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종부세 납세자 61% 감소…1년 만에 78만 명 줄어

입력 2024.06.04 (07:42) 수정 2024.06.04 (07: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종합부동산세를 납부한 사람이 1년 전보다 61%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시가격 하락 영향 등으로 1세대 1주택자 납세 인원은 50% 넘게 감소했습니다.

보도에 정미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세청은 지난해 종합부동산세 납세 인원은 49만 5,000명으로, 2022년보다 78만 8,000명 줄었다고 발표했습니다.

결정세액은 4조 2,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조 5천억 원 줄었습니다.

국세청은 공시가격 하락과 주택분 기본공제 금액 상향, 주택분 세율 인하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종합부동산세 납세 인원과 결정세액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 1주택자 공제금액은 11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2주택자는 6억 원에서 9억 원으로 상향됐고 최고세율은 6%에서 5%로 인하됐습니다.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납세 인원은 2022년보다 65.8% 감소한 40만 8,000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1세대 1주택자 납세 인원은 11만 1,000명으로 2022년과 비교해 52.7% 감소했고, 결정세액도 913억 원으로 64.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특별자치시의 종부세 납세 인원 감소율이 77.8%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경기도 순이었습니다.

서울시로 한정할 경우 결정세액 감소율은 노원구가 80.5%로 가장 높았고, 이어 도봉구, 중랑구, 양천구 순이었습니다.

전체 종부세 대상자 가운데 상위 10%가 부담하는 종부세 결정세액은 3조 7,000억 원으로 전체 결정세액의 88.5%를 차지했습니다.

KBS 뉴스 정미경입니다.

영상편집:김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종부세 납세자 61% 감소…1년 만에 78만 명 줄어
    • 입력 2024-06-04 07:42:54
    • 수정2024-06-04 07:46:30
    뉴스광장
[앵커]

지난해 종합부동산세를 납부한 사람이 1년 전보다 61%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시가격 하락 영향 등으로 1세대 1주택자 납세 인원은 50% 넘게 감소했습니다.

보도에 정미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세청은 지난해 종합부동산세 납세 인원은 49만 5,000명으로, 2022년보다 78만 8,000명 줄었다고 발표했습니다.

결정세액은 4조 2,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조 5천억 원 줄었습니다.

국세청은 공시가격 하락과 주택분 기본공제 금액 상향, 주택분 세율 인하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종합부동산세 납세 인원과 결정세액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 1주택자 공제금액은 11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2주택자는 6억 원에서 9억 원으로 상향됐고 최고세율은 6%에서 5%로 인하됐습니다.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납세 인원은 2022년보다 65.8% 감소한 40만 8,000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1세대 1주택자 납세 인원은 11만 1,000명으로 2022년과 비교해 52.7% 감소했고, 결정세액도 913억 원으로 64.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특별자치시의 종부세 납세 인원 감소율이 77.8%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경기도 순이었습니다.

서울시로 한정할 경우 결정세액 감소율은 노원구가 80.5%로 가장 높았고, 이어 도봉구, 중랑구, 양천구 순이었습니다.

전체 종부세 대상자 가운데 상위 10%가 부담하는 종부세 결정세액은 3조 7,000억 원으로 전체 결정세액의 88.5%를 차지했습니다.

KBS 뉴스 정미경입니다.

영상편집:김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