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년보다 이른 무더위에 ‘온열질환’ 급증

입력 2024.06.11 (21:16) 수정 2024.06.11 (22: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예년보다 빨라진 더위에 온열 질환자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가까이 급증했는데요.

낮 시간 야외활동에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송근섭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비닐하우스에서 방울토마토 수확이 한창입니다.

오후 작업을 시작한 지 10여 분 만에 땀이 비 오듯 흐릅니다.

수시로 물을 마시고 땀을 닦아내지만 더위를 견디기엔 역부족입니다.

한낮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는 45도까지 올라 찜통 더위가 따로 없습니다.

[유용/충북 청주시 분평동 : "올해가 유난히 더 덥고 농민들이 농사짓기 가장 힘들어하는 계절이 지금부터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삼복 더위는 어떻게 지낼지 걱정이 됩니다."]

예년보다 이른 무더위에 일부 지역에는 지난해보다 일주일 가량 빨리 폭염 특보가 발령됐습니다.

온열 질환자도 크게 늘었습니다.

지난달 20일 이후 전국에서 발생한 온열 질환자는 81명.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6%나 급증했습니다.

온열 질환은 햇볕 등 열에 장시간 노출됐을 때 발생하는 질환으로, 두통이나 어지럼증,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이유홍/내과 전문의 : "수분 보충을 충분히 하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폭염주의보가 있다거나 한여름에는 낮에 활동하는 시간을 될 수 있으면 줄이셔야 하고요."]

노약자는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는 오후 시간대 야외활동을 삼가고, 농촌 등의 야외작업자는 무리한 작업을 자제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권고합니다.

KBS 뉴스 송근섭입니다.

촬영기자:박용호/그래픽:박소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예년보다 이른 무더위에 ‘온열질환’ 급증
    • 입력 2024-06-11 21:16:27
    • 수정2024-06-11 22:16:07
    뉴스 9
[앵커]

예년보다 빨라진 더위에 온열 질환자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가까이 급증했는데요.

낮 시간 야외활동에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송근섭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비닐하우스에서 방울토마토 수확이 한창입니다.

오후 작업을 시작한 지 10여 분 만에 땀이 비 오듯 흐릅니다.

수시로 물을 마시고 땀을 닦아내지만 더위를 견디기엔 역부족입니다.

한낮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는 45도까지 올라 찜통 더위가 따로 없습니다.

[유용/충북 청주시 분평동 : "올해가 유난히 더 덥고 농민들이 농사짓기 가장 힘들어하는 계절이 지금부터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삼복 더위는 어떻게 지낼지 걱정이 됩니다."]

예년보다 이른 무더위에 일부 지역에는 지난해보다 일주일 가량 빨리 폭염 특보가 발령됐습니다.

온열 질환자도 크게 늘었습니다.

지난달 20일 이후 전국에서 발생한 온열 질환자는 81명.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6%나 급증했습니다.

온열 질환은 햇볕 등 열에 장시간 노출됐을 때 발생하는 질환으로, 두통이나 어지럼증,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이유홍/내과 전문의 : "수분 보충을 충분히 하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폭염주의보가 있다거나 한여름에는 낮에 활동하는 시간을 될 수 있으면 줄이셔야 하고요."]

노약자는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는 오후 시간대 야외활동을 삼가고, 농촌 등의 야외작업자는 무리한 작업을 자제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권고합니다.

KBS 뉴스 송근섭입니다.

촬영기자:박용호/그래픽:박소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