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군사분계선 세부 경계선 두고 신경전…군, 사격지침 9.19 이전으로 환원

입력 2024.06.17 (21:10) 수정 2024.06.17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북한군이 비무장지대에 벽을 세우려는 움직임에 군사분계선 침범까지 하자, 우리 군은 빈틈없는 대응에 나섰습니다.

우리 군이 전방 지역에서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작전수행절차 지침을 9.19 군사합의 이전 수준으로 환원시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임종빈 기잡니다.

[리포트]

1953년 7월 27일 발효된 정전 협정 체결 당시, 서쪽 교동도부터 동쪽 강원도 고성 명호리까지 1,292개의 말뚝이 평균 200미터 간격으로 세워졌습니다.

이 중 600여 개는 유엔사, 590여 개는 북측이 관리 중인데, 표지물 차원인 이 말뚝들을 연결한 가상의 선이 군사분계선인 셈입니다.

우리 군은 GPS를 이용한 감시 장비를 통해 유엔사가 정한 정확한 군사분계선 좌표와, 북한군의 침범 여부 등을 실시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장비가 없는 북한은 최근 군인들을 투입해 군사분계선의 정확한 지점을 살펴보는 거로 전해졌습니다.

지난 9일 북한군 수십 명이 군사분계선을 침범해 우리 군의 경고사격을 받고 물러난 것도 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당시 북한군 몇 명은 군사경계선을 반복적으로 넘었던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는데, 단순 실수인지, 의도가 있는 탐색인지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같은 북한군 병사들의 잦은 비무장지대 출몰이 목격되는 가운데, 우리 군도 9.19 군사합의 전부 효력 정지 이후 전방 지역에서의 대응 매뉴얼인 작전수행절차를 이전과 같이 환원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기존에는 2차례 경고 방송과 2차례 경고 사격 후 포획이나 조준 사격 등의 군사 행동에 들어가는 5단계 절차였지만, 최근 2차 경고 방송 뒤에 3차 경고 방송과 동시에 경고 사격을 한 뒤 군사 행동에 들어가는 4단계로 줄면서 대응 단계가 빨라진 겁니다.

한편, 북한군이 비무장지대에 세우고 있는 벽 구조물에 대해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대전차 장애물과 비슷한 방벽에 가깝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성준/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 "대전차 방벽이 건설된 것은, 수십 년 전에 이미 있었고 우리 군도 마찬가지로 그런 것들을 건설해서 가지고 있습니다."]

장 실장은 벽의 길이가 아직은 짧아서 장벽으로 판단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임종빈입니다.

촬영기자:최재혁/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 군사분계선 세부 경계선 두고 신경전…군, 사격지침 9.19 이전으로 환원
    • 입력 2024-06-17 21:10:55
    • 수정2024-06-17 22:04:19
    뉴스 9
[앵커]

최근 북한군이 비무장지대에 벽을 세우려는 움직임에 군사분계선 침범까지 하자, 우리 군은 빈틈없는 대응에 나섰습니다.

우리 군이 전방 지역에서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작전수행절차 지침을 9.19 군사합의 이전 수준으로 환원시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임종빈 기잡니다.

[리포트]

1953년 7월 27일 발효된 정전 협정 체결 당시, 서쪽 교동도부터 동쪽 강원도 고성 명호리까지 1,292개의 말뚝이 평균 200미터 간격으로 세워졌습니다.

이 중 600여 개는 유엔사, 590여 개는 북측이 관리 중인데, 표지물 차원인 이 말뚝들을 연결한 가상의 선이 군사분계선인 셈입니다.

우리 군은 GPS를 이용한 감시 장비를 통해 유엔사가 정한 정확한 군사분계선 좌표와, 북한군의 침범 여부 등을 실시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장비가 없는 북한은 최근 군인들을 투입해 군사분계선의 정확한 지점을 살펴보는 거로 전해졌습니다.

지난 9일 북한군 수십 명이 군사분계선을 침범해 우리 군의 경고사격을 받고 물러난 것도 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당시 북한군 몇 명은 군사경계선을 반복적으로 넘었던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는데, 단순 실수인지, 의도가 있는 탐색인지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같은 북한군 병사들의 잦은 비무장지대 출몰이 목격되는 가운데, 우리 군도 9.19 군사합의 전부 효력 정지 이후 전방 지역에서의 대응 매뉴얼인 작전수행절차를 이전과 같이 환원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기존에는 2차례 경고 방송과 2차례 경고 사격 후 포획이나 조준 사격 등의 군사 행동에 들어가는 5단계 절차였지만, 최근 2차 경고 방송 뒤에 3차 경고 방송과 동시에 경고 사격을 한 뒤 군사 행동에 들어가는 4단계로 줄면서 대응 단계가 빨라진 겁니다.

한편, 북한군이 비무장지대에 세우고 있는 벽 구조물에 대해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대전차 장애물과 비슷한 방벽에 가깝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성준/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 "대전차 방벽이 건설된 것은, 수십 년 전에 이미 있었고 우리 군도 마찬가지로 그런 것들을 건설해서 가지고 있습니다."]

장 실장은 벽의 길이가 아직은 짧아서 장벽으로 판단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KBS 뉴스 임종빈입니다.

촬영기자:최재혁/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