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필품, 식료품 값 줄줄이 오른다…소비자들 어쩌나

입력 2024.05.26 (21:24) 수정 2024.05.26 (21: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간장 같은 필수 식재료부터 아이들 간식거리.

또 생활용품까지 다음 달 줄줄이 가격 인상을 예고했습니다.

원가 상승에 고환율까지 겹쳐 업체들은 어쩔 수 없단 입장이지만 소비자들 근심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도윤 기자가 마트에 가봤습니다.

[리포트]

필수 식재료인 간장입니다.

다 쓰면 안 살 수 없는 기본 제품인데, 이 제품은 다음 달부터 가격이 11.8% 인상됩니다.

국내 간장 시장 1위 업체인 샘표식품은 다음 달 중순부터 간장 30종의 가격을 평균 9% 올리기로 했습니다.

조미김 가격도 크게 올라 20봉지 든 이 제품은 9천 480원에서 만 980원으로 인상됩니다.

[전태규/서울 서초구 : "김은 밥상에 항상 오르니까 못해도 한 달에 1~2만 원 정도의 (인상) 느낌은 날 것 같아요."]

아이들 좋아하는 초콜릿도 가격 인상을 예고했습니다.

롯데웰푸드는 다음 달부터 초콜릿 제품 17종류의 가격을 평균 12% 올리기로 했습니다.

[롯데웰푸드 관계자 : "코코아 시세가 3배 넘게 오른 데다, 인건비 등 가공 비용도 오른 상황으로 원가 부담이 감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산업부는 지난달,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 관계자들을 만나 가급적 가격 인상 시기를 늦춰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업체들은 한 달 정도 가격 인상을 보류해 왔다며 더이상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원가가 떨어져도 한 번 올린 가격을 다시 내리기는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관계자 : "카카오 물량이 안정화되어 가격이 내려가더라도, 과연 업체가 원재료 인하에 맞춰 제품 가격을 내릴지 여부는 미지수입니다."]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건전지와 면도기 등 생활용품도 가격 인상을 예고해 소비자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도윤입니다.

촬영기자:노동수/영상편집:정광진/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필품, 식료품 값 줄줄이 오른다…소비자들 어쩌나
    • 입력 2024-05-26 21:24:38
    • 수정2024-05-26 21:35:44
    뉴스 9
[앵커]

간장 같은 필수 식재료부터 아이들 간식거리.

또 생활용품까지 다음 달 줄줄이 가격 인상을 예고했습니다.

원가 상승에 고환율까지 겹쳐 업체들은 어쩔 수 없단 입장이지만 소비자들 근심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도윤 기자가 마트에 가봤습니다.

[리포트]

필수 식재료인 간장입니다.

다 쓰면 안 살 수 없는 기본 제품인데, 이 제품은 다음 달부터 가격이 11.8% 인상됩니다.

국내 간장 시장 1위 업체인 샘표식품은 다음 달 중순부터 간장 30종의 가격을 평균 9% 올리기로 했습니다.

조미김 가격도 크게 올라 20봉지 든 이 제품은 9천 480원에서 만 980원으로 인상됩니다.

[전태규/서울 서초구 : "김은 밥상에 항상 오르니까 못해도 한 달에 1~2만 원 정도의 (인상) 느낌은 날 것 같아요."]

아이들 좋아하는 초콜릿도 가격 인상을 예고했습니다.

롯데웰푸드는 다음 달부터 초콜릿 제품 17종류의 가격을 평균 12% 올리기로 했습니다.

[롯데웰푸드 관계자 : "코코아 시세가 3배 넘게 오른 데다, 인건비 등 가공 비용도 오른 상황으로 원가 부담이 감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산업부는 지난달,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 관계자들을 만나 가급적 가격 인상 시기를 늦춰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업체들은 한 달 정도 가격 인상을 보류해 왔다며 더이상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원가가 떨어져도 한 번 올린 가격을 다시 내리기는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관계자 : "카카오 물량이 안정화되어 가격이 내려가더라도, 과연 업체가 원재료 인하에 맞춰 제품 가격을 내릴지 여부는 미지수입니다."]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건전지와 면도기 등 생활용품도 가격 인상을 예고해 소비자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도윤입니다.

촬영기자:노동수/영상편집:정광진/그래픽:여현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