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북한 미사일, 상승 단계부터 비정상 회전하다가 공중폭발”

입력 2024.06.28 (11:40) 수정 2024.06.28 (11: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이틀 전 발사하고 ‘성공적인 다탄두 시험’이었다고 주장한 탄도미사일을 발사 전부터 추적했으며 실패 정황을 명확하게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지난 26일 오전 5시 30분쯤 발사한 미사일은 우리 군은 대탄도탄 감시 레이더와 지상 감시자산에 탐지됐습니다. 전방 부대에서 운영하는 열상감시장비(TOD)로 촬영된 영상에서는 상승 단계부터 동체가 비정상적으로 회전하다가 공중에서 폭발하는 모습까지 식별됐습니다.

군은 “상승 단계부터 비정상적 비행 양상이 식별됐으며, 이런 비행 불안정성이 미사일의 폭발을 야기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두고 북한이 ‘다탄두 각개 목표 재돌입체’(MIRV)에 해당하는 미사일 시험이었다고 주장한 데 대해서는 “한미는 ‘실패를 덮기 위한 과장’이라고 평가했다”고 밝혔습니다.

군은 “향후 북한은 이번에 실패한 미사일의 재발사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후속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은 발사 다음 날인 27일 관영 매체를 통해 “개별기동 전투부(탄두) 분리 및 유도조종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며 “중장거리 고체 탄도미사일 1계단 발동기를 이용”했고, 분리된 탄두들이 “설정된 3개의 목표 좌표점들로 정확히 유도됐다”고 주장했습니다.

군은 발사 당일에도 북한 미사일이 공중 폭발해 파편으로 흩어지면서 발사가 실패로 끝났다고 평가했고, 27일에는 북한이 공개한 발사 장면의 미사일 형상이 기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과 유사하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중앙통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합참 “북한 미사일, 상승 단계부터 비정상 회전하다가 공중폭발”
    • 입력 2024-06-28 11:40:20
    • 수정2024-06-28 11:51:35
    정치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이틀 전 발사하고 ‘성공적인 다탄두 시험’이었다고 주장한 탄도미사일을 발사 전부터 추적했으며 실패 정황을 명확하게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지난 26일 오전 5시 30분쯤 발사한 미사일은 우리 군은 대탄도탄 감시 레이더와 지상 감시자산에 탐지됐습니다. 전방 부대에서 운영하는 열상감시장비(TOD)로 촬영된 영상에서는 상승 단계부터 동체가 비정상적으로 회전하다가 공중에서 폭발하는 모습까지 식별됐습니다.

군은 “상승 단계부터 비정상적 비행 양상이 식별됐으며, 이런 비행 불안정성이 미사일의 폭발을 야기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두고 북한이 ‘다탄두 각개 목표 재돌입체’(MIRV)에 해당하는 미사일 시험이었다고 주장한 데 대해서는 “한미는 ‘실패를 덮기 위한 과장’이라고 평가했다”고 밝혔습니다.

군은 “향후 북한은 이번에 실패한 미사일의 재발사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후속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은 발사 다음 날인 27일 관영 매체를 통해 “개별기동 전투부(탄두) 분리 및 유도조종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며 “중장거리 고체 탄도미사일 1계단 발동기를 이용”했고, 분리된 탄두들이 “설정된 3개의 목표 좌표점들로 정확히 유도됐다”고 주장했습니다.

군은 발사 당일에도 북한 미사일이 공중 폭발해 파편으로 흩어지면서 발사가 실패로 끝났다고 평가했고, 27일에는 북한이 공개한 발사 장면의 미사일 형상이 기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과 유사하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조선중앙통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