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3명 중 1명 ‘타슈’ 탔슈”…1년 간 ‘지구 200바퀴’

입력 2024.06.05 (22:03) 수정 2024.06.05 (22: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앵커리포트' 순서입니다.

"대전 시민의 발 '타슈' 2023년 한해, 지구 200바퀴를 돌다."

대전시가 타슈 누적 이용 거리 8백만 킬로미터를 토대로 산출한 '친환경' 활약상입니다.

공유자전거 '타슈'는 시즌2 도입 뒤 가입자가 크게 늘며, 이용 건수도 해마다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1년 52만 건에서 지난해 430만 건으로 8배 늘었고, 올해는 지난 4월까지 벌써 166만 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 이용 비율이 24%로 가장 높습니다.

[이향우/대전시 교통건설국 자전거팀장 : "예전보다 자전거가 가벼워진 면도 있고, 안장하고 자전거 폭을 좀 넓게 했어요. 대여하고 반납하는 방식이 굉장히 편리해졌어요."]

대전시는 서울에 이어 광역시 처음으로 '탄소배출권'사업도 구상하고 있습니다.

'타슈'로 줄인 온실가스로 수익을 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서비스의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한다는 방침입니다.

[이향우/대전시 교통건설국 자전거팀장 : "판매 수익이 들어오면 타슈 이용과 홍보에 활용해서 운영비에 도움도 되고. 자전거 중심, 녹색 환경 교통도시 조성에 또 기여를 하고 기후 변화에도 기여한다는 데 의의가…."]

대전시는 타슈 센터의 운영인력도 점차 늘리기로 했습니다.

또 무분별한 사용과 사유화, 고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올해 하반기에는 휴대전화 본인 인증 절차도 도입합니다.

다만 자전거도로 정비, 부족한 자전거 수량과 '지역편중' 논란은 여전한 숙젭니다.

[이재영/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기존에 설치된 스테이션을 기반으로 해서 추가로 설치되는 방식으로 하다 보니까 그런 편중 현상이 나타나게 된 거거든요. 지역별로 시간대별로 세밀하게 구분해서 수요를 재추정하고 그 결과를 반영해서…."]

공유자전거를 누릴 수 있는 '사회적 환경'과 달리며 느낄 수 있는 아름다운 '자연 환경'.

이 모든 '환경'을 지키고 누리기 위해서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동반돼야 한다는 사실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지금까지 '앵커리포트'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민 3명 중 1명 ‘타슈’ 탔슈”…1년 간 ‘지구 200바퀴’
    • 입력 2024-06-05 22:03:46
    • 수정2024-06-05 22:13:39
    뉴스9(대전)
뉴스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앵커리포트' 순서입니다.

"대전 시민의 발 '타슈' 2023년 한해, 지구 200바퀴를 돌다."

대전시가 타슈 누적 이용 거리 8백만 킬로미터를 토대로 산출한 '친환경' 활약상입니다.

공유자전거 '타슈'는 시즌2 도입 뒤 가입자가 크게 늘며, 이용 건수도 해마다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1년 52만 건에서 지난해 430만 건으로 8배 늘었고, 올해는 지난 4월까지 벌써 166만 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 이용 비율이 24%로 가장 높습니다.

[이향우/대전시 교통건설국 자전거팀장 : "예전보다 자전거가 가벼워진 면도 있고, 안장하고 자전거 폭을 좀 넓게 했어요. 대여하고 반납하는 방식이 굉장히 편리해졌어요."]

대전시는 서울에 이어 광역시 처음으로 '탄소배출권'사업도 구상하고 있습니다.

'타슈'로 줄인 온실가스로 수익을 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서비스의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한다는 방침입니다.

[이향우/대전시 교통건설국 자전거팀장 : "판매 수익이 들어오면 타슈 이용과 홍보에 활용해서 운영비에 도움도 되고. 자전거 중심, 녹색 환경 교통도시 조성에 또 기여를 하고 기후 변화에도 기여한다는 데 의의가…."]

대전시는 타슈 센터의 운영인력도 점차 늘리기로 했습니다.

또 무분별한 사용과 사유화, 고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올해 하반기에는 휴대전화 본인 인증 절차도 도입합니다.

다만 자전거도로 정비, 부족한 자전거 수량과 '지역편중' 논란은 여전한 숙젭니다.

[이재영/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기존에 설치된 스테이션을 기반으로 해서 추가로 설치되는 방식으로 하다 보니까 그런 편중 현상이 나타나게 된 거거든요. 지역별로 시간대별로 세밀하게 구분해서 수요를 재추정하고 그 결과를 반영해서…."]

공유자전거를 누릴 수 있는 '사회적 환경'과 달리며 느낄 수 있는 아름다운 '자연 환경'.

이 모든 '환경'을 지키고 누리기 위해서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동반돼야 한다는 사실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지금까지 '앵커리포트'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