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상괭이…한려해상서 새끼 낳았다

입력 2024.06.02 (21:33) 수정 2024.06.03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마치 웃고 있는 듯한 귀여운 외모가 특징인 상괭이는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인데요.

이 상괭이들이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새끼를 낳고 키우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이슬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도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초양도 앞바다입니다.

둥근 머리와 웃는 것처럼 보이는 긴 입꼬리가 특징인 상괭이 가족이 나타났습니다.

어미 옆에 바짝 붙어 헤엄치는 새끼 상괭이의 등에는 생후 3개월까지만 볼 수 있는 배냇 주름이 뚜렷합니다.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새끼 상괭이가 포착된 건 지난해 4월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신달호/한려해상국립공원 자연환경해설사 : "(상괭이들이) 수면 위로 많이는 안 올라와요. 입이 뾰족한 돌고래들은 많이 튀어 오르는데 얘네들은 좀 수줍음이 많아서."]

지난 4년간 상괭이 발견 횟수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습니다.

상괭이는 다른 고래류에 비해 덩치가 작아 잔잔한 바다를 선호하는데, 섬이 많고 먹이가 풍부한 한려해상국립공원이 서식에 알맞은 겁니다.

[송형근/국립공원공단 이사장 : "상괭이의 중요한 서식지로 확인된 만큼 국립공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서식지 보존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아시아 지역 해안에 주로 사는 상괭이는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입니다.

우리나라에선 2016년 해양수산부가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한 이후에도 무분별한 혼획 등으로 폐사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안용락/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 다양성본부장 : "안강망이라고 하는 그물에 잡히거든요. 조업하다가 발견된 죽은 (상괭이) 사체를 버려 가지고 떠다니다가 해안가로 밀려오는 거죠."]

국립공원공단은 어민들을 상대로 계도 활동을 하고, 서식지 보호를 위한 현장 순찰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김지훈/영상제공:국립공원공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멸종위기 상괭이…한려해상서 새끼 낳았다
    • 입력 2024-06-02 21:33:25
    • 수정2024-06-03 07:57:56
    뉴스 9
[앵커]

마치 웃고 있는 듯한 귀여운 외모가 특징인 상괭이는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인데요.

이 상괭이들이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새끼를 낳고 키우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이슬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도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초양도 앞바다입니다.

둥근 머리와 웃는 것처럼 보이는 긴 입꼬리가 특징인 상괭이 가족이 나타났습니다.

어미 옆에 바짝 붙어 헤엄치는 새끼 상괭이의 등에는 생후 3개월까지만 볼 수 있는 배냇 주름이 뚜렷합니다.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새끼 상괭이가 포착된 건 지난해 4월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신달호/한려해상국립공원 자연환경해설사 : "(상괭이들이) 수면 위로 많이는 안 올라와요. 입이 뾰족한 돌고래들은 많이 튀어 오르는데 얘네들은 좀 수줍음이 많아서."]

지난 4년간 상괭이 발견 횟수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습니다.

상괭이는 다른 고래류에 비해 덩치가 작아 잔잔한 바다를 선호하는데, 섬이 많고 먹이가 풍부한 한려해상국립공원이 서식에 알맞은 겁니다.

[송형근/국립공원공단 이사장 : "상괭이의 중요한 서식지로 확인된 만큼 국립공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서식지 보존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아시아 지역 해안에 주로 사는 상괭이는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입니다.

우리나라에선 2016년 해양수산부가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한 이후에도 무분별한 혼획 등으로 폐사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안용락/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 다양성본부장 : "안강망이라고 하는 그물에 잡히거든요. 조업하다가 발견된 죽은 (상괭이) 사체를 버려 가지고 떠다니다가 해안가로 밀려오는 거죠."]

국립공원공단은 어민들을 상대로 계도 활동을 하고, 서식지 보호를 위한 현장 순찰도 강화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김지훈/영상제공:국립공원공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