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4개 의료원 경영적자 심각…공공의료 붕괴 직면
입력 2024.06.11 (19:20)
수정 2024.06.11 (20: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의정 갈등이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가며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의료대란 위기감이 높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충남 지역 공공의료의 버팀목인 4개 지방의료원은 오히려 환자를 받지 못해 극심한 경영난에 봉착해 있습니다.
코로나 19 사태 당시 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면서 확진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일반 환자를 모두 전원시켰는데, 이후 일반 환자들이 돌아오지 않고 있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코로나 사태 직전인 2019년 71%에 이르던 병상가동률은 지난해 엔데믹 선언 이후 52%까지 떨어졌고, 최근 회복세지만 60% 수준입니다.
이에 지난해 4개 의료원에서 생긴 적자는 381억, 올해 1분기에도 벌써 50억이 넘는 적자가 발생했습니다.
정부에서도 코로나 회복기 6개월 가량 손실보상을 하긴 했지만 손실액을 채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게 의료원측의 입장입니다.
이대로 가다간, 지방의료원들이 문을 닫을 날이 머지 않았다는 위기감이 높은데요.
그 현장을, 정재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충남의 대표적인 공공의료기관인 천안의료원.
당장 이번달부터 의사와 간호사를 뺀 나머지 직원 급여를 절반만 지급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고용노동부에서 임금체불 고위험에 이르렀다고 판단할 지경입니다.
천안뿐 아니라 충남 4개 의료원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원래부터 적자가 심한 건 아니었습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까지만 해도 적자 폭이 4곳 모두 합쳐도 30억 원에 머물렀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10배가 넘는 381억 원까지 급증했고, 올해 1분기는 천안의료원이 25억 원, 공주 13억 원, 홍성 10억 원 등 52억 원의 적자가 또 쌓이면서, 경영상황은 말 그대로 도산 위기에 놓였습니다.
[이경석/천안의료원 원장 : "한 달에 8억 원에서 10억 원 정도의 적자가 계속 나는 상황인데, 그래도 (코로나19 종식) 초기에는 6개월 정도까지는 보상이 있었는데 그 후로 보상이 없었고…."]
경영 악화의 원인은 코로나19 이후 급감한 병상가동률.
보이는 것처럼 의료원 5층 병상 절반이 운영을 멈춘 채 통째로 비워져 있는 상태입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병상가동률은 70에서 80% 수준이었지만, 코로나19의 종식 선언 직전인 지난해 1월 48%까지 급락했고, 지난 3월에도 60% 수준의 회복에 그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정부가 지방의료원을 코로나19 환자만을 위한 전담병원으로 쓰겠다며, 일반환자를 내보낸 뒤 2년 넘게 받지 못하게 했고 지난해 코로나19가 종식됐지만 한 번 나간 환자들이 다시 돌아오지 않은 겁니다.
결국 코로나19 장기 대응으로 인해 의료원 재정이 파탄 난 겁니다.
[천안의료원 직원/음성변조 : "코로나 전담병원이라고 정말 힘들게 일하고 환자들을 돌봤는데, 지금 와서 임금체불에 시달려야 하는 상황을 저희는 한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추가 재정지원은 불가하다던 충남도는 임금체불 문제마저 터져 나오자 10억 원의 긴급 재정을 투입하겠다고 입장을 바꿨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의료원 한 곳의 한 달치 인건비의 절반도 채 안 되는 상황, 근본적인 대책 없인 공공의료가 붕괴에 직면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높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의정 갈등이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가며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의료대란 위기감이 높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충남 지역 공공의료의 버팀목인 4개 지방의료원은 오히려 환자를 받지 못해 극심한 경영난에 봉착해 있습니다.
코로나 19 사태 당시 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면서 확진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일반 환자를 모두 전원시켰는데, 이후 일반 환자들이 돌아오지 않고 있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코로나 사태 직전인 2019년 71%에 이르던 병상가동률은 지난해 엔데믹 선언 이후 52%까지 떨어졌고, 최근 회복세지만 60% 수준입니다.
이에 지난해 4개 의료원에서 생긴 적자는 381억, 올해 1분기에도 벌써 50억이 넘는 적자가 발생했습니다.
정부에서도 코로나 회복기 6개월 가량 손실보상을 하긴 했지만 손실액을 채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게 의료원측의 입장입니다.
이대로 가다간, 지방의료원들이 문을 닫을 날이 머지 않았다는 위기감이 높은데요.
그 현장을, 정재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충남의 대표적인 공공의료기관인 천안의료원.
당장 이번달부터 의사와 간호사를 뺀 나머지 직원 급여를 절반만 지급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고용노동부에서 임금체불 고위험에 이르렀다고 판단할 지경입니다.
천안뿐 아니라 충남 4개 의료원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원래부터 적자가 심한 건 아니었습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까지만 해도 적자 폭이 4곳 모두 합쳐도 30억 원에 머물렀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10배가 넘는 381억 원까지 급증했고, 올해 1분기는 천안의료원이 25억 원, 공주 13억 원, 홍성 10억 원 등 52억 원의 적자가 또 쌓이면서, 경영상황은 말 그대로 도산 위기에 놓였습니다.
[이경석/천안의료원 원장 : "한 달에 8억 원에서 10억 원 정도의 적자가 계속 나는 상황인데, 그래도 (코로나19 종식) 초기에는 6개월 정도까지는 보상이 있었는데 그 후로 보상이 없었고…."]
경영 악화의 원인은 코로나19 이후 급감한 병상가동률.
보이는 것처럼 의료원 5층 병상 절반이 운영을 멈춘 채 통째로 비워져 있는 상태입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병상가동률은 70에서 80% 수준이었지만, 코로나19의 종식 선언 직전인 지난해 1월 48%까지 급락했고, 지난 3월에도 60% 수준의 회복에 그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정부가 지방의료원을 코로나19 환자만을 위한 전담병원으로 쓰겠다며, 일반환자를 내보낸 뒤 2년 넘게 받지 못하게 했고 지난해 코로나19가 종식됐지만 한 번 나간 환자들이 다시 돌아오지 않은 겁니다.
결국 코로나19 장기 대응으로 인해 의료원 재정이 파탄 난 겁니다.
[천안의료원 직원/음성변조 : "코로나 전담병원이라고 정말 힘들게 일하고 환자들을 돌봤는데, 지금 와서 임금체불에 시달려야 하는 상황을 저희는 한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추가 재정지원은 불가하다던 충남도는 임금체불 문제마저 터져 나오자 10억 원의 긴급 재정을 투입하겠다고 입장을 바꿨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의료원 한 곳의 한 달치 인건비의 절반도 채 안 되는 상황, 근본적인 대책 없인 공공의료가 붕괴에 직면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높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충남 4개 의료원 경영적자 심각…공공의료 붕괴 직면
-
- 입력 2024-06-11 19:20:47
- 수정2024-06-11 20:04:40
[앵커]
의정 갈등이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가며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의료대란 위기감이 높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충남 지역 공공의료의 버팀목인 4개 지방의료원은 오히려 환자를 받지 못해 극심한 경영난에 봉착해 있습니다.
코로나 19 사태 당시 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면서 확진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일반 환자를 모두 전원시켰는데, 이후 일반 환자들이 돌아오지 않고 있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코로나 사태 직전인 2019년 71%에 이르던 병상가동률은 지난해 엔데믹 선언 이후 52%까지 떨어졌고, 최근 회복세지만 60% 수준입니다.
이에 지난해 4개 의료원에서 생긴 적자는 381억, 올해 1분기에도 벌써 50억이 넘는 적자가 발생했습니다.
정부에서도 코로나 회복기 6개월 가량 손실보상을 하긴 했지만 손실액을 채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게 의료원측의 입장입니다.
이대로 가다간, 지방의료원들이 문을 닫을 날이 머지 않았다는 위기감이 높은데요.
그 현장을, 정재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충남의 대표적인 공공의료기관인 천안의료원.
당장 이번달부터 의사와 간호사를 뺀 나머지 직원 급여를 절반만 지급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고용노동부에서 임금체불 고위험에 이르렀다고 판단할 지경입니다.
천안뿐 아니라 충남 4개 의료원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원래부터 적자가 심한 건 아니었습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까지만 해도 적자 폭이 4곳 모두 합쳐도 30억 원에 머물렀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10배가 넘는 381억 원까지 급증했고, 올해 1분기는 천안의료원이 25억 원, 공주 13억 원, 홍성 10억 원 등 52억 원의 적자가 또 쌓이면서, 경영상황은 말 그대로 도산 위기에 놓였습니다.
[이경석/천안의료원 원장 : "한 달에 8억 원에서 10억 원 정도의 적자가 계속 나는 상황인데, 그래도 (코로나19 종식) 초기에는 6개월 정도까지는 보상이 있었는데 그 후로 보상이 없었고…."]
경영 악화의 원인은 코로나19 이후 급감한 병상가동률.
보이는 것처럼 의료원 5층 병상 절반이 운영을 멈춘 채 통째로 비워져 있는 상태입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병상가동률은 70에서 80% 수준이었지만, 코로나19의 종식 선언 직전인 지난해 1월 48%까지 급락했고, 지난 3월에도 60% 수준의 회복에 그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정부가 지방의료원을 코로나19 환자만을 위한 전담병원으로 쓰겠다며, 일반환자를 내보낸 뒤 2년 넘게 받지 못하게 했고 지난해 코로나19가 종식됐지만 한 번 나간 환자들이 다시 돌아오지 않은 겁니다.
결국 코로나19 장기 대응으로 인해 의료원 재정이 파탄 난 겁니다.
[천안의료원 직원/음성변조 : "코로나 전담병원이라고 정말 힘들게 일하고 환자들을 돌봤는데, 지금 와서 임금체불에 시달려야 하는 상황을 저희는 한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추가 재정지원은 불가하다던 충남도는 임금체불 문제마저 터져 나오자 10억 원의 긴급 재정을 투입하겠다고 입장을 바꿨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의료원 한 곳의 한 달치 인건비의 절반도 채 안 되는 상황, 근본적인 대책 없인 공공의료가 붕괴에 직면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높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의정 갈등이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가며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의료대란 위기감이 높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충남 지역 공공의료의 버팀목인 4개 지방의료원은 오히려 환자를 받지 못해 극심한 경영난에 봉착해 있습니다.
코로나 19 사태 당시 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면서 확진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일반 환자를 모두 전원시켰는데, 이후 일반 환자들이 돌아오지 않고 있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코로나 사태 직전인 2019년 71%에 이르던 병상가동률은 지난해 엔데믹 선언 이후 52%까지 떨어졌고, 최근 회복세지만 60% 수준입니다.
이에 지난해 4개 의료원에서 생긴 적자는 381억, 올해 1분기에도 벌써 50억이 넘는 적자가 발생했습니다.
정부에서도 코로나 회복기 6개월 가량 손실보상을 하긴 했지만 손실액을 채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게 의료원측의 입장입니다.
이대로 가다간, 지방의료원들이 문을 닫을 날이 머지 않았다는 위기감이 높은데요.
그 현장을, 정재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충남의 대표적인 공공의료기관인 천안의료원.
당장 이번달부터 의사와 간호사를 뺀 나머지 직원 급여를 절반만 지급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고용노동부에서 임금체불 고위험에 이르렀다고 판단할 지경입니다.
천안뿐 아니라 충남 4개 의료원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원래부터 적자가 심한 건 아니었습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까지만 해도 적자 폭이 4곳 모두 합쳐도 30억 원에 머물렀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10배가 넘는 381억 원까지 급증했고, 올해 1분기는 천안의료원이 25억 원, 공주 13억 원, 홍성 10억 원 등 52억 원의 적자가 또 쌓이면서, 경영상황은 말 그대로 도산 위기에 놓였습니다.
[이경석/천안의료원 원장 : "한 달에 8억 원에서 10억 원 정도의 적자가 계속 나는 상황인데, 그래도 (코로나19 종식) 초기에는 6개월 정도까지는 보상이 있었는데 그 후로 보상이 없었고…."]
경영 악화의 원인은 코로나19 이후 급감한 병상가동률.
보이는 것처럼 의료원 5층 병상 절반이 운영을 멈춘 채 통째로 비워져 있는 상태입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병상가동률은 70에서 80% 수준이었지만, 코로나19의 종식 선언 직전인 지난해 1월 48%까지 급락했고, 지난 3월에도 60% 수준의 회복에 그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정부가 지방의료원을 코로나19 환자만을 위한 전담병원으로 쓰겠다며, 일반환자를 내보낸 뒤 2년 넘게 받지 못하게 했고 지난해 코로나19가 종식됐지만 한 번 나간 환자들이 다시 돌아오지 않은 겁니다.
결국 코로나19 장기 대응으로 인해 의료원 재정이 파탄 난 겁니다.
[천안의료원 직원/음성변조 : "코로나 전담병원이라고 정말 힘들게 일하고 환자들을 돌봤는데, 지금 와서 임금체불에 시달려야 하는 상황을 저희는 한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추가 재정지원은 불가하다던 충남도는 임금체불 문제마저 터져 나오자 10억 원의 긴급 재정을 투입하겠다고 입장을 바꿨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의료원 한 곳의 한 달치 인건비의 절반도 채 안 되는 상황, 근본적인 대책 없인 공공의료가 붕괴에 직면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높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
정재훈 기자 jjh119@kbs.co.kr
정재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