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의대 교수들, 휴진 유예…“환자들과 국민 위한 결정”

입력 2024.06.26 (08:50) 수정 2024.06.26 (08: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삼성창원병원 교수들이 속한 성균관의대 교수들이 장기간 휴진을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성균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어제(26일) 총회 결과 800여 명의 교수 가운데 502명의 교수들이 응답했고, "절반 이상의 교수가 일정 기간(일주일 또는 그 이상)의 휴진에 찬성했다"면서 "환자들과 국민을 위한 고뇌 끝에 일정 기간의 휴진을 시작하는 조치를 일시 유예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하지만 전공의, 학생 또는 의대 교수에 대한 부당한 처벌이 현실화될 경우, 잘못된 의대증원 정책과 의료정책이 여전히 수정되지 않을 경우 등 추후 상황 변동 시 불가피하게 전면적인 무기한 휴진을 추진할 수밖에 없음을 동의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성균관의대 교수들 휴진 유예…"전공의·교수 수사 중단해야"

비대위는 휴진 행동 시 정부에 요구하는 사항으로는 ▲전공의, 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의 취소 ▲필수의료 정책패키지의 쟁점 사안 수정, 보완 ▲의대정원 증원안 재논의 ▲의대생 8대 요구안 및 전공의 7대 요구안 전면 수용 등 4가지를 제시했습니다.

성균관의대 비대위는 "정부는 하루 속히 잘못된 의대증원 정책과 의료정책을 올바른 방향으로 선회하고, 전공의, 학생 또는 의대 교수에 대한 부당한 처벌을 하지 않아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며 "특히 최근 서울의대 교수들에 대한 부당한 경찰 수사를 즉각 중단할 것을 요청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휴진을 결의하였던 서울대, 연세대, 울산대 교수들의 결정을 존중하고, 환자들을 걱정해 휴진을 중단키로 결정하게 된 서울대 교수들의 결정 역시 존중한다"며 "휴진 시작을 유예하기로 결정한 가톨릭대 교수 비대위의 결정을 깊이 공감하고 존중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비대위는 휴진 외 여러 대응책으로 ▲ 주 40시간·52시간 근무 준수 ▲ 대학의 편법적 강의 요청 거부 ▲ 주 1회 정례적인 휴진을 통한 교수 번아웃 예방·휴진 일에 의료정책 토론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진료 준수 ▲ 보건복지부·교육부 정책 자문 요청에 무대응 등이 제안됐다고 밝혔습니다.

비대위는 "현 시점 심각한 의료 붕괴 위기를 해결해야 할 책임은 온전히 정부에 있음을 밝힌다"며 "부디 정부는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요구사항을 진지하게 검토해 무한한 책임감을 갖고 올바른 방향으로 선회하기를 강력 요청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의료계 휴진 '주춤'…휴진 예고한 병원도 상황 주시

이른바 '빅5' 병원 가운데에는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던 서울대병원이 진료에 복귀했고, 휴진을 논의하던 서울성모병원 교수 등이 속한 가톨릭의대 교수 비대위도 무기한 휴진을 당분간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각각 내일(27일)과 다음 달 4일 휴진을 예고한 세브란스병원 교수들과 서울아산병원 교수들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균관의대 교수들, 휴진 유예…“환자들과 국민 위한 결정”
    • 입력 2024-06-26 08:50:39
    • 수정2024-06-26 08:50:53
    심층K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삼성창원병원 교수들이 속한 성균관의대 교수들이 장기간 휴진을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성균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어제(26일) 총회 결과 800여 명의 교수 가운데 502명의 교수들이 응답했고, "절반 이상의 교수가 일정 기간(일주일 또는 그 이상)의 휴진에 찬성했다"면서 "환자들과 국민을 위한 고뇌 끝에 일정 기간의 휴진을 시작하는 조치를 일시 유예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하지만 전공의, 학생 또는 의대 교수에 대한 부당한 처벌이 현실화될 경우, 잘못된 의대증원 정책과 의료정책이 여전히 수정되지 않을 경우 등 추후 상황 변동 시 불가피하게 전면적인 무기한 휴진을 추진할 수밖에 없음을 동의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성균관의대 교수들 휴진 유예…"전공의·교수 수사 중단해야"

비대위는 휴진 행동 시 정부에 요구하는 사항으로는 ▲전공의, 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의 취소 ▲필수의료 정책패키지의 쟁점 사안 수정, 보완 ▲의대정원 증원안 재논의 ▲의대생 8대 요구안 및 전공의 7대 요구안 전면 수용 등 4가지를 제시했습니다.

성균관의대 비대위는 "정부는 하루 속히 잘못된 의대증원 정책과 의료정책을 올바른 방향으로 선회하고, 전공의, 학생 또는 의대 교수에 대한 부당한 처벌을 하지 않아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며 "특히 최근 서울의대 교수들에 대한 부당한 경찰 수사를 즉각 중단할 것을 요청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휴진을 결의하였던 서울대, 연세대, 울산대 교수들의 결정을 존중하고, 환자들을 걱정해 휴진을 중단키로 결정하게 된 서울대 교수들의 결정 역시 존중한다"며 "휴진 시작을 유예하기로 결정한 가톨릭대 교수 비대위의 결정을 깊이 공감하고 존중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비대위는 휴진 외 여러 대응책으로 ▲ 주 40시간·52시간 근무 준수 ▲ 대학의 편법적 강의 요청 거부 ▲ 주 1회 정례적인 휴진을 통한 교수 번아웃 예방·휴진 일에 의료정책 토론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진료 준수 ▲ 보건복지부·교육부 정책 자문 요청에 무대응 등이 제안됐다고 밝혔습니다.

비대위는 "현 시점 심각한 의료 붕괴 위기를 해결해야 할 책임은 온전히 정부에 있음을 밝힌다"며 "부디 정부는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요구사항을 진지하게 검토해 무한한 책임감을 갖고 올바른 방향으로 선회하기를 강력 요청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의료계 휴진 '주춤'…휴진 예고한 병원도 상황 주시

이른바 '빅5' 병원 가운데에는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던 서울대병원이 진료에 복귀했고, 휴진을 논의하던 서울성모병원 교수 등이 속한 가톨릭의대 교수 비대위도 무기한 휴진을 당분간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각각 내일(27일)과 다음 달 4일 휴진을 예고한 세브란스병원 교수들과 서울아산병원 교수들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