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자동 육아휴직·난임 휴가 42일”…“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입력 2024.05.28 (23:24) 수정 2024.05.29 (01: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저출생'.

지금 대한민국의 가장 큰 위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정부 정책만으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는데, 최근에는 기업들이 출산을 장려하고 육아를 돕는 다양한 대책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최유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40대 직장인 이숭기 씨는 지난해 7월 첫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석 달 동안 육아휴직을 썼습니다.

승진을 앞두고 있어 예전엔 꿈도 못 꿨겠지만 '아빠 자동 육아휴직제' 덕분이었습니다.

[이숭기/롯데백화점 책임 :"자연스럽게 휴직을 다녀오는 거로 대부분 인식을 하고 있고요. 다른 친구들이 바라봤을 때 '너 이렇게까지 쉬어도 되니'라고 할 정도로…."]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큰아들을 위해 눈치보지 않고 2주 유급 돌봄 휴가를 쓴 직장인도 있습니다.

아들의 첫 등하교를 함께하고 싶다는 바람을 이뤘고, 앞으로 최대 1년 동안은 하루 1시간씩 늦게 출근할 수도 있습니다.

[임강혁/CJ프레시웨이 팀장 : "손잡고 등하교하고, 끝나고 축구하고, 이 모든 시간이 아이한테는 굉장히 소중했을 거라고 생각이 되고요."]

이처럼 저출생 극복과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해 파격적인 복지 제도를 도입한 기업들이 정부 포상을 받았습니다.

법정 기준을 훌쩍 뛰어넘는 난임휴가와 육아휴직에 더해, 재택근무과 조기퇴근 등 다양한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 등이 대상입니다.

[이정식/고용노동부 장관 : "일·가정 양립을 위한 기업의 관심과 실천들이 모일 때, 국가적 위기인 저출생을 극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정부는 부모 육아휴직 기간을 최대 3년까지 늘리는 '모성보호 3법'을 22대 국회에서 다시 추진하겠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강승혁 문아미 김태현/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박미주 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빠 자동 육아휴직·난임 휴가 42일”…“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 입력 2024-05-28 23:24:34
    • 수정2024-05-29 01:46:10
    뉴스라인 W
[앵커]

'저출생'.

지금 대한민국의 가장 큰 위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정부 정책만으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는데, 최근에는 기업들이 출산을 장려하고 육아를 돕는 다양한 대책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최유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40대 직장인 이숭기 씨는 지난해 7월 첫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석 달 동안 육아휴직을 썼습니다.

승진을 앞두고 있어 예전엔 꿈도 못 꿨겠지만 '아빠 자동 육아휴직제' 덕분이었습니다.

[이숭기/롯데백화점 책임 :"자연스럽게 휴직을 다녀오는 거로 대부분 인식을 하고 있고요. 다른 친구들이 바라봤을 때 '너 이렇게까지 쉬어도 되니'라고 할 정도로…."]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큰아들을 위해 눈치보지 않고 2주 유급 돌봄 휴가를 쓴 직장인도 있습니다.

아들의 첫 등하교를 함께하고 싶다는 바람을 이뤘고, 앞으로 최대 1년 동안은 하루 1시간씩 늦게 출근할 수도 있습니다.

[임강혁/CJ프레시웨이 팀장 : "손잡고 등하교하고, 끝나고 축구하고, 이 모든 시간이 아이한테는 굉장히 소중했을 거라고 생각이 되고요."]

이처럼 저출생 극복과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해 파격적인 복지 제도를 도입한 기업들이 정부 포상을 받았습니다.

법정 기준을 훌쩍 뛰어넘는 난임휴가와 육아휴직에 더해, 재택근무과 조기퇴근 등 다양한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 등이 대상입니다.

[이정식/고용노동부 장관 : "일·가정 양립을 위한 기업의 관심과 실천들이 모일 때, 국가적 위기인 저출생을 극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정부는 부모 육아휴직 기간을 최대 3년까지 늘리는 '모성보호 3법'을 22대 국회에서 다시 추진하겠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강승혁 문아미 김태현/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박미주 서수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