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푸틴 방북 앞두고 ‘손님맞이’…정부 “군사협력 확대 안 돼”

입력 2024.06.14 (19:27) 수정 2024.06.14 (1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최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맞이할 준비를 하는 거로 보이는 동향이 여러 건 포착됐습니다.

정부는 이번 방북이 러시아와 북한 간 군사협력 확대로 이어져선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신지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KBS가 상업 위성 '플래닛 랩스'로 본 평양 김일성광장입니다.

이전에 없었던 사각형 형태의 공간들이 설치됐습니다.

외벽으로 둘러쳐진 공간 한가운데에는 무대로 추정되는 시설도 포착됐습니다.

흐릿한 사진이지만 외빈 숙소로 쓰이는 평양 백화원 영빈관 진입로에도 붉은 물체가 새롭게 보이고 있습니다.

곧 방북할 푸틴 대통령을 맞이할 준비를 하는 모습으로 추정됩니다.

지난해 9월에 이어 아홉 달 만에 다시 정상회담을 여는 북러는 군사적, 경제적 협력을 더 구체적으로 논의할 거로 전망됩니다.

북한이 러시아에 파견하는 근로자 규모를 크게 늘리는 방안도 논의될 가능성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오늘 우크라이나 전쟁 책임이 서방에 있다는 논평을 내며 러시아를 노골적으로 감쌌습니다.

통일부는 이같은 논평을 비판하며 러시아를 향해서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책임을 다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김인애/통일부 부대변인 : "(러시아와의) 불법적 무기거래로 국제규범을 노골적으로 훼손하고 있는 북한이 조국을 지키려는 우크라이나와 국제규범을 호소하려는 국제사회 노력을 폄훼하고 비난할 자격이 있는지 되묻고 싶습니다."]

김홍균 외교부 1차관은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부장관과 통화하고, 이번 방북이 러시아와 북한 간 군사협력 심화를 초래해선 안 된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한미는 또한 북한의 대남 도발과 긴장 고조 행위에도 단호히 대처하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전했습니다.

KBS 뉴스 신지혜입니다.

영상편집:김유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 푸틴 방북 앞두고 ‘손님맞이’…정부 “군사협력 확대 안 돼”
    • 입력 2024-06-14 19:27:17
    • 수정2024-06-14 19:42:16
    뉴스 7
[앵커]

북한이 최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맞이할 준비를 하는 거로 보이는 동향이 여러 건 포착됐습니다.

정부는 이번 방북이 러시아와 북한 간 군사협력 확대로 이어져선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신지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KBS가 상업 위성 '플래닛 랩스'로 본 평양 김일성광장입니다.

이전에 없었던 사각형 형태의 공간들이 설치됐습니다.

외벽으로 둘러쳐진 공간 한가운데에는 무대로 추정되는 시설도 포착됐습니다.

흐릿한 사진이지만 외빈 숙소로 쓰이는 평양 백화원 영빈관 진입로에도 붉은 물체가 새롭게 보이고 있습니다.

곧 방북할 푸틴 대통령을 맞이할 준비를 하는 모습으로 추정됩니다.

지난해 9월에 이어 아홉 달 만에 다시 정상회담을 여는 북러는 군사적, 경제적 협력을 더 구체적으로 논의할 거로 전망됩니다.

북한이 러시아에 파견하는 근로자 규모를 크게 늘리는 방안도 논의될 가능성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오늘 우크라이나 전쟁 책임이 서방에 있다는 논평을 내며 러시아를 노골적으로 감쌌습니다.

통일부는 이같은 논평을 비판하며 러시아를 향해서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책임을 다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김인애/통일부 부대변인 : "(러시아와의) 불법적 무기거래로 국제규범을 노골적으로 훼손하고 있는 북한이 조국을 지키려는 우크라이나와 국제규범을 호소하려는 국제사회 노력을 폄훼하고 비난할 자격이 있는지 되묻고 싶습니다."]

김홍균 외교부 1차관은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부장관과 통화하고, 이번 방북이 러시아와 북한 간 군사협력 심화를 초래해선 안 된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한미는 또한 북한의 대남 도발과 긴장 고조 행위에도 단호히 대처하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전했습니다.

KBS 뉴스 신지혜입니다.

영상편집:김유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