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이산화탄소 농도 역대 최고…극한 기후 가능성↑

입력 2024.06.28 (21:19) 수정 2024.06.30 (0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많은 장맛비가 예상되는 건 기후변화 때문인데 그 주범인 이산화탄소 농도가 갈수록 치솟고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지난해 또다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어서 김민경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여름 장맛비는 시작부터 폭우였습니다.

제주도에는 지난 20일 하루 만에 2백20mm 넘는 비가 쏟아져 6월 일강수량으론 역대 2위를 기록했습니다.

올여름에는 때 이른 무더위도 찾아왔습니다.

이달 최고기온은 관측 시작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6월 기온은 지난 50년 간 1.4도나 오르며, 폭염의 시작이 점점 앞당겨지고 있습니다.

이런 기후변화를 불러오는 건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온난화입니다.

지난해 안면도 기후변화 감시소에서 측정한 국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427.6ppm까지 치솟아 또다시 최고 기록을 갈아 치웠습니다.

미국 해양대기청이 분석한 지난해 전 지구 평균치조차 크게 웃도는 수준입니다.

[김수민/국립기상과학원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 : "(관측 시작 이후에) 매년 최고기록이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증가 속도로만 봐도 과거 10년보다 최근 10년 치가 10% 이상 더 빨라졌습니다."]

이런 속도라면 앞으로 10년 안에 기후변화 마지노선으로 알려진 450ppm을 넘어설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장필훈/국립기상과학원 기후변화예측연구팀 : "450ppm을 넘어설 경우 우리나라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범위로 상승할 것으로 보이고요. 이 경우에 폭염과 홍수와 같은 극한 기상현상이 증가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당장 이번 주말부터 본격화되는 장맛비 역시 온난화의 영향으로 대기 중 수증기가 늘어나면서, 집중호우가 잦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영상편집:박경상/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이산화탄소 농도 역대 최고…극한 기후 가능성↑
    • 입력 2024-06-28 21:19:59
    • 수정2024-06-30 09:59:30
    뉴스 9
[앵커]

이렇게 많은 장맛비가 예상되는 건 기후변화 때문인데 그 주범인 이산화탄소 농도가 갈수록 치솟고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지난해 또다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어서 김민경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올여름 장맛비는 시작부터 폭우였습니다.

제주도에는 지난 20일 하루 만에 2백20mm 넘는 비가 쏟아져 6월 일강수량으론 역대 2위를 기록했습니다.

올여름에는 때 이른 무더위도 찾아왔습니다.

이달 최고기온은 관측 시작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6월 기온은 지난 50년 간 1.4도나 오르며, 폭염의 시작이 점점 앞당겨지고 있습니다.

이런 기후변화를 불러오는 건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온난화입니다.

지난해 안면도 기후변화 감시소에서 측정한 국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427.6ppm까지 치솟아 또다시 최고 기록을 갈아 치웠습니다.

미국 해양대기청이 분석한 지난해 전 지구 평균치조차 크게 웃도는 수준입니다.

[김수민/국립기상과학원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 : "(관측 시작 이후에) 매년 최고기록이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증가 속도로만 봐도 과거 10년보다 최근 10년 치가 10% 이상 더 빨라졌습니다."]

이런 속도라면 앞으로 10년 안에 기후변화 마지노선으로 알려진 450ppm을 넘어설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

[장필훈/국립기상과학원 기후변화예측연구팀 : "450ppm을 넘어설 경우 우리나라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범위로 상승할 것으로 보이고요. 이 경우에 폭염과 홍수와 같은 극한 기상현상이 증가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당장 이번 주말부터 본격화되는 장맛비 역시 온난화의 영향으로 대기 중 수증기가 늘어나면서, 집중호우가 잦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영상편집:박경상/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