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군 무인기 입찰 의혹…평가관 협박성 발언에 중국산 ‘모방’

입력 2024.05.27 (17:21) 수정 2024.05.27 (17: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방 해안지역에서의 북한 도발에 대비하기 위해 군이 '신속 도입'으로 추진한 감시정찰용 수직이착륙 무인기 사업 입찰 과정에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해당 사업은 사업비만 430억 원으로, 올해 하반기부터 전방과 해안 지역 부대에 무인기 159대를 순차적으로 실전 배치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KBS 취재진은 기종을 정하는 시험평가 때 육군 평가관이 특정 업체의 평가 기간을 연장하는 과정에서 이에 반대하는 업체를 협박한 정황이 담긴 녹취를 입수했습니다.

무인기 시험평가가 막바지에 이른 지난해 11월 초, 시험평가를 담당한 김 모 육군 평가관은 기간 연장을 업체들에 통보했습니다.

한 업체가 기상 악조건 탓에 충분한 평가 기회를 얻지 못했다는 이유였습니다. 기존 평가 기간은 모두 26주, 평가에 참여한 두 업체는 각각 8~9주씩 평가를 받았습니다. 일정 차질에 대비하기 위해 예비 주차도 5주 편성돼 있었습니다. 그런데, 한 업체만 유독 기상 조건 때문에 예비 주차를 모두 쓰더라도 평가를 마치기 어렵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쟁 업체는 즉각 반발했습니다. 연장 사유가 납득되지 않는다며, 11월 9일 사업 일정을 조율하는 방위사업청에 공문을 보냈습니다. "동일 조건 하 시험평가를 정상 종료한 입장에서 연장 결정을 이해하기 어려"우니 "사유를 알려달라"는 취지였습니다.

공문 발송 며칠 뒤, 육군 평가관이 이 업체 관계자에게 전화해 강한 어조로 막말을 쏟아냅니다. "나한테 문서가 왔던데 뭐 하는 짓이냐? 가만히 안 있겠다. 다 까버리겠다"고 위협적인 발언을 했습니다.

이 평가관은 당시 해당 업체의 절차상 '부족한 점'도 거론했습니다. 무인기가 바람에 견디는 정도를 검증하는 '내풍성 시험성적서'를 자신에게 직접 제출하지 않았다는 것. 그러면서 "페이퍼(문서) 가지고 장난질할 거면 나도 수는 많다. 내가 업체 잡아먹을 게 뭐가 있지? 딱 나오네. (성적서) 기한 내에 제출 안 했네. 기준 미달로 하겠다"며 문제 삼겠다는 취지의 말을 했습니다.

하지만 평가관이 언급한 내풍성 시험성적서는 해당 통화로부터 한 달 전 이 업체가 방사청에 제출한 상태였습니다. 방사청으로부터 전달받아야 할 업체의 시험성적서를 자신에게 직접 제출하지 않았다며 억지를 쓴 셈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 평가관은 통화 내내 내풍성 시험성적서를 거론하며 '평가 실패'를 운운했습니다. "공문이 얼마나 중요한지 모르느냐? (평가) 끝났으니까 시험평가단 죽어보라는 것이냐? 기준 미달로 처리할까?"라며 계속 문제를 삼았습니다. 김 평가관의 겁박에 업체는 결국 기간 연장 사유를 알려달라는 질의 자체를 취소했습니다.

결국, 평가 기간은 김 평가관 뜻대로 5주 더 연장됐습니다. 당시 정확한 연장 사유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이후 기간 연장 혜택을 받은 업체가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됐습니다.

당시 육군의 평가관은 김 씨 등 3명이 있었는데, 이 가운데 김씨가 주 평가관이었습니다.

KBS가 취재에 착수하자 김 평가관은 "관련 업체 담당자에게 부담을 주는 발언에 대해 사과한다"면서도 "어느 한 업체에 치우침 없이 규정과 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평가관 임무를 수행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평가관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평가 결과의 적정성 관련한 또 다른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선정 업체의 기체가 방사청에 제출한 입찰 제안서와 달리 시험평가 과정에서 중국산 무인기를 활용 또는 모방했다는 의혹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오늘(27일) KBS <뉴스9>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군 무인기 입찰 의혹…평가관 협박성 발언에 중국산 ‘모방’
    • 입력 2024-05-27 17:21:12
    • 수정2024-05-27 17:28:48
    단독
전방 해안지역에서의 북한 도발에 대비하기 위해 군이 '신속 도입'으로 추진한 감시정찰용 수직이착륙 무인기 사업 입찰 과정에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해당 사업은 사업비만 430억 원으로, 올해 하반기부터 전방과 해안 지역 부대에 무인기 159대를 순차적으로 실전 배치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KBS 취재진은 기종을 정하는 시험평가 때 육군 평가관이 특정 업체의 평가 기간을 연장하는 과정에서 이에 반대하는 업체를 협박한 정황이 담긴 녹취를 입수했습니다.

무인기 시험평가가 막바지에 이른 지난해 11월 초, 시험평가를 담당한 김 모 육군 평가관은 기간 연장을 업체들에 통보했습니다.

한 업체가 기상 악조건 탓에 충분한 평가 기회를 얻지 못했다는 이유였습니다. 기존 평가 기간은 모두 26주, 평가에 참여한 두 업체는 각각 8~9주씩 평가를 받았습니다. 일정 차질에 대비하기 위해 예비 주차도 5주 편성돼 있었습니다. 그런데, 한 업체만 유독 기상 조건 때문에 예비 주차를 모두 쓰더라도 평가를 마치기 어렵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쟁 업체는 즉각 반발했습니다. 연장 사유가 납득되지 않는다며, 11월 9일 사업 일정을 조율하는 방위사업청에 공문을 보냈습니다. "동일 조건 하 시험평가를 정상 종료한 입장에서 연장 결정을 이해하기 어려"우니 "사유를 알려달라"는 취지였습니다.

공문 발송 며칠 뒤, 육군 평가관이 이 업체 관계자에게 전화해 강한 어조로 막말을 쏟아냅니다. "나한테 문서가 왔던데 뭐 하는 짓이냐? 가만히 안 있겠다. 다 까버리겠다"고 위협적인 발언을 했습니다.

이 평가관은 당시 해당 업체의 절차상 '부족한 점'도 거론했습니다. 무인기가 바람에 견디는 정도를 검증하는 '내풍성 시험성적서'를 자신에게 직접 제출하지 않았다는 것. 그러면서 "페이퍼(문서) 가지고 장난질할 거면 나도 수는 많다. 내가 업체 잡아먹을 게 뭐가 있지? 딱 나오네. (성적서) 기한 내에 제출 안 했네. 기준 미달로 하겠다"며 문제 삼겠다는 취지의 말을 했습니다.

하지만 평가관이 언급한 내풍성 시험성적서는 해당 통화로부터 한 달 전 이 업체가 방사청에 제출한 상태였습니다. 방사청으로부터 전달받아야 할 업체의 시험성적서를 자신에게 직접 제출하지 않았다며 억지를 쓴 셈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 평가관은 통화 내내 내풍성 시험성적서를 거론하며 '평가 실패'를 운운했습니다. "공문이 얼마나 중요한지 모르느냐? (평가) 끝났으니까 시험평가단 죽어보라는 것이냐? 기준 미달로 처리할까?"라며 계속 문제를 삼았습니다. 김 평가관의 겁박에 업체는 결국 기간 연장 사유를 알려달라는 질의 자체를 취소했습니다.

결국, 평가 기간은 김 평가관 뜻대로 5주 더 연장됐습니다. 당시 정확한 연장 사유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이후 기간 연장 혜택을 받은 업체가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됐습니다.

당시 육군의 평가관은 김 씨 등 3명이 있었는데, 이 가운데 김씨가 주 평가관이었습니다.

KBS가 취재에 착수하자 김 평가관은 "관련 업체 담당자에게 부담을 주는 발언에 대해 사과한다"면서도 "어느 한 업체에 치우침 없이 규정과 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평가관 임무를 수행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평가관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평가 결과의 적정성 관련한 또 다른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선정 업체의 기체가 방사청에 제출한 입찰 제안서와 달리 시험평가 과정에서 중국산 무인기를 활용 또는 모방했다는 의혹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오늘(27일) KBS <뉴스9>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