과 한국 해군·해양경찰의 기동 순찰로 자위권을 침해당하고 있다며 군사적 대응을 시사했습니다.

김강일 북한 국방성 부상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배포한 담화에서 “지난 24일 우리 군사 최고지도부가 이상과 같은 국가 주권에 대한 적들의 도발적인 행동에 공세적인 대응을 가하라고 지적했다”며 “국가의 주권과 안전 이익이 침해당할 때 우리는 즉시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최근 한미 공중 정찰 수단이 정탐 행위를 노골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며 “지금도 미국과 한국괴뢰 공군은 (중략) 전시 상황을 능가하는 수준으로 공중 정탐 행위를 감행”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한국 해군·해양경찰의 기동 순찰로 인해 북한이 주장하는 해상국경선을 침범하는 빈도가 잦아지고 있다며 “해상주권이 계속 침해당하는 것을 수수방관할 수 없으며 어느 순간에 수상에서든 수중에서든 자위력을 행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정식 경고”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대북단체들이 드론 등을 이용해 대북전단(삐라)을 살포하는 것에 대해서도 맞대응하겠다며 “수많은 휴지장과 오물짝들이 곧 한국국경 지역과 중심 지역에 살포될 것”이라고 반발했습니다.

김 부상 담화에서 언급된 ‘24일 군사 최고지도부 지적’은 그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주재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20차 정치국 회의에서 이뤄진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보고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조선중앙통신은 당시 정치국 회의에서 “최근 조성되고 있는 군사정세에 관한 조선인민군 총참모부의 종합적인 보고를 청취했다”며 “국가의 주권과 안전 이익을 믿음직하게 수호하기 위한 공화국 무력의 당면한 군사활동 과업이 제시되고 그를 책임적으로 수행할 데 대한 지적이 있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북한이 담화를 통해 군 총참모부 보고를 다시 상기시킨 점을 감안하면 북한의 지상·해상 도발 가능성과 함께 그동안 발사 준비를 지속해 온 군사정찰위성 도발이 임박했을 가능성도 거론됩니다.

군은 최근 서해위성발사장이 있는 동창리 일대에서 정찰위성 2호기 발사를 준비 중인 정황을 식별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 한미 공중정찰 등에 “공세적 대응할 것” 위협
    • 입력 2024-05-26 11:04:56
    • 수정2024-05-26 11:11:53
    정치
북한이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를 하루 앞둔 오늘(26일) 한미 공중 정찰과 한국 해군·해양경찰의 기동 순찰로 자위권을 침해당하고 있다며 군사적 대응을 시사했습니다.

김강일 북한 국방성 부상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배포한 담화에서 “지난 24일 우리 군사 최고지도부가 이상과 같은 국가 주권에 대한 적들의 도발적인 행동에 공세적인 대응을 가하라고 지적했다”며 “국가의 주권과 안전 이익이 침해당할 때 우리는 즉시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최근 한미 공중 정찰 수단이 정탐 행위를 노골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며 “지금도 미국과 한국괴뢰 공군은 (중략) 전시 상황을 능가하는 수준으로 공중 정탐 행위를 감행”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한국 해군·해양경찰의 기동 순찰로 인해 북한이 주장하는 해상국경선을 침범하는 빈도가 잦아지고 있다며 “해상주권이 계속 침해당하는 것을 수수방관할 수 없으며 어느 순간에 수상에서든 수중에서든 자위력을 행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정식 경고”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은 대북단체들이 드론 등을 이용해 대북전단(삐라)을 살포하는 것에 대해서도 맞대응하겠다며 “수많은 휴지장과 오물짝들이 곧 한국국경 지역과 중심 지역에 살포될 것”이라고 반발했습니다.

김 부상 담화에서 언급된 ‘24일 군사 최고지도부 지적’은 그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주재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20차 정치국 회의에서 이뤄진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보고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조선중앙통신은 당시 정치국 회의에서 “최근 조성되고 있는 군사정세에 관한 조선인민군 총참모부의 종합적인 보고를 청취했다”며 “국가의 주권과 안전 이익을 믿음직하게 수호하기 위한 공화국 무력의 당면한 군사활동 과업이 제시되고 그를 책임적으로 수행할 데 대한 지적이 있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북한이 담화를 통해 군 총참모부 보고를 다시 상기시킨 점을 감안하면 북한의 지상·해상 도발 가능성과 함께 그동안 발사 준비를 지속해 온 군사정찰위성 도발이 임박했을 가능성도 거론됩니다.

군은 최근 서해위성발사장이 있는 동창리 일대에서 정찰위성 2호기 발사를 준비 중인 정황을 식별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