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vs 공정위 이례적 ‘장외 공방’…미국(SEC) 공시 봤더니

입력 2024.06.17 (19: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13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쿠팡에 과징금 1천 400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쿠팡이 검색 순위를 자의적으로 조정하고, 임직원을 동원해 '셀프 후기'를 쓰게 했단 혐의입니다.

이후 쿠팡은 닷새째 공정위 주장을 반박하고 있는데요.

다소 '강한' 대응은 쿠팡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전자공시시스템(EDGAR)에 올린 공시 내용에도 드러납니다.

■ 정작 과징금 액수는 빠진 '공시'

공시는 육하원칙 위주로 쓰는 게 통상적입니다. 미국이라고 해서 다르지도 않을 겁니다.

같은 국내 기업인 KT가 2022년 SEC에 공시한 내용을 볼까요.

2022년 6월 KT가 SEC에 공시한 내용2022년 6월 KT가 SEC에 공시한 내용

서울중앙지법이 KT 전·현직 임원의 업무상 횡령 혐의에 약식명령을 내렸다는 내용인데, 누가 어떤 혐의로 어떤 조치를 받았는지 간략히 담았습니다.

반면 쿠팡은 어떨까요.

지난 14일 쿠팡이 SEC에 공시한 내용지난 14일 쿠팡이 SEC에 공시한 내용

먼저, "한국 공정위가 쿠팡의 검색 순위가 기만적이고 한국법을 위반했다고 발표했다"고 공시했습니다. 그러면서 검색 순위는 '한국과 전 세계 모든 전자상거래업체의 관행'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공정위가 과징금을 부과하고 시정 조치를 지시할 예정이라면서, 쿠팡은 "이 관행이 기만적이거나 한국 법을 위반하지 않는다고 믿는다"고 했습니다. "법정에서 적극적으로 항소할 예정"이라면서요.

그런데, 정작 과징금을 얼마 부과받았는지는 공시에 빠져있습니다.

■ 쿠팡 주가에 미친 영향은?…"통상적인 절차"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쿠팡의 주가는 공정위 제재 이후 하락했습니다.

종가 기준으로 12일에 22.69달러였다가, 14일 21.44달러로 소폭 떨어졌습니다.

쿠팡은 주가가 내려간 14일에 해당 공시를 올렸습니다.

이에 대해 한 회계법인 관계자는 "미국은 상장 유지와 관련한 규칙이 강하진 않다"면서 "어떤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지 투자자들에게 적절히 알리면 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회계상 재무제표에 과징금을 어떻게 반영할지를 투명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과징금을 부과받았지만 항고할 예정이거나, 내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라고 확신한다면 재무제표상 손실로 반영하지 않아도 된다는 겁니다.

절차 자체는 통상적이지만, 이 관계자는 공식적인 공시에 '감정과 의지'를 반영해 쓴 건 보편적이지 않다고도 덧붙였습니다.

■ 장외 공방 닷새째…보도자료 여론전?

쿠팡은 오늘(17일)도 보도자료를 내고 "모든 유통업체가 각자의 PB상품을 우선으로 추천 진열한다"고 했습니다.

제재를 발표한 당일인 13일 "더 이상 지금과 같은 로켓배송 서비스는 불가능하다"고 발표한 지 닷새째, 보도자료로는 세 번째입니다.

공정위는 지난 14일 "사건의 핵심은 쿠팡이 자기 상품에 구매 후기를 작성하고 소비자를 유인한 것"이라는 보도자료를 낸 뒤로 대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쿠팡 vs 공정위 이례적 ‘장외 공방’…미국(SEC) 공시 봤더니
    • 입력 2024-06-17 19:39:33
    심층K

지난 13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쿠팡에 과징금 1천 400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쿠팡이 검색 순위를 자의적으로 조정하고, 임직원을 동원해 '셀프 후기'를 쓰게 했단 혐의입니다.

이후 쿠팡은 닷새째 공정위 주장을 반박하고 있는데요.

다소 '강한' 대응은 쿠팡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전자공시시스템(EDGAR)에 올린 공시 내용에도 드러납니다.

■ 정작 과징금 액수는 빠진 '공시'

공시는 육하원칙 위주로 쓰는 게 통상적입니다. 미국이라고 해서 다르지도 않을 겁니다.

같은 국내 기업인 KT가 2022년 SEC에 공시한 내용을 볼까요.

2022년 6월 KT가 SEC에 공시한 내용
서울중앙지법이 KT 전·현직 임원의 업무상 횡령 혐의에 약식명령을 내렸다는 내용인데, 누가 어떤 혐의로 어떤 조치를 받았는지 간략히 담았습니다.

반면 쿠팡은 어떨까요.

지난 14일 쿠팡이 SEC에 공시한 내용
먼저, "한국 공정위가 쿠팡의 검색 순위가 기만적이고 한국법을 위반했다고 발표했다"고 공시했습니다. 그러면서 검색 순위는 '한국과 전 세계 모든 전자상거래업체의 관행'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공정위가 과징금을 부과하고 시정 조치를 지시할 예정이라면서, 쿠팡은 "이 관행이 기만적이거나 한국 법을 위반하지 않는다고 믿는다"고 했습니다. "법정에서 적극적으로 항소할 예정"이라면서요.

그런데, 정작 과징금을 얼마 부과받았는지는 공시에 빠져있습니다.

■ 쿠팡 주가에 미친 영향은?…"통상적인 절차"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쿠팡의 주가는 공정위 제재 이후 하락했습니다.

종가 기준으로 12일에 22.69달러였다가, 14일 21.44달러로 소폭 떨어졌습니다.

쿠팡은 주가가 내려간 14일에 해당 공시를 올렸습니다.

이에 대해 한 회계법인 관계자는 "미국은 상장 유지와 관련한 규칙이 강하진 않다"면서 "어떤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지 투자자들에게 적절히 알리면 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회계상 재무제표에 과징금을 어떻게 반영할지를 투명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과징금을 부과받았지만 항고할 예정이거나, 내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라고 확신한다면 재무제표상 손실로 반영하지 않아도 된다는 겁니다.

절차 자체는 통상적이지만, 이 관계자는 공식적인 공시에 '감정과 의지'를 반영해 쓴 건 보편적이지 않다고도 덧붙였습니다.

■ 장외 공방 닷새째…보도자료 여론전?

쿠팡은 오늘(17일)도 보도자료를 내고 "모든 유통업체가 각자의 PB상품을 우선으로 추천 진열한다"고 했습니다.

제재를 발표한 당일인 13일 "더 이상 지금과 같은 로켓배송 서비스는 불가능하다"고 발표한 지 닷새째, 보도자료로는 세 번째입니다.

공정위는 지난 14일 "사건의 핵심은 쿠팡이 자기 상품에 구매 후기를 작성하고 소비자를 유인한 것"이라는 보도자료를 낸 뒤로 대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