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늘어나는데…“맞춤형 진화 필요”
입력 2024.06.25 (21:28)
수정 2024.06.26 (08: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화재로 인해 리튬 배터리가 들어간 제품에 대해서도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전기차 화재가 늘면서 소비자 불안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전기차 화재의 특성과 대응 방법을 김지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화재로 인해 거의 뼈대만 남은 차량 밑으로 물을 뿌려댑니다.
전기차 배터리 쪽에서 불이 계속 되면서 완전 진화까지 3시간 가까이 걸렸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는 물, 그것도 아주 많은 물로 빠르게 냉각시키는 것 외엔 현재까지 마땅한 진화 방법이 없습니다.
이 방법이라면 불이 난 전기차를 수조에 빠트리는 것이 가장 확실하지만, 제약 조건이 많습니다.
[윤여송/한국기술교육대학교 안전환경공학과 교수 : "전기차에다 싣고 다닐 수도 없잖아요. 이동용 수조를 가지고 가서 진압을 해야 되는데 어렵죠. (설치할)지하 공간도 없을 뿐더러…"]
배터리가 설치돼 있는 차량 바닥면에 노즐을 넣어 많은 양의 물을 뿌리는 것이 초기 진압에 적합하다고 평가되지만 아직 규격화 돼있지 않습니다.
불난 차에 덮어 화재 확산을 조기에 막을 수 있는 질식 소화포가 일부 지역에선 권고되고 있지만 진압보단 확산 방지 측면이 큽니다.
[최현호/한국화재감식학회 기술위원장 : "법적으로 질식 소화포를 배치해서 초기에 운전자나 또는 주변에 있는 사람이 덮어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소방 활동 장비로서 꼭 필요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전기차 화재도 늘고 있는 상황.
전문가들은 전기차에 화재가 났을 경우 진화보다는 대피가 우선이라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박미주
이번 화재로 인해 리튬 배터리가 들어간 제품에 대해서도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전기차 화재가 늘면서 소비자 불안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전기차 화재의 특성과 대응 방법을 김지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화재로 인해 거의 뼈대만 남은 차량 밑으로 물을 뿌려댑니다.
전기차 배터리 쪽에서 불이 계속 되면서 완전 진화까지 3시간 가까이 걸렸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는 물, 그것도 아주 많은 물로 빠르게 냉각시키는 것 외엔 현재까지 마땅한 진화 방법이 없습니다.
이 방법이라면 불이 난 전기차를 수조에 빠트리는 것이 가장 확실하지만, 제약 조건이 많습니다.
[윤여송/한국기술교육대학교 안전환경공학과 교수 : "전기차에다 싣고 다닐 수도 없잖아요. 이동용 수조를 가지고 가서 진압을 해야 되는데 어렵죠. (설치할)지하 공간도 없을 뿐더러…"]
배터리가 설치돼 있는 차량 바닥면에 노즐을 넣어 많은 양의 물을 뿌리는 것이 초기 진압에 적합하다고 평가되지만 아직 규격화 돼있지 않습니다.
불난 차에 덮어 화재 확산을 조기에 막을 수 있는 질식 소화포가 일부 지역에선 권고되고 있지만 진압보단 확산 방지 측면이 큽니다.
[최현호/한국화재감식학회 기술위원장 : "법적으로 질식 소화포를 배치해서 초기에 운전자나 또는 주변에 있는 사람이 덮어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소방 활동 장비로서 꼭 필요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전기차 화재도 늘고 있는 상황.
전문가들은 전기차에 화재가 났을 경우 진화보다는 대피가 우선이라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기차 화재 늘어나는데…“맞춤형 진화 필요”
-
- 입력 2024-06-25 21:28:44
- 수정2024-06-26 08:00:44

[앵커]
이번 화재로 인해 리튬 배터리가 들어간 제품에 대해서도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전기차 화재가 늘면서 소비자 불안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전기차 화재의 특성과 대응 방법을 김지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화재로 인해 거의 뼈대만 남은 차량 밑으로 물을 뿌려댑니다.
전기차 배터리 쪽에서 불이 계속 되면서 완전 진화까지 3시간 가까이 걸렸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는 물, 그것도 아주 많은 물로 빠르게 냉각시키는 것 외엔 현재까지 마땅한 진화 방법이 없습니다.
이 방법이라면 불이 난 전기차를 수조에 빠트리는 것이 가장 확실하지만, 제약 조건이 많습니다.
[윤여송/한국기술교육대학교 안전환경공학과 교수 : "전기차에다 싣고 다닐 수도 없잖아요. 이동용 수조를 가지고 가서 진압을 해야 되는데 어렵죠. (설치할)지하 공간도 없을 뿐더러…"]
배터리가 설치돼 있는 차량 바닥면에 노즐을 넣어 많은 양의 물을 뿌리는 것이 초기 진압에 적합하다고 평가되지만 아직 규격화 돼있지 않습니다.
불난 차에 덮어 화재 확산을 조기에 막을 수 있는 질식 소화포가 일부 지역에선 권고되고 있지만 진압보단 확산 방지 측면이 큽니다.
[최현호/한국화재감식학회 기술위원장 : "법적으로 질식 소화포를 배치해서 초기에 운전자나 또는 주변에 있는 사람이 덮어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소방 활동 장비로서 꼭 필요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전기차 화재도 늘고 있는 상황.
전문가들은 전기차에 화재가 났을 경우 진화보다는 대피가 우선이라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박미주
이번 화재로 인해 리튬 배터리가 들어간 제품에 대해서도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전기차 화재가 늘면서 소비자 불안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전기차 화재의 특성과 대응 방법을 김지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화재로 인해 거의 뼈대만 남은 차량 밑으로 물을 뿌려댑니다.
전기차 배터리 쪽에서 불이 계속 되면서 완전 진화까지 3시간 가까이 걸렸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는 물, 그것도 아주 많은 물로 빠르게 냉각시키는 것 외엔 현재까지 마땅한 진화 방법이 없습니다.
이 방법이라면 불이 난 전기차를 수조에 빠트리는 것이 가장 확실하지만, 제약 조건이 많습니다.
[윤여송/한국기술교육대학교 안전환경공학과 교수 : "전기차에다 싣고 다닐 수도 없잖아요. 이동용 수조를 가지고 가서 진압을 해야 되는데 어렵죠. (설치할)지하 공간도 없을 뿐더러…"]
배터리가 설치돼 있는 차량 바닥면에 노즐을 넣어 많은 양의 물을 뿌리는 것이 초기 진압에 적합하다고 평가되지만 아직 규격화 돼있지 않습니다.
불난 차에 덮어 화재 확산을 조기에 막을 수 있는 질식 소화포가 일부 지역에선 권고되고 있지만 진압보단 확산 방지 측면이 큽니다.
[최현호/한국화재감식학회 기술위원장 : "법적으로 질식 소화포를 배치해서 초기에 운전자나 또는 주변에 있는 사람이 덮어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소방 활동 장비로서 꼭 필요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전기차 화재도 늘고 있는 상황.
전문가들은 전기차에 화재가 났을 경우 진화보다는 대피가 우선이라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박미주
-
-
김지숙 기자 vox@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