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값 충주사과 논란, 유튜브 해명…다른 채널 홍보 전략?

입력 2024.05.29 (19:38) 수정 2024.05.29 (1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온라인 커뮤니티출처: 온라인 커뮤니티

"물 건너 간 사과가 어떻게 1,700원이죠?"

미국에서 할인 판매되고 있는 우리나라 수출용 사과 가격이 터무니없이 싸다며 한 누리꾼이 온라인커뮤니티에 올린 글입니다.

이 누리꾼이 함께 첨부한 사진에는 진열대에 있는 포장된 사과들과 가격표가 찍혀있었는데요.

이 사과는 '충주 안심 세척 사과'.

가격표에는 1개당 2.49달러에 판매되는 이 사과를 1.29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1,700원대로 할인 판매한다고 적혀있습니다.

이 게시글과 사진을 접한 누리꾼들은 가격 차이를 지적하거나 유통 구조상 이해가 간다는 반응을 보이는 등 수출용 사과를 두고 논란이 뜨거워졌습니다.

"국내에서는 사과 1개당 3,000원인데, 수출한 사과가 어떻게 1,700원이 가능한거죠?",

"어이가 없네요",

"세일가라도 호구된 느낌이네요. 세일가라도 가격을 저렇게 땡처리하지는 않으니까요",

"매입량에 따라서 가격이 달라지는 게 유통이죠",

"계약 재배면 가능하겠네요."

충주시가 운영하는  유튜브 '충TV' 채널 화면충주시가 운영하는 유튜브 '충TV' 채널 화면

"저도 속고, 국민도 속았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충주씨 채널에…."

현재 우리나라 온라인이나 마트에서 판매되는 충주 사과는 1개당 3천 원 안팎 선입니다.

논란이 확산하자 '충주맨'으로 알려진 충주시 홍보맨, 김선태 주무관이 구독자 73만 명 규모의 충주시 유튜브 채널, '충TV에서도 이 사안을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이 18초의 영상에 충주시의 해명은 없었습니다.

김 주무관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 수출용 충주 사과 가격 논란,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저도 속고 국민도 속았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담당 부서인 충주씨 채널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가격 차이와 논란에 대한 언급이 없었지만, 영상 조회 수는 이틀 만에 110만 회를 넘겼습니다.

김 주무관이 말한 '충주씨' 채널은 충주시 농정과 유통팀에서 운영합니다.

결국, 가격 논란의 해명은 '충주씨' 채널에서 확인하라고 한 건데요.

이에 대해 충주시 관계자는 먼저 관련 내용을 취재하고 있는 기자들에게 "현재 미국에서 팔리고 있는 충주 사과는 올해 1월 중순쯤 선적한 물량으로 당시 국내에서 팔리던 사과 가격은 10kg에 5만 원 정도였고, 수출 계약도 그 가격으로 체결했다"고 해명했습니다.

"국내 사과 가격은 설 명절을 지나면서 급상승했다"며, "지금 국내 가격이 오른다고해서 이미 수출한 사과를 비싸게 팔라고 말하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충주시가 운영하는 또 다른 유튜브 채널, '충주씨'의 한 장면.충주시가 운영하는 또 다른 유튜브 채널, '충주씨'의 한 장면.

■ 가격 논란을 홍보로 역이용

충주맨의 이번 유튜브 콘텐츠는 충주 사과와 충주씨를 홍보하기 위한 기획으로 확인됐습니다.

논란이 되는 사안을 '충주씨' 채널에서 밝히도록 유도하면서 상대적으로 구독자가 적은 충주씨 채널도 홍보하려 했던 의도로 해석되고 있는데요.

실제 '충주씨' 채널의 구독자는 '충TV'의 24분의 1 수준인 3만여 명입니다.

충주시는 논란 이틀만인 어제(29일), 김선태 주무관 말대로 이 채널에 1분 16초짜리 해명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이 영상에서 한 공무원은 앞서 기자들에게 했던 해명 그대로 "작년 10월에 미국 수출을 위해서 가격 협상을 했고, 올해 1월 선적을 진행했다"면서 "충주 사과의 안전성과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입증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충주 사과, 많이 사랑해주세요."라고 홍보했습니다.

서민들의 장바구니 사정을 어렵게 만드는 '금값 사과' 이슈가 계속되는 데다 과수화상병까지 확산하면서 사과 가격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큰 상황에서 이번 논란은 짧은 순간에 급속히 확산했는데요.

이 수출용 사과 가격 논란을 또 다른 유튜브 채널의 홍보 수단으로 활용한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헐값 충주사과 논란, 유튜브 해명…다른 채널 홍보 전략?
    • 입력 2024-05-29 19:38:20
    • 수정2024-05-29 19:45:26
    심층K
출처: 온라인 커뮤니티
"물 건너 간 사과가 어떻게 1,700원이죠?"

미국에서 할인 판매되고 있는 우리나라 수출용 사과 가격이 터무니없이 싸다며 한 누리꾼이 온라인커뮤니티에 올린 글입니다.

이 누리꾼이 함께 첨부한 사진에는 진열대에 있는 포장된 사과들과 가격표가 찍혀있었는데요.

이 사과는 '충주 안심 세척 사과'.

가격표에는 1개당 2.49달러에 판매되는 이 사과를 1.29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1,700원대로 할인 판매한다고 적혀있습니다.

이 게시글과 사진을 접한 누리꾼들은 가격 차이를 지적하거나 유통 구조상 이해가 간다는 반응을 보이는 등 수출용 사과를 두고 논란이 뜨거워졌습니다.

"국내에서는 사과 1개당 3,000원인데, 수출한 사과가 어떻게 1,700원이 가능한거죠?",

"어이가 없네요",

"세일가라도 호구된 느낌이네요. 세일가라도 가격을 저렇게 땡처리하지는 않으니까요",

"매입량에 따라서 가격이 달라지는 게 유통이죠",

"계약 재배면 가능하겠네요."

충주시가 운영하는  유튜브 '충TV' 채널 화면
"저도 속고, 국민도 속았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충주씨 채널에…."

현재 우리나라 온라인이나 마트에서 판매되는 충주 사과는 1개당 3천 원 안팎 선입니다.

논란이 확산하자 '충주맨'으로 알려진 충주시 홍보맨, 김선태 주무관이 구독자 73만 명 규모의 충주시 유튜브 채널, '충TV에서도 이 사안을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이 18초의 영상에 충주시의 해명은 없었습니다.

김 주무관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 수출용 충주 사과 가격 논란,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저도 속고 국민도 속았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담당 부서인 충주씨 채널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가격 차이와 논란에 대한 언급이 없었지만, 영상 조회 수는 이틀 만에 110만 회를 넘겼습니다.

김 주무관이 말한 '충주씨' 채널은 충주시 농정과 유통팀에서 운영합니다.

결국, 가격 논란의 해명은 '충주씨' 채널에서 확인하라고 한 건데요.

이에 대해 충주시 관계자는 먼저 관련 내용을 취재하고 있는 기자들에게 "현재 미국에서 팔리고 있는 충주 사과는 올해 1월 중순쯤 선적한 물량으로 당시 국내에서 팔리던 사과 가격은 10kg에 5만 원 정도였고, 수출 계약도 그 가격으로 체결했다"고 해명했습니다.

"국내 사과 가격은 설 명절을 지나면서 급상승했다"며, "지금 국내 가격이 오른다고해서 이미 수출한 사과를 비싸게 팔라고 말하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충주시가 운영하는 또 다른 유튜브 채널, '충주씨'의 한 장면.
■ 가격 논란을 홍보로 역이용

충주맨의 이번 유튜브 콘텐츠는 충주 사과와 충주씨를 홍보하기 위한 기획으로 확인됐습니다.

논란이 되는 사안을 '충주씨' 채널에서 밝히도록 유도하면서 상대적으로 구독자가 적은 충주씨 채널도 홍보하려 했던 의도로 해석되고 있는데요.

실제 '충주씨' 채널의 구독자는 '충TV'의 24분의 1 수준인 3만여 명입니다.

충주시는 논란 이틀만인 어제(29일), 김선태 주무관 말대로 이 채널에 1분 16초짜리 해명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이 영상에서 한 공무원은 앞서 기자들에게 했던 해명 그대로 "작년 10월에 미국 수출을 위해서 가격 협상을 했고, 올해 1월 선적을 진행했다"면서 "충주 사과의 안전성과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입증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충주 사과, 많이 사랑해주세요."라고 홍보했습니다.

서민들의 장바구니 사정을 어렵게 만드는 '금값 사과' 이슈가 계속되는 데다 과수화상병까지 확산하면서 사과 가격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큰 상황에서 이번 논란은 짧은 순간에 급속히 확산했는데요.

이 수출용 사과 가격 논란을 또 다른 유튜브 채널의 홍보 수단으로 활용한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