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병원 의사 최고 연봉 6억 원…의사 인건비로 경영위기”

입력 2024.06.18 (10:28) 수정 2024.06.18 (10: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 1인당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공공 의료기관의 연봉은 4억 원 수준이고, 개인 의사 최고 연봉은 6억 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4월 24일부터 한 달 동안 모두 113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의료현장 실태 조사를 한 결과를 오늘(18일) 공개했습니다.

의사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병원은 영남지역의 한 공공병원으로, 1인당 4억 원을 받았습니다.

경기 지역의 지방의료원과 호남 지역의 재활병원 의사 1인당 평균 연봉은 3억 9천만 원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개인 의사별로는 영남 지역 특수목적 공공병원의 의사가 6억 원으로 연봉이 가장 높았습니다.

충청 지역과 경기 지역 지방의료원 소속의 의사는 각각 5억 9천478만 원, 5억 3천200만 원을 받았습니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방병원과 중소병원의 의사 임금이 높다는 건 그만큼 이들 병원에서 의사를 구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라며 “이들 병원은 의사 구인난에 따른 진료과목 폐쇄와 진료 역량 붕괴, 경영 부담 증가 등의 악순환을 겪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보건의료노조는 병원 전체 인건비에서 의사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조사했습니다.

의사 인건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영남 지역의 한 민간 중소병원으로 40%를 차지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영남 민간 중소병원인 A병원(37.8%), 서울 사립대병원인 B병원(37%), 경기 민간 중소병원인 C병원(36.9%) 등의 순이었습니다.

최근 들어 집단휴진에 나서는 국립대병원과 사립대병원 등 대형병원 전문의 1인당 평균 임금은 1억 5천만∼2억 원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이는 연장·야간·휴일 근로수당이나 연차수당 등을 제외한 임금이라는 게 보건의료노조의 설명입니다.

보건의료노조는 “최고소득층인 의사들이 의사가 부족하지 않다며 의대 증원 백지화를 내걸고 환자 진료를 거부하는 데 대한 비판 여론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의사 단체들은 의사 부족과 구인난으로 지역·공공병원들이 필수 진료과를 폐쇄하고, 천정부지로 치솟는 의사 인건비 때문에 심각한 경영 위기를 겪는 현실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이어 “의사들은 집단 휴진에 나설 것이 아니라 국민이 납득할 수 있게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의사 적정 임금을 제시하고, 그 적정 임금을 받으며 필수·지역·공공의료에 근무하겠다는 대국민 약속이라도 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보건의료노조 홈페이지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공병원 의사 최고 연봉 6억 원…의사 인건비로 경영위기”
    • 입력 2024-06-18 10:28:21
    • 수정2024-06-18 10:31:45
    사회
의사 1인당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공공 의료기관의 연봉은 4억 원 수준이고, 개인 의사 최고 연봉은 6억 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4월 24일부터 한 달 동안 모두 113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의료현장 실태 조사를 한 결과를 오늘(18일) 공개했습니다.

의사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병원은 영남지역의 한 공공병원으로, 1인당 4억 원을 받았습니다.

경기 지역의 지방의료원과 호남 지역의 재활병원 의사 1인당 평균 연봉은 3억 9천만 원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개인 의사별로는 영남 지역 특수목적 공공병원의 의사가 6억 원으로 연봉이 가장 높았습니다.

충청 지역과 경기 지역 지방의료원 소속의 의사는 각각 5억 9천478만 원, 5억 3천200만 원을 받았습니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방병원과 중소병원의 의사 임금이 높다는 건 그만큼 이들 병원에서 의사를 구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라며 “이들 병원은 의사 구인난에 따른 진료과목 폐쇄와 진료 역량 붕괴, 경영 부담 증가 등의 악순환을 겪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보건의료노조는 병원 전체 인건비에서 의사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조사했습니다.

의사 인건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영남 지역의 한 민간 중소병원으로 40%를 차지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영남 민간 중소병원인 A병원(37.8%), 서울 사립대병원인 B병원(37%), 경기 민간 중소병원인 C병원(36.9%) 등의 순이었습니다.

최근 들어 집단휴진에 나서는 국립대병원과 사립대병원 등 대형병원 전문의 1인당 평균 임금은 1억 5천만∼2억 원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이는 연장·야간·휴일 근로수당이나 연차수당 등을 제외한 임금이라는 게 보건의료노조의 설명입니다.

보건의료노조는 “최고소득층인 의사들이 의사가 부족하지 않다며 의대 증원 백지화를 내걸고 환자 진료를 거부하는 데 대한 비판 여론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의사 단체들은 의사 부족과 구인난으로 지역·공공병원들이 필수 진료과를 폐쇄하고, 천정부지로 치솟는 의사 인건비 때문에 심각한 경영 위기를 겪는 현실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이어 “의사들은 집단 휴진에 나설 것이 아니라 국민이 납득할 수 있게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의사 적정 임금을 제시하고, 그 적정 임금을 받으며 필수·지역·공공의료에 근무하겠다는 대국민 약속이라도 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보건의료노조 홈페이지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