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시대, 지상파 보호 시급”…방송 ‘규제 개혁’ 한목소리

입력 2024.06.26 (19:27) 수정 2024.06.26 (19: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우리나라에서 만든 각종 콘텐츠가 해외 시장을 움직이고 있죠.

이른바 K-콘텐츠의 성장을 위해서는 기존 지상파 방송의 역할을 보호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진단이 나왔습니다.

방송 규제에 대한 변화 필요성에도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이정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규모 자본을 무기로 세계 미디어 시장에 등장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OTT.

OTT의 홍수 속에 지난해 지상파 광고 매출은 1년 만에 20% 넘게 감소하며 위기를 맞았습니다.

[이상원/경희대 미디어학과 교수 : "(지상파 방송은) 2022년 대비 2023년에 방송 사업 매출이 10.1%, 그다음 광고 매출이 23.3%, 협찬 매출도 조금 감소했고…."]

OTT 쏠림 현상은 지상파 방송의 투자 악화로 이어졌습니다.

실제로 지상파 제작비는 2019년 2조 7천5백억 원에서 지난해 2조 8천3백억 원으로 4년간 8백억 원 느는데 그쳤습니다.

반면 디즈니플러스의 드라마 '무빙'은 제작비만 5백억 원, '오징어 게임' 두 번째 시즌도 1천억 원의 제작비를 투입했습니다.

OTT 콘텐츠 한 편 제작비가 지상파 방송 4년 치 투자 증가액을 넘어선 겁니다.

문제는 지상파 경영 악화가 교양·시사 프로그램 등 공공성 영역의 붕괴로 이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홍원식/동덕여대 교양교직학부 교수 : "방송의 공공성, 사회적 가치는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가 쉽게 대체하기 어려운 방송이 갖고 있는 고유한 영역이라는 거죠. (이 영역을) 가치 산정을 하지 않으면 방송의 공공적 속성이 그냥 시장의 힘에 의해서 다 휩쓸려 가버릴 위험도…."]

하지만 국내 방송 시장 전체 제작비의 절반은 여전히 지상파가 담당하는 상황.

자칫 지상파 붕괴가 국내 제작 시장 전체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입니다.

[조성동/인하대 언론홍보학과 교수 : "(정부가) 국내 콘텐츠의 안정감, 이런 것들을 위해서 뭔가 나서야 되지 않을까. 그렇지 않으면 과연 지금 상황에서 어떤 역할들이 가능할까라는…."]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광고 규제나 편성 규제 등의 규제 개혁을 통해 지상파 방송의 경쟁력을 살려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김지훈/화면제공: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OTT 시대, 지상파 보호 시급”…방송 ‘규제 개혁’ 한목소리
    • 입력 2024-06-26 19:27:08
    • 수정2024-06-26 19:35:12
    뉴스 7
[앵커]

요즘 우리나라에서 만든 각종 콘텐츠가 해외 시장을 움직이고 있죠.

이른바 K-콘텐츠의 성장을 위해서는 기존 지상파 방송의 역할을 보호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진단이 나왔습니다.

방송 규제에 대한 변화 필요성에도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이정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규모 자본을 무기로 세계 미디어 시장에 등장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OTT.

OTT의 홍수 속에 지난해 지상파 광고 매출은 1년 만에 20% 넘게 감소하며 위기를 맞았습니다.

[이상원/경희대 미디어학과 교수 : "(지상파 방송은) 2022년 대비 2023년에 방송 사업 매출이 10.1%, 그다음 광고 매출이 23.3%, 협찬 매출도 조금 감소했고…."]

OTT 쏠림 현상은 지상파 방송의 투자 악화로 이어졌습니다.

실제로 지상파 제작비는 2019년 2조 7천5백억 원에서 지난해 2조 8천3백억 원으로 4년간 8백억 원 느는데 그쳤습니다.

반면 디즈니플러스의 드라마 '무빙'은 제작비만 5백억 원, '오징어 게임' 두 번째 시즌도 1천억 원의 제작비를 투입했습니다.

OTT 콘텐츠 한 편 제작비가 지상파 방송 4년 치 투자 증가액을 넘어선 겁니다.

문제는 지상파 경영 악화가 교양·시사 프로그램 등 공공성 영역의 붕괴로 이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홍원식/동덕여대 교양교직학부 교수 : "방송의 공공성, 사회적 가치는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가 쉽게 대체하기 어려운 방송이 갖고 있는 고유한 영역이라는 거죠. (이 영역을) 가치 산정을 하지 않으면 방송의 공공적 속성이 그냥 시장의 힘에 의해서 다 휩쓸려 가버릴 위험도…."]

하지만 국내 방송 시장 전체 제작비의 절반은 여전히 지상파가 담당하는 상황.

자칫 지상파 붕괴가 국내 제작 시장 전체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입니다.

[조성동/인하대 언론홍보학과 교수 : "(정부가) 국내 콘텐츠의 안정감, 이런 것들을 위해서 뭔가 나서야 되지 않을까. 그렇지 않으면 과연 지금 상황에서 어떤 역할들이 가능할까라는…."]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광고 규제나 편성 규제 등의 규제 개혁을 통해 지상파 방송의 경쟁력을 살려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김지훈/화면제공: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