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광역시 첫 ‘소멸위험지역’…소멸위험 1위는 ‘전남’
입력 2024.06.28 (16:33)
수정 2024.06.28 (16: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출생과 고령화로 부산광역시가 광역시 가운데 처음으로 ‘소멸위험단계’에 들어섰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은 통계청의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이용해 ‘2024년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부산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3.0%를 기록해 광역시 중 유일하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했습니다.
이어 20~39세 여성 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소멸위험지수 값이 0.490에 그치며 광역시 최초의 ‘소멸위험지역’이 됐습니다. 소멸위험지수가 낮을수록 소멸 위험은 커집니다.
소멸위험지수가 1.5 이상이면 소멸 저위험, 1.0~1.5이면 보통, 0.5~1.0이면 주의, 0.2~0.5면 소멸 위험, 0.2 미만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합니다.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은 이번에 진입한 부산을 비롯해 모두 8개입니다.
전남이 0.329로 소멸위험도가 가장 높았고, 경북 0.346, 강원 0.388, 전북 0.394, 경남 0.444, 충남 0.464, 충북 0.487, 부산 0.490 순이었습니다. 전국 평균은 0.615입니다.
전남의 경우 전체 인구가 179만 8,000명으로 10년 전보다 5.1% 감소했고, 이 중 20~30세 여성 인구는 23.4% 급감했습니다.
이에 전체 인구 중 전남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8.7%에 불과하지만, 고령 인구 비중은 26.4%에 달하는 ‘가장 늙은 도’가 됐습니다.
전체 288개 시군구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은 130곳으로 57.0%를 차지했습니다. 20~30대 여성 인구가 65세 인구의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소멸 고위험’ 지역도 57곳이나 있었습니다.
지난해 3월 이후 신규로 소멸위험지역에 진입한 곳은 11개였고, 이 중 8곳이 ‘광역시 구·군’이었다.
광역시 구·군은 북구·사상구·해운대구·동래구 등 부산 4개 구, 대구 동구, 대전 중구·동구, 울산 울주군이고, 나머지 3곳은 전남 목포시·무안군, 충북 증평군이었습니다.
특히 원도심과 노후산업지역뿐 아니라 해운대구와 같은 신도심으로도 소멸위험지역이 확산하는 모양새입니다.
이 연구위원은 “해운대구 우1·2·3동에는 마린시티로 대표되는 초고층빌딩과 벡스코, 세계적인 규모의 백화점 등이 몰려 있어 땅값과 임대료가 젊은 사람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그러므로 이곳에 주거지를 둔 사람의 연령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소멸위험도가 높을수록 1인 독거노인가구 비중과 빈집 비율도 더 높게 나타났고, 일자리의 양적, 질적 격차도 확인됐습니다.
소멸위험지수가 낮을수록 고령 인구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전체 고용률은 낮게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위원은 “소멸위험지역이 최근까지도 꾸준히 증가한다는 점은 저출생 대책과 마찬가지로 지방소멸 대책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이 지역들이 어떤 경로를 밟아갈지는 지역의 인구 구성과 산업·사회문화적 특성도 중요하지만, 중앙과 지역이 어떤 정책적 대응을 하는가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고용정보원 제공]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은 통계청의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이용해 ‘2024년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부산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3.0%를 기록해 광역시 중 유일하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했습니다.
이어 20~39세 여성 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소멸위험지수 값이 0.490에 그치며 광역시 최초의 ‘소멸위험지역’이 됐습니다. 소멸위험지수가 낮을수록 소멸 위험은 커집니다.
소멸위험지수가 1.5 이상이면 소멸 저위험, 1.0~1.5이면 보통, 0.5~1.0이면 주의, 0.2~0.5면 소멸 위험, 0.2 미만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합니다.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은 이번에 진입한 부산을 비롯해 모두 8개입니다.
전남이 0.329로 소멸위험도가 가장 높았고, 경북 0.346, 강원 0.388, 전북 0.394, 경남 0.444, 충남 0.464, 충북 0.487, 부산 0.490 순이었습니다. 전국 평균은 0.615입니다.
전남의 경우 전체 인구가 179만 8,000명으로 10년 전보다 5.1% 감소했고, 이 중 20~30세 여성 인구는 23.4% 급감했습니다.
이에 전체 인구 중 전남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8.7%에 불과하지만, 고령 인구 비중은 26.4%에 달하는 ‘가장 늙은 도’가 됐습니다.
전체 288개 시군구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은 130곳으로 57.0%를 차지했습니다. 20~30대 여성 인구가 65세 인구의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소멸 고위험’ 지역도 57곳이나 있었습니다.
지난해 3월 이후 신규로 소멸위험지역에 진입한 곳은 11개였고, 이 중 8곳이 ‘광역시 구·군’이었다.
광역시 구·군은 북구·사상구·해운대구·동래구 등 부산 4개 구, 대구 동구, 대전 중구·동구, 울산 울주군이고, 나머지 3곳은 전남 목포시·무안군, 충북 증평군이었습니다.
특히 원도심과 노후산업지역뿐 아니라 해운대구와 같은 신도심으로도 소멸위험지역이 확산하는 모양새입니다.
이 연구위원은 “해운대구 우1·2·3동에는 마린시티로 대표되는 초고층빌딩과 벡스코, 세계적인 규모의 백화점 등이 몰려 있어 땅값과 임대료가 젊은 사람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그러므로 이곳에 주거지를 둔 사람의 연령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소멸위험도가 높을수록 1인 독거노인가구 비중과 빈집 비율도 더 높게 나타났고, 일자리의 양적, 질적 격차도 확인됐습니다.
소멸위험지수가 낮을수록 고령 인구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전체 고용률은 낮게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위원은 “소멸위험지역이 최근까지도 꾸준히 증가한다는 점은 저출생 대책과 마찬가지로 지방소멸 대책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이 지역들이 어떤 경로를 밟아갈지는 지역의 인구 구성과 산업·사회문화적 특성도 중요하지만, 중앙과 지역이 어떤 정책적 대응을 하는가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고용정보원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 광역시 첫 ‘소멸위험지역’…소멸위험 1위는 ‘전남’
-
- 입력 2024-06-28 16:33:58
- 수정2024-06-28 16:34:50
저출생과 고령화로 부산광역시가 광역시 가운데 처음으로 ‘소멸위험단계’에 들어섰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은 통계청의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이용해 ‘2024년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부산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3.0%를 기록해 광역시 중 유일하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했습니다.
이어 20~39세 여성 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소멸위험지수 값이 0.490에 그치며 광역시 최초의 ‘소멸위험지역’이 됐습니다. 소멸위험지수가 낮을수록 소멸 위험은 커집니다.
소멸위험지수가 1.5 이상이면 소멸 저위험, 1.0~1.5이면 보통, 0.5~1.0이면 주의, 0.2~0.5면 소멸 위험, 0.2 미만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합니다.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은 이번에 진입한 부산을 비롯해 모두 8개입니다.
전남이 0.329로 소멸위험도가 가장 높았고, 경북 0.346, 강원 0.388, 전북 0.394, 경남 0.444, 충남 0.464, 충북 0.487, 부산 0.490 순이었습니다. 전국 평균은 0.615입니다.
전남의 경우 전체 인구가 179만 8,000명으로 10년 전보다 5.1% 감소했고, 이 중 20~30세 여성 인구는 23.4% 급감했습니다.
이에 전체 인구 중 전남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8.7%에 불과하지만, 고령 인구 비중은 26.4%에 달하는 ‘가장 늙은 도’가 됐습니다.
전체 288개 시군구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은 130곳으로 57.0%를 차지했습니다. 20~30대 여성 인구가 65세 인구의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소멸 고위험’ 지역도 57곳이나 있었습니다.
지난해 3월 이후 신규로 소멸위험지역에 진입한 곳은 11개였고, 이 중 8곳이 ‘광역시 구·군’이었다.
광역시 구·군은 북구·사상구·해운대구·동래구 등 부산 4개 구, 대구 동구, 대전 중구·동구, 울산 울주군이고, 나머지 3곳은 전남 목포시·무안군, 충북 증평군이었습니다.
특히 원도심과 노후산업지역뿐 아니라 해운대구와 같은 신도심으로도 소멸위험지역이 확산하는 모양새입니다.
이 연구위원은 “해운대구 우1·2·3동에는 마린시티로 대표되는 초고층빌딩과 벡스코, 세계적인 규모의 백화점 등이 몰려 있어 땅값과 임대료가 젊은 사람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그러므로 이곳에 주거지를 둔 사람의 연령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소멸위험도가 높을수록 1인 독거노인가구 비중과 빈집 비율도 더 높게 나타났고, 일자리의 양적, 질적 격차도 확인됐습니다.
소멸위험지수가 낮을수록 고령 인구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전체 고용률은 낮게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위원은 “소멸위험지역이 최근까지도 꾸준히 증가한다는 점은 저출생 대책과 마찬가지로 지방소멸 대책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이 지역들이 어떤 경로를 밟아갈지는 지역의 인구 구성과 산업·사회문화적 특성도 중요하지만, 중앙과 지역이 어떤 정책적 대응을 하는가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고용정보원 제공]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은 통계청의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이용해 ‘2024년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분석에 따르면, 부산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3.0%를 기록해 광역시 중 유일하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했습니다.
이어 20~39세 여성 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소멸위험지수 값이 0.490에 그치며 광역시 최초의 ‘소멸위험지역’이 됐습니다. 소멸위험지수가 낮을수록 소멸 위험은 커집니다.
소멸위험지수가 1.5 이상이면 소멸 저위험, 1.0~1.5이면 보통, 0.5~1.0이면 주의, 0.2~0.5면 소멸 위험, 0.2 미만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합니다.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은 이번에 진입한 부산을 비롯해 모두 8개입니다.
전남이 0.329로 소멸위험도가 가장 높았고, 경북 0.346, 강원 0.388, 전북 0.394, 경남 0.444, 충남 0.464, 충북 0.487, 부산 0.490 순이었습니다. 전국 평균은 0.615입니다.
전남의 경우 전체 인구가 179만 8,000명으로 10년 전보다 5.1% 감소했고, 이 중 20~30세 여성 인구는 23.4% 급감했습니다.
이에 전체 인구 중 전남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8.7%에 불과하지만, 고령 인구 비중은 26.4%에 달하는 ‘가장 늙은 도’가 됐습니다.
전체 288개 시군구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은 130곳으로 57.0%를 차지했습니다. 20~30대 여성 인구가 65세 인구의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소멸 고위험’ 지역도 57곳이나 있었습니다.
지난해 3월 이후 신규로 소멸위험지역에 진입한 곳은 11개였고, 이 중 8곳이 ‘광역시 구·군’이었다.
광역시 구·군은 북구·사상구·해운대구·동래구 등 부산 4개 구, 대구 동구, 대전 중구·동구, 울산 울주군이고, 나머지 3곳은 전남 목포시·무안군, 충북 증평군이었습니다.
특히 원도심과 노후산업지역뿐 아니라 해운대구와 같은 신도심으로도 소멸위험지역이 확산하는 모양새입니다.
이 연구위원은 “해운대구 우1·2·3동에는 마린시티로 대표되는 초고층빌딩과 벡스코, 세계적인 규모의 백화점 등이 몰려 있어 땅값과 임대료가 젊은 사람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며 “그러므로 이곳에 주거지를 둔 사람의 연령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소멸위험도가 높을수록 1인 독거노인가구 비중과 빈집 비율도 더 높게 나타났고, 일자리의 양적, 질적 격차도 확인됐습니다.
소멸위험지수가 낮을수록 고령 인구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전체 고용률은 낮게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위원은 “소멸위험지역이 최근까지도 꾸준히 증가한다는 점은 저출생 대책과 마찬가지로 지방소멸 대책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이 지역들이 어떤 경로를 밟아갈지는 지역의 인구 구성과 산업·사회문화적 특성도 중요하지만, 중앙과 지역이 어떤 정책적 대응을 하는가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국고용정보원 제공]
-
-
최유경 기자 60@kbs.co.kr
최유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