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진 안보실장 “우크라 무기 지원, 러시아 하기 나름”

입력 2024.06.23 (21:13) 수정 2024.06.24 (13: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과 러시아가 군사동맹에 준하는 조약을 맺자 한러 관계가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양국 간엔 그간 넘지 말아야 할 선이 있다 이런 평가였는데요.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러시아가 북한에 첨단 무기를 넘긴다면 우리가 지켜야 할 어떤 선도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김경진 기잡니다.

[리포트]

러시아는 북한에 핵심 군사기술을 이전하지 않고,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 한러가 그동안 언급해 온 이른바 '레드라인'입니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이번 북러 조약으로 러시아가 '레드라인'에 가까워졌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북한에 첨단 무기를 넘긴다면, 우리가 지켜야 할 어떤 선도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장호진/국가안보실장 : "고도의 정밀 무기를 북한에 준다? 그럼 우리가 더 이상 어떤 선이 있겠습니까. 국민들의 여론도 그럴 것이고, 그런 부분은 러시아 측이 좀 고려할 필요가 있다…."]

북러 조약 체결로 러시아가 이미 레드라인을 넘겼다는 시각도 있지만, 장 실장은 "앞으로 러시아 하기 나름"이라며 공간을 열어뒀습니다.

러시아의 의중을 좀더 파악해보고, 실제 무기 이전 동향을 확인한 뒤 살상무기든 비살상무기든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의 조합을 결정하겠단 겁니다.

["한러 관계를 (우크라이나) 전쟁 후에 다시 복원시키고 발전시키고 싶으면 러시아 측이 심사숙고해라, 하는 말씀을 제가 다시 드리고 싶고."]

최근 북한군의 DMZ 내 대전차 방벽 건설 등의 움직임에 대해선 남한과의 접촉 차단이 목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남한에 대한 동경 같은 것들이 이제는 체제 위협 요인까지 다다랐기 때문에 일단 그것부터 차단해야 된다."]

장 실장은 또 대북 전달 살포가 계속되면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북한이 무력 도발을 할 수도 있다며, 유형별 시나리오를 가지고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편집:송화인/그래픽:노경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호진 안보실장 “우크라 무기 지원, 러시아 하기 나름”
    • 입력 2024-06-23 21:13:40
    • 수정2024-06-24 13:22:22
    뉴스 9
[앵커]

북한과 러시아가 군사동맹에 준하는 조약을 맺자 한러 관계가 시험대에 올랐습니다.

양국 간엔 그간 넘지 말아야 할 선이 있다 이런 평가였는데요.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러시아가 북한에 첨단 무기를 넘긴다면 우리가 지켜야 할 어떤 선도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김경진 기잡니다.

[리포트]

러시아는 북한에 핵심 군사기술을 이전하지 않고,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 한러가 그동안 언급해 온 이른바 '레드라인'입니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이번 북러 조약으로 러시아가 '레드라인'에 가까워졌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북한에 첨단 무기를 넘긴다면, 우리가 지켜야 할 어떤 선도 더 이상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장호진/국가안보실장 : "고도의 정밀 무기를 북한에 준다? 그럼 우리가 더 이상 어떤 선이 있겠습니까. 국민들의 여론도 그럴 것이고, 그런 부분은 러시아 측이 좀 고려할 필요가 있다…."]

북러 조약 체결로 러시아가 이미 레드라인을 넘겼다는 시각도 있지만, 장 실장은 "앞으로 러시아 하기 나름"이라며 공간을 열어뒀습니다.

러시아의 의중을 좀더 파악해보고, 실제 무기 이전 동향을 확인한 뒤 살상무기든 비살상무기든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의 조합을 결정하겠단 겁니다.

["한러 관계를 (우크라이나) 전쟁 후에 다시 복원시키고 발전시키고 싶으면 러시아 측이 심사숙고해라, 하는 말씀을 제가 다시 드리고 싶고."]

최근 북한군의 DMZ 내 대전차 방벽 건설 등의 움직임에 대해선 남한과의 접촉 차단이 목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남한에 대한 동경 같은 것들이 이제는 체제 위협 요인까지 다다랐기 때문에 일단 그것부터 차단해야 된다."]

장 실장은 또 대북 전달 살포가 계속되면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북한이 무력 도발을 할 수도 있다며, 유형별 시나리오를 가지고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편집:송화인/그래픽:노경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