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성폭력 피해자, 왜곡된 알 권리에 일상 평온 침해돼”

입력 2024.06.13 (14:51) 수정 2024.06.13 (15: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양 성폭력 사건'의 피해자와 지원 단체가 유튜버들의 왜곡된 알 권리 추구에 피해자의 평온한 일상이 침해되고 있다며 자제를 촉구했습니다.

한국성폭력상담소는 오늘(13일) 기자회견을 열고 "피해자가 일상에서 평온할 권리는 국민의 알 권리에 우선하는 생존권"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김혜정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은 한 유튜버가 밀양 성폭력 사건 가해자 신상공개 영상을 올린 것에 대해 "피해자와 가족들 모두 동의한 바 없다고 직접 유튜버에게 삭제를 요청했지만,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피해자 동의 없이 피해자에 대한 정보를 일방적으로 확보하고, 확산하고, 피해자가 동의할 수 없는 내용과 방식으로 재현하는 문제는 2004년 방송사와 경찰의 문제에서 올해 유튜버의 문제로 바뀌며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2004년부터 지금까지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들을 지원하는 이미경 한국성폭력상담소 이사도 "본인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밀양 사건 피해자로 여기저기에 재소환되어 소비되고 있다"며 "피해 시 겪었던 인권 침해 상황을 다시 마주하면서 피해자는 사막 한가운데에 홀로 있는 듯한 막막함과 외로움, 두려움, 분노를 겪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가해자 처벌도 중요하지만, 피해자 지원이 더 깊이 논의되길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대독을 통해 피해자 자매도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피해자 자매는 "앞으로도 유튜버의 피해자 동의, 보호 없는 이름 노출, 피해자를 비난하는 행동은 삼가주셨으면 좋겠다"며 "무분별한 추측으로 피해자를 상처받게 하지 말아주시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아울러, "잊지 않고 관심 가져주셔서 너무 감사하다"며 "이 사건이 잠깐 타올랐다가 금방 꺼지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잘못된 정보와 알 수 없는 사람이 잘못 공개돼 2차 피해가 절대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밀양 성폭력 피해자, 왜곡된 알 권리에 일상 평온 침해돼”
    • 입력 2024-06-13 14:51:55
    • 수정2024-06-13 15:03:06
    사회
'밀양 성폭력 사건'의 피해자와 지원 단체가 유튜버들의 왜곡된 알 권리 추구에 피해자의 평온한 일상이 침해되고 있다며 자제를 촉구했습니다.

한국성폭력상담소는 오늘(13일) 기자회견을 열고 "피해자가 일상에서 평온할 권리는 국민의 알 권리에 우선하는 생존권"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김혜정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은 한 유튜버가 밀양 성폭력 사건 가해자 신상공개 영상을 올린 것에 대해 "피해자와 가족들 모두 동의한 바 없다고 직접 유튜버에게 삭제를 요청했지만,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피해자 동의 없이 피해자에 대한 정보를 일방적으로 확보하고, 확산하고, 피해자가 동의할 수 없는 내용과 방식으로 재현하는 문제는 2004년 방송사와 경찰의 문제에서 올해 유튜버의 문제로 바뀌며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2004년부터 지금까지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들을 지원하는 이미경 한국성폭력상담소 이사도 "본인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밀양 사건 피해자로 여기저기에 재소환되어 소비되고 있다"며 "피해 시 겪었던 인권 침해 상황을 다시 마주하면서 피해자는 사막 한가운데에 홀로 있는 듯한 막막함과 외로움, 두려움, 분노를 겪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가해자 처벌도 중요하지만, 피해자 지원이 더 깊이 논의되길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대독을 통해 피해자 자매도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피해자 자매는 "앞으로도 유튜버의 피해자 동의, 보호 없는 이름 노출, 피해자를 비난하는 행동은 삼가주셨으면 좋겠다"며 "무분별한 추측으로 피해자를 상처받게 하지 말아주시기를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아울러, "잊지 않고 관심 가져주셔서 너무 감사하다"며 "이 사건이 잠깐 타올랐다가 금방 꺼지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잘못된 정보와 알 수 없는 사람이 잘못 공개돼 2차 피해가 절대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