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공공병원 기능 회복 위해 의사 확충해야”

입력 2024.06.17 (17:42) 수정 2024.06.17 (17: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공공병원 기능 회복을 위해 의사 확충 등 의료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보건의료노조는 오늘(17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질적인 의사 부족 문제는 공공병원 기능을 약화하고 회복을 어렵게 하는 핵심 문제”라고 밝혔습니다.

노조는 35개 지방 의료원 전문의 수가 2022년 기준 1천94명(기관당 평균 31명), 2023년 1천116명(32명)이라면서 “250명∼350병상 규모 2차 민간병원의 자체 완결적인 필수 의료를 제공하려면 평균 55명의 전문의가 필요한데, 같은 규모의 지방의료원에는 전문의가 30명 안팎에 불과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공공병원 기능 회복과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의사 확보가 필수적이나, 의사 수급난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은 공공병원의 자금난을 더욱 심화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해 35개 지방의료원 의료비용에서 인건비(1천838억 원) 비중은 65.4%이고, 이 가운데 의사 인건비는 30%(3천261억 원)에 달한다는 것이 보건의료노조의 설명입니다.

노조는 퇴직연금을 제외한 전문의 연봉은 약 2억 5천300만 원으로, 의료노동자 연봉(약 5천100만 원)의 5배에 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들은 “전문의와 의료노동자의 연봉 격차가 5배 이상인 기관은 20곳이고, 최대 10.3배에 이르는 곳도 존재한다”며 “성과금을 포함한 실제 임금 격차는 더욱 크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전체 의료기관의 5%에 불과한 공공병원은 시설과 장비, 인력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코로나 환자 80% 이상을 전담했다”며 “공공병원들이 감염병 전담병원에서 해제된 지 만 2년이 됐지만, 여전히 회복하지 못한 채 무너지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

보건의료노조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공공병원 임금체불 문제를 해결하고, 기능 회복이 가능하도록 필요한 예산은 2025년 예산에 반영하라”면서 “의사 확보 대책을 조속히 실행하고, 정부가 책임지고 공공병원 의사를 양성하는 공공의대 설립을 추진하라”고 강조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보건의료노조 “공공병원 기능 회복 위해 의사 확충해야”
    • 입력 2024-06-17 17:42:39
    • 수정2024-06-17 17:44:54
    사회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공공병원 기능 회복을 위해 의사 확충 등 의료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보건의료노조는 오늘(17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질적인 의사 부족 문제는 공공병원 기능을 약화하고 회복을 어렵게 하는 핵심 문제”라고 밝혔습니다.

노조는 35개 지방 의료원 전문의 수가 2022년 기준 1천94명(기관당 평균 31명), 2023년 1천116명(32명)이라면서 “250명∼350병상 규모 2차 민간병원의 자체 완결적인 필수 의료를 제공하려면 평균 55명의 전문의가 필요한데, 같은 규모의 지방의료원에는 전문의가 30명 안팎에 불과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공공병원 기능 회복과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의사 확보가 필수적이나, 의사 수급난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은 공공병원의 자금난을 더욱 심화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해 35개 지방의료원 의료비용에서 인건비(1천838억 원) 비중은 65.4%이고, 이 가운데 의사 인건비는 30%(3천261억 원)에 달한다는 것이 보건의료노조의 설명입니다.

노조는 퇴직연금을 제외한 전문의 연봉은 약 2억 5천300만 원으로, 의료노동자 연봉(약 5천100만 원)의 5배에 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들은 “전문의와 의료노동자의 연봉 격차가 5배 이상인 기관은 20곳이고, 최대 10.3배에 이르는 곳도 존재한다”며 “성과금을 포함한 실제 임금 격차는 더욱 크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전체 의료기관의 5%에 불과한 공공병원은 시설과 장비, 인력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코로나 환자 80% 이상을 전담했다”며 “공공병원들이 감염병 전담병원에서 해제된 지 만 2년이 됐지만, 여전히 회복하지 못한 채 무너지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

보건의료노조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공공병원 임금체불 문제를 해결하고, 기능 회복이 가능하도록 필요한 예산은 2025년 예산에 반영하라”면서 “의사 확보 대책을 조속히 실행하고, 정부가 책임지고 공공병원 의사를 양성하는 공공의대 설립을 추진하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