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스마트팜 투자 부담 커…“이민 가듯 준비해야”

입력 2024.06.06 (21:43) 수정 2024.06.07 (08: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농업에 도전하는 청년들은 스마트팜에 관심이 많은데요.

하지만 시설비부터 땅값까지, 초기 투자금이 큰 부담인데다, 지역 사회에도 적응해야 하는 만큼 다른 나라로 이민을 가는 마음으로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수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0대 청년들이 구슬땀을 흘리며 오이를 땁니다.

20개월 과정으로 스마트팜 경영을 배우는 젊은이들입니다.

이론교육과 재배 실습에 이어 마지막 1년은 경영 실습 과정.

직접 작목을 선택하고 판로를 개척해 수익을 내는 경영 수업을 받습니다.

[손상운/청년창업보육센터 교육생 :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드는 그런 직업이잖아요, 농업이. (여기서는) 실패도 할 수 있는 거고 현장에서는 실패 안 하는 그런 기회를 잡을 수 있는 그런 프로그램이 아닌가…."]

IT 기술로 재배 환경을 제어하는 스마트팜을 유리온실로 짓자면 시설비를 낮춰잡아도 3.3㎡에 100만 원 선입니다.

창업 초기 단계에서 2천㎡ 규모의 스마트팜을 지으려면 땅값을 제외하고 시설비만 6억 원이 든다는 얘깁니다.

2년 전 김제시가 운영하는 임대형 스마트팜에 입주한 39살 이기득 씨.

독립을 위해 청년농 지원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대출을 받아야 하는 형편이지만 회사를 그만두고 농업을 택한 건 그만큼 기회가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이기득/39세 : "농업이 재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맞는 부가가치 사업, 가공이라든지 수출도 가능하고요. 청년들이 온다고 하면 지금보다 훨씬 많은 사업의 기회들을 만들어 내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같은 도전에도 불구하고 젊은 농가는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경영주가 40세 미만인 농가는 지난해 5천 가구로 1년 전보다 20% 넘게 줄었습니다.

농업에 뜻을 품은 청년들이 투자 사기를 당하거나 텃세에 시달리지 않게 적응을 돕는 지역 거점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마상진/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도시에서 농촌으로 간다는 건 어떻게 보면 이민이라고도 할 수가 있습니다. 국가를 건너서 이렇게 하는 것처럼 지역사회 적응이라는 것은 결국 인간관계를 잘 형성하는 것입니다."]

정부는 소득과 농지 등의 지원 정책과 함께 청년들의 정착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이수연입니다.

촬영기자:황종원 문아미/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년 스마트팜 투자 부담 커…“이민 가듯 준비해야”
    • 입력 2024-06-06 21:43:13
    • 수정2024-06-07 08:25:04
    뉴스 9
[앵커]

요즘 농업에 도전하는 청년들은 스마트팜에 관심이 많은데요.

하지만 시설비부터 땅값까지, 초기 투자금이 큰 부담인데다, 지역 사회에도 적응해야 하는 만큼 다른 나라로 이민을 가는 마음으로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수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0대 청년들이 구슬땀을 흘리며 오이를 땁니다.

20개월 과정으로 스마트팜 경영을 배우는 젊은이들입니다.

이론교육과 재배 실습에 이어 마지막 1년은 경영 실습 과정.

직접 작목을 선택하고 판로를 개척해 수익을 내는 경영 수업을 받습니다.

[손상운/청년창업보육센터 교육생 :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드는 그런 직업이잖아요, 농업이. (여기서는) 실패도 할 수 있는 거고 현장에서는 실패 안 하는 그런 기회를 잡을 수 있는 그런 프로그램이 아닌가…."]

IT 기술로 재배 환경을 제어하는 스마트팜을 유리온실로 짓자면 시설비를 낮춰잡아도 3.3㎡에 100만 원 선입니다.

창업 초기 단계에서 2천㎡ 규모의 스마트팜을 지으려면 땅값을 제외하고 시설비만 6억 원이 든다는 얘깁니다.

2년 전 김제시가 운영하는 임대형 스마트팜에 입주한 39살 이기득 씨.

독립을 위해 청년농 지원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대출을 받아야 하는 형편이지만 회사를 그만두고 농업을 택한 건 그만큼 기회가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이기득/39세 : "농업이 재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맞는 부가가치 사업, 가공이라든지 수출도 가능하고요. 청년들이 온다고 하면 지금보다 훨씬 많은 사업의 기회들을 만들어 내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같은 도전에도 불구하고 젊은 농가는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경영주가 40세 미만인 농가는 지난해 5천 가구로 1년 전보다 20% 넘게 줄었습니다.

농업에 뜻을 품은 청년들이 투자 사기를 당하거나 텃세에 시달리지 않게 적응을 돕는 지역 거점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마상진/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도시에서 농촌으로 간다는 건 어떻게 보면 이민이라고도 할 수가 있습니다. 국가를 건너서 이렇게 하는 것처럼 지역사회 적응이라는 것은 결국 인간관계를 잘 형성하는 것입니다."]

정부는 소득과 농지 등의 지원 정책과 함께 청년들의 정착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이수연입니다.

촬영기자:황종원 문아미/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