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테무·쉬인 해외 직구 제품 10개 사면 4개는 ‘유해물질 범벅’?

입력 2024.05.28 (10:56) 수정 2024.05.28 (13: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쉬인까지.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중국의 온라인 직구 쇼핑 플랫폼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에만 알리익스프레스는 807만여 명, 테무는 660만여 명이 이용하는 등 국내 시장을 빠르게 파고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직구 제품 유해성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서울시는 오늘(28일) 발표된 검사 결과까지 총 일곱 차례에 걸쳐 중국 직구 어린이 제품 93개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시행했습니다.

■ 7번째 안전성 검사 결과는? … 기준치 428배 초과 검출 어린이 신발

오늘 발표된 검사 결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검사는 쉬인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가방 4개 제품과 신발 3개 제품, 벨트 1개 제품 등 가죽제품 8개에 대해 진행됐습니다.

그 결과 8개 중 7개 제품이 유해성과 내구성 등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서울시 해외직구 7차 안전성 검사 부적합 제품 7종서울시 해외직구 7차 안전성 검사 부적합 제품 7종

어린이용 가죽 가방은 모든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습니다.

발암물질인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의 1.2배, 내분기계 장애를 일으키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도 기준치의 최대 153배, 중금속인 납도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습니다.

어린이용 가죽 신발 2개 제품과 가죽 벨트 1개 제품에서도 폼알데하이드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고 특히 신발 깔창에서는 기준치의 428배를 초과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도 나왔습니다.

말 그대로 '유해물질 범벅'인 겁니다.

■ 93개 중 43%에 달하는 40개 제품에서 유해물질 … "최대 428배 검출"

지금까지 일곱 차례에 걸쳐 발표된 전체 결과를 살펴 보면, 중국의 온라인 직구 쇼핑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93개 어린이용 제품 중 43%에 이르는 40개 제품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1개 제품에서 여러 가지 유해물질이 동시에 검출됐거나 질식이나 익사 등 위험성이 높은 물리적 결함이 함께 발견된 제품도 있어, 문제의 40개 제품에서 확인된 부적합 판정 건수는 총 57건으로 집계됐습니다.

또 특정 제품에서는 기준치의 최대 428배에 달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되기도 했습니다.


검출된 유해물질을 종류별로 살펴보면,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키고 정자 수 감소와 불임 등 생식 기능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된 경우가 25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음으로 생식 기능에 해를 끼치고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중금속인 납, 알레르기 반응과 발진 등을 유발하는 니켈, 발암물질인 폼알데하이드와 가습기 살균제 성분인 CMIT와 MIT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 문제 제품은 판매 중지 완료·앞으로도 매주 검사 결과 발표

다행히 유해성이 확인된 제품에 대해서는 판매가 중지된 상태입니다. 알리와는 핫라인까지 설치했다는게 서울시 입장입니다.

하지만 유해성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시는 문제가 된 제품을 지적해 판매를 중단시켜도, 약간의 변형만 가한 비슷한 제품이 계속 판매 사이트에 올라오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굉장히 소모적이라고 단속의 어려움을 털어 놓기도 했는데, 서울시는 플랫폼 회사와 이런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지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서울시는 검사 결과를 시청 홈페이지와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습니다.해외 온라인 플랫폼과 관련된 소비자 피해는 신고센터(02-2133-4896)를 통해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픽 : 이재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알리·테무·쉬인 해외 직구 제품 10개 사면 4개는 ‘유해물질 범벅’?
    • 입력 2024-05-28 10:56:23
    • 수정2024-05-28 13:42:47
    심층K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쉬인까지.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중국의 온라인 직구 쇼핑 플랫폼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에만 알리익스프레스는 807만여 명, 테무는 660만여 명이 이용하는 등 국내 시장을 빠르게 파고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직구 제품 유해성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서울시는 오늘(28일) 발표된 검사 결과까지 총 일곱 차례에 걸쳐 중국 직구 어린이 제품 93개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시행했습니다.

■ 7번째 안전성 검사 결과는? … 기준치 428배 초과 검출 어린이 신발

오늘 발표된 검사 결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검사는 쉬인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가방 4개 제품과 신발 3개 제품, 벨트 1개 제품 등 가죽제품 8개에 대해 진행됐습니다.

그 결과 8개 중 7개 제품이 유해성과 내구성 등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서울시 해외직구 7차 안전성 검사 부적합 제품 7종
어린이용 가죽 가방은 모든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습니다.

발암물질인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의 1.2배, 내분기계 장애를 일으키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도 기준치의 최대 153배, 중금속인 납도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습니다.

어린이용 가죽 신발 2개 제품과 가죽 벨트 1개 제품에서도 폼알데하이드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고 특히 신발 깔창에서는 기준치의 428배를 초과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도 나왔습니다.

말 그대로 '유해물질 범벅'인 겁니다.

■ 93개 중 43%에 달하는 40개 제품에서 유해물질 … "최대 428배 검출"

지금까지 일곱 차례에 걸쳐 발표된 전체 결과를 살펴 보면, 중국의 온라인 직구 쇼핑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93개 어린이용 제품 중 43%에 이르는 40개 제품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1개 제품에서 여러 가지 유해물질이 동시에 검출됐거나 질식이나 익사 등 위험성이 높은 물리적 결함이 함께 발견된 제품도 있어, 문제의 40개 제품에서 확인된 부적합 판정 건수는 총 57건으로 집계됐습니다.

또 특정 제품에서는 기준치의 최대 428배에 달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되기도 했습니다.


검출된 유해물질을 종류별로 살펴보면,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키고 정자 수 감소와 불임 등 생식 기능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된 경우가 25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음으로 생식 기능에 해를 끼치고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중금속인 납, 알레르기 반응과 발진 등을 유발하는 니켈, 발암물질인 폼알데하이드와 가습기 살균제 성분인 CMIT와 MIT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 문제 제품은 판매 중지 완료·앞으로도 매주 검사 결과 발표

다행히 유해성이 확인된 제품에 대해서는 판매가 중지된 상태입니다. 알리와는 핫라인까지 설치했다는게 서울시 입장입니다.

하지만 유해성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시는 문제가 된 제품을 지적해 판매를 중단시켜도, 약간의 변형만 가한 비슷한 제품이 계속 판매 사이트에 올라오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굉장히 소모적이라고 단속의 어려움을 털어 놓기도 했는데, 서울시는 플랫폼 회사와 이런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지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서울시는 검사 결과를 시청 홈페이지와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습니다.해외 온라인 플랫폼과 관련된 소비자 피해는 신고센터(02-2133-4896)를 통해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픽 : 이재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