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안전지대 ‘옛말’…지진 대비 교육 강화해야

입력 2024.06.13 (21:08) 수정 2024.06.17 (11: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동안 지진 발생이 드물었던 전라북도에서 일어난 이번 지진은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언제 어디에서 발생할 지 모르는 지진에 대비해서 흔들림이 감지된 순간 본능적으로 자신을 보호하는 행동이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안전교육이 중요해졌습니다.

안승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진이 나자 책상 밑으로 피하는 학생들.

진동이 멈추자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인 운동장으로 대피합니다.

지진 발생 시 지켜야 할 행동 요령들을 제대로 따른 겁니다.

이 같은 요령을 배우기 위한 재난 체험 교육.

["어디를 보호해야 해요? (머리!) 대피할 때 엘리베이터 타면 돼? (안돼요!)"]

바닥이 흔들리자 먼저 문을 엽니다.

전기와 가스를 차단한 뒤 머리를 가린 채 식탁 아래 몸을 숨깁니다.

지진 상황을 체험하며 지진 대응 요령을 체득하는 겁니다.

[이도연/초등학생 : "앞으로 지진 나면 지금 배운 거처럼 똑같이 하면 될 것 같아요."]

지진에 대비해 학교별로 실시하고 있는 지진체험교육.

하지만 3년에 고작 한 차례뿐이어서, 반복 훈련을 통해 몸에 익히기에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이상훈/전북119안전체험관 교관 : "실제 여기서 해보면 다들 그렇게 못 해요. 알고는 있지만,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선 거의 못 하고 있거든요."]

학생이 주도하는 재난 훈련을 실시하는 학교는 전국 475곳으로 늘었지만, 아직 전체 학교의 2.3%에 불과합니다.

[류상일/국가위기관리학회 학술부회장 : "지진 교육이 조금 더 세분화되고 상황에 맞게끔, 연령대에 맞게끔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지진을 계기 삼아 지진 대비 교육 비중을 유럽과 일본 수준으로 늘리고, 정규 교과에도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진 안전지대 ‘옛말’…지진 대비 교육 강화해야
    • 입력 2024-06-13 21:08:21
    • 수정2024-06-17 11:08:52
    뉴스 9
[앵커]

그동안 지진 발생이 드물었던 전라북도에서 일어난 이번 지진은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언제 어디에서 발생할 지 모르는 지진에 대비해서 흔들림이 감지된 순간 본능적으로 자신을 보호하는 행동이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안전교육이 중요해졌습니다.

안승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진이 나자 책상 밑으로 피하는 학생들.

진동이 멈추자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인 운동장으로 대피합니다.

지진 발생 시 지켜야 할 행동 요령들을 제대로 따른 겁니다.

이 같은 요령을 배우기 위한 재난 체험 교육.

["어디를 보호해야 해요? (머리!) 대피할 때 엘리베이터 타면 돼? (안돼요!)"]

바닥이 흔들리자 먼저 문을 엽니다.

전기와 가스를 차단한 뒤 머리를 가린 채 식탁 아래 몸을 숨깁니다.

지진 상황을 체험하며 지진 대응 요령을 체득하는 겁니다.

[이도연/초등학생 : "앞으로 지진 나면 지금 배운 거처럼 똑같이 하면 될 것 같아요."]

지진에 대비해 학교별로 실시하고 있는 지진체험교육.

하지만 3년에 고작 한 차례뿐이어서, 반복 훈련을 통해 몸에 익히기에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이상훈/전북119안전체험관 교관 : "실제 여기서 해보면 다들 그렇게 못 해요. 알고는 있지만,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선 거의 못 하고 있거든요."]

학생이 주도하는 재난 훈련을 실시하는 학교는 전국 475곳으로 늘었지만, 아직 전체 학교의 2.3%에 불과합니다.

[류상일/국가위기관리학회 학술부회장 : "지진 교육이 조금 더 세분화되고 상황에 맞게끔, 연령대에 맞게끔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지진을 계기 삼아 지진 대비 교육 비중을 유럽과 일본 수준으로 늘리고, 정규 교과에도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