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정전 직후 미8군 사령관이 부산 범어사를 찾은 이유는?

입력 2024.06.25 (14: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의 대표적인 고찰 범어사의 모습을 담은 6·25전쟁 정전 직후 영상입니다. 범어사를 방문하는 여러 미군의 모습이 보입니다. 미8군 사령관 밴 플리트 장군과 부하들입니다. 이들이 범어사를 찾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1951년 한국에 온 미 8군 사령관 밴 플리트 장군. 그의 외아들 지미 밴 플리트는 1952년 한국 전쟁에 공군 조종사로 참전해 전쟁을 치르다 실종됩니다. 이 사실은 미군 신문에까지 알려지면서 지미 밴 플리트를 찾아야 한다는 여론이 높았는데요. 하지만 국군과 유엔군은 지미 밴 플리트를 찾기 위해 대대적인 수색을 벌이지만 별다른 성과를 올리지 못합니다.

그러자 밴 플리트 장군은 당시 유엔군 총사령관에게 한 장의 편지를 보냅니다. 실종된 아들의 수색을 중단해 달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아들을 찾기 위해 또다른 군인들을 위험한 곳에 보낼 수 없다는 이유였습니다. 결국, 이 건의는 받아들여 지고 수색은 중단됩니다.

이후, 정전협정이 체결되자마자 밴 플리트 장군은 범어사를 찾았는데요. 이곳에서 장군과 부하들은 실종된 아들을 비롯해 또 전쟁에서 숨진 수많은 전사자의 넋을 위로했습니다.

위령제를 지내는 범어사 스님들 모습위령제를 지내는 범어사 스님들 모습

6.25 당시 범어사에선 스님들이 낙동강 전투에서 산화한 수많은 장병의 유해를 직접 화장하고, 안장하는 일을 맡았습니다.
이승만 대통령도 참석해 숨진 국군과 유엔군의 넋을 기리는 추모제도 열렸다고 합니다.

범어사에서 열린 추모제 모습범어사에서 열린 추모제 모습

70년도 더 지난 일이지만, 젊은 시절 범어사에서 수계를 받으며 이 일을 직접 겪은 일미 스님에게 그때의 기억은 선명합니다. 범어사 대웅전 앞에 있는 일종의 강당 격인 보제루, 당시 이 건물에는 군인들의 시신이 가득했다고 합니다. 보제루에 모셔졌던 시신들을 범어사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에 있는 암자인 계명암 아래 화장터에서 직접 승려들이 화장했다고 합니다. 사실상 국가 현충원 역할을 한 것입니다.


경남 양산 통도사 벽면에 쓰여진 시의 일부입니다.

통도사야, 잘 있거라. 정든 통도사를 떠나려고 하려 마는 세상이 하도 수상하니 갈 수밖에 더 있느냐?

이 글은 통도사에 입원했다 떠난 국군 장병이 남겼습니다. 치열한 낙동강 전투로 군 병원에 환자가 넘쳐나자 일부는 통도사로 이송됐습니다. 통도사는 군 병원의 분원으로, 야전병원의 역할을 했습니다.


6·25 전쟁 초기 북한군에 밀리던 전세를 인천상륙작전으로 역전할 수 있었던 계기는 우리 국군과 유엔군이 낙동강 방어선을 지켜준 덕분입니다. 6주 동안의 치열한 전투에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이들을 치료하고, 전사한 장병의 명복을 빌어준 곳이 양산 통도사와 부산 범어사입니다.

KBS는 부경근대사료연구소를 통해 당시 위령제를 찾은 군인들의 모습이 담긴 영상을 확보했고, 인공지능으로 이 영상을 복원했습니다. 이들의 '호국불교' 정신을 담은 KBS 6.25특집 다큐멘터리 '산사의 전우들'은 KBS 유튜브 채널 ( KBS부산 유튜브채널_ https://www.youtube.com/watch?v=_p5nHa-Azuc)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6.25 정전 직후 미8군 사령관이 부산 범어사를 찾은 이유는?
    • 입력 2024-06-25 14:00:26
    심층K

부산의 대표적인 고찰 범어사의 모습을 담은 6·25전쟁 정전 직후 영상입니다. 범어사를 방문하는 여러 미군의 모습이 보입니다. 미8군 사령관 밴 플리트 장군과 부하들입니다. 이들이 범어사를 찾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1951년 한국에 온 미 8군 사령관 밴 플리트 장군. 그의 외아들 지미 밴 플리트는 1952년 한국 전쟁에 공군 조종사로 참전해 전쟁을 치르다 실종됩니다. 이 사실은 미군 신문에까지 알려지면서 지미 밴 플리트를 찾아야 한다는 여론이 높았는데요. 하지만 국군과 유엔군은 지미 밴 플리트를 찾기 위해 대대적인 수색을 벌이지만 별다른 성과를 올리지 못합니다.

그러자 밴 플리트 장군은 당시 유엔군 총사령관에게 한 장의 편지를 보냅니다. 실종된 아들의 수색을 중단해 달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아들을 찾기 위해 또다른 군인들을 위험한 곳에 보낼 수 없다는 이유였습니다. 결국, 이 건의는 받아들여 지고 수색은 중단됩니다.

이후, 정전협정이 체결되자마자 밴 플리트 장군은 범어사를 찾았는데요. 이곳에서 장군과 부하들은 실종된 아들을 비롯해 또 전쟁에서 숨진 수많은 전사자의 넋을 위로했습니다.

위령제를 지내는 범어사 스님들 모습
6.25 당시 범어사에선 스님들이 낙동강 전투에서 산화한 수많은 장병의 유해를 직접 화장하고, 안장하는 일을 맡았습니다.
이승만 대통령도 참석해 숨진 국군과 유엔군의 넋을 기리는 추모제도 열렸다고 합니다.

범어사에서 열린 추모제 모습
70년도 더 지난 일이지만, 젊은 시절 범어사에서 수계를 받으며 이 일을 직접 겪은 일미 스님에게 그때의 기억은 선명합니다. 범어사 대웅전 앞에 있는 일종의 강당 격인 보제루, 당시 이 건물에는 군인들의 시신이 가득했다고 합니다. 보제루에 모셔졌던 시신들을 범어사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에 있는 암자인 계명암 아래 화장터에서 직접 승려들이 화장했다고 합니다. 사실상 국가 현충원 역할을 한 것입니다.


경남 양산 통도사 벽면에 쓰여진 시의 일부입니다.

통도사야, 잘 있거라. 정든 통도사를 떠나려고 하려 마는 세상이 하도 수상하니 갈 수밖에 더 있느냐?

이 글은 통도사에 입원했다 떠난 국군 장병이 남겼습니다. 치열한 낙동강 전투로 군 병원에 환자가 넘쳐나자 일부는 통도사로 이송됐습니다. 통도사는 군 병원의 분원으로, 야전병원의 역할을 했습니다.


6·25 전쟁 초기 북한군에 밀리던 전세를 인천상륙작전으로 역전할 수 있었던 계기는 우리 국군과 유엔군이 낙동강 방어선을 지켜준 덕분입니다. 6주 동안의 치열한 전투에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이들을 치료하고, 전사한 장병의 명복을 빌어준 곳이 양산 통도사와 부산 범어사입니다.

KBS는 부경근대사료연구소를 통해 당시 위령제를 찾은 군인들의 모습이 담긴 영상을 확보했고, 인공지능으로 이 영상을 복원했습니다. 이들의 '호국불교' 정신을 담은 KBS 6.25특집 다큐멘터리 '산사의 전우들'은 KBS 유튜브 채널 ( KBS부산 유튜브채널_ https://www.youtube.com/watch?v=_p5nHa-Azuc)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