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지진 원인은?…‘함열단층’ 영향 줬나

입력 2024.06.12 (21:11) 수정 2024.06.17 (11: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부안 지진의 원인으로 전문가들은 진앙과 가장 가까운 단층인 '함열단층'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다만, 또 다른 숨은 단층에서 지진이 났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김민경 기상전문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전북 부안군에서 지진이 난 직후, 대학 연구팀이 현장에 급파됐습니다.

지진이 발생한 단층을 찾기 위해 '이동식 지진계'를 설치했습니다.

["이 지역엔 큰 지진을 유발할만한 뚜렷한 단층이 알려지지 않아서 여진을 좀 더 면밀하게 관측하려고 합니다."]

실제로, 진앙 인근 80km 내에서 규모 4 이상 지진이 발생한 건 관측 이래 처음입니다.

전문가들은 일단 기존에 알려진 단층 가운데 북쪽으로 20km 남짓 떨어진 '함열단층'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번 지진은 땅이 북동 방향으로 미끄러지듯 이동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데, 함열단층의 형태와 유사합니다.

[최진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재해연구본부장 : "1차 분석을 통해 지진원인 단층의 가능성이 있는 두 개의 단층 주향(지층 방향), 경사를 파악했고 이 중 하나가 함열단층과 유사함을 확인해서 함열단층을 지진원 단층으로 주목하고 있습니다."]

다만 함열단층은 이번 지진의 진앙과 거리가 다소 떨어진 만큼, 2016년 경주 지진 때처럼 숨어있던 단층에서 지진이 났을 가능성도 여전합니다.

이번 지진 발생 지점이 한반도에서 지진이 가장 잦은 곳 중 하나인 '옥천대'의 서쪽 끝자락인 걸 감안한 분석입니다.

[홍태경/교수/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옥천대'는 지반이 상대적으로 약한 곳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발생한 지진은 이런 약한 지반속에서 발달한 숨은 단층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강한 지진 가능성이 있는 만큼, 체계적인 단층 조사를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정형철/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안 지진 원인은?…‘함열단층’ 영향 줬나
    • 입력 2024-06-12 21:11:03
    • 수정2024-06-17 11:16:49
    뉴스 9
[앵커]

이번 부안 지진의 원인으로 전문가들은 진앙과 가장 가까운 단층인 '함열단층'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다만, 또 다른 숨은 단층에서 지진이 났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김민경 기상전문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전북 부안군에서 지진이 난 직후, 대학 연구팀이 현장에 급파됐습니다.

지진이 발생한 단층을 찾기 위해 '이동식 지진계'를 설치했습니다.

["이 지역엔 큰 지진을 유발할만한 뚜렷한 단층이 알려지지 않아서 여진을 좀 더 면밀하게 관측하려고 합니다."]

실제로, 진앙 인근 80km 내에서 규모 4 이상 지진이 발생한 건 관측 이래 처음입니다.

전문가들은 일단 기존에 알려진 단층 가운데 북쪽으로 20km 남짓 떨어진 '함열단층'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번 지진은 땅이 북동 방향으로 미끄러지듯 이동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데, 함열단층의 형태와 유사합니다.

[최진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재해연구본부장 : "1차 분석을 통해 지진원인 단층의 가능성이 있는 두 개의 단층 주향(지층 방향), 경사를 파악했고 이 중 하나가 함열단층과 유사함을 확인해서 함열단층을 지진원 단층으로 주목하고 있습니다."]

다만 함열단층은 이번 지진의 진앙과 거리가 다소 떨어진 만큼, 2016년 경주 지진 때처럼 숨어있던 단층에서 지진이 났을 가능성도 여전합니다.

이번 지진 발생 지점이 한반도에서 지진이 가장 잦은 곳 중 하나인 '옥천대'의 서쪽 끝자락인 걸 감안한 분석입니다.

[홍태경/교수/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옥천대'는 지반이 상대적으로 약한 곳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발생한 지진은 이런 약한 지반속에서 발달한 숨은 단층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강한 지진 가능성이 있는 만큼, 체계적인 단층 조사를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정형철/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여현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