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브리핑] 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경북 업체 점검 외

입력 2024.07.01 (19:26) 수정 2024.07.01 (20: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주간 지역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와 여론을 소개해드리는 이슈브리핑 시간입니다.

지난주 경기도 화성시 리튬전지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23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습니다.

기존 화재 진화 방법이 통하지 않는 리튬전지의 특수성 때문에 초기 대처에 실패해 피해가 컸는데요.

경북 도내 21개 소방서를 점검한 결과, 리튬전지 화재 진화에 사용되는 마른 모래나 팽창 질석, 팽창 진주암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조선일보는 이와 관련해 보다 전문적인 배터리 화재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감사원이 이미 2020년 금속 화재에 대한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지만, 지금까지 반영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는데요.

장기적으로 제조사가 더 많은 배터리 정보를 소방 당국에 개방하고, 소방 당국도 유형별 대응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매일신문은 배터리 관련 시설에 대한 화재 안전 조사에 나선 소방청 소식을 전했는데요.

대구 14곳, 경북 74곳의 지역 배터리 관련 시설을 대상으로 오는 9일까지 2주간 진행됩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소방·피난·방화시설과 위험물 규정 준수 여부 등을 점검하고 회사가 마련한 화재 대피 계획도 확인합니다.

한편, 이번 사고로 리튬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차에 대한 화재 우려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영남일보는 전기차 화재 요인은 리튬 배터리 '열 폭주'현상이 대다수고, 전기차 충전시설이 화재에 취약한 지하 주차장에 있는 것도 화재를 부추긴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지자체장이 전기차 충전 시설 설치 장소를 결정하는 대구시의회의 조례안과, 충전 시설과 전용 주차구역의 지상 설치를 담은 경북도의회 조례안을 소개했습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정부는 근본적인 배터리 화재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는데요.

제대로 된 대책이 나올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KBS 뉴스9 대구·경북/지난달 28일 보도 화면 : "마을과 3백미터 가량 떨어진 산속. 높이 6미터, 길이 20미터의 사방댐이 설치됐습니다. 빗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수로도 만들어졌습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지난해 유례없는 집중호우로 큰 인명피해가 났던 경북 북부 지역에 막바지 복구 작업이 한창입니다.

하지만 재해 복구사업의 공정률은 70%가 채 안 되는데요.

동아일보는 정부 정책의 문제점을 짚었습니다.

최근 감사원 발표한 '산림재난 대비 실태' 보고서에서 산사태 위험지역 6만 9천여 곳이 정부 관리 대상에서 빠진 것으로 드러났는데요.

산림청이 경북 등 전국 10개 지자체에 편중돼 있다며 과학적 근거 없이 제외시킨 겁니다.

또, 지난해 인명피해가 발생한 13곳 중 11곳이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지정돼 있지 않았는데, 각 지자체가 심의위원회를 수년 째 열지 않고 있는데도 산림당국이 점검하지 않았다고 꼬집었습니다.

한편, 조선일보는 지방하천 복구 진행 상황을 짚었습니다.

지난해 폭우로 경북에서는 지류, 지천 112곳의 제방이 터졌습니다.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건데, 복구가 완료된 곳은 2곳에 불과했습니다.

지방하천 정비가 더딘 원인을 지자체 사업 우선순위에서 하천 관리가 밀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는데요.

7~8월 많은 비가 내릴 것이라는 기상 전망을 소개하며, 지난해 '오송 참사' 같은 피해가 반복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경북도민일보는 사설을 통해 경북도의 더딘 재해 복구 작업을 지적했습니다.

대규모 재해복구 공사가 속도를 내기 어렵다는 설명은 일리가 있지만, 재난은 핑계도 변명도 아랑곳없이 불시에 무자비하게 닥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지자체마다 우선순위를 정해 시급한 곳부터 복구에 나서고, 피난 시스템이라도 꼼꼼히 챙기고 실행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지난해 7월 극한호우로 경북에서만 25명이 숨지고 2명이 실종됐습니다.

이런 피해가 반복되지 않으려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브리핑] 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경북 업체 점검 외
    • 입력 2024-07-01 19:26:44
    • 수정2024-07-01 20:46:42
    뉴스7(대구)
한 주간 지역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와 여론을 소개해드리는 이슈브리핑 시간입니다.

지난주 경기도 화성시 리튬전지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23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습니다.

기존 화재 진화 방법이 통하지 않는 리튬전지의 특수성 때문에 초기 대처에 실패해 피해가 컸는데요.

경북 도내 21개 소방서를 점검한 결과, 리튬전지 화재 진화에 사용되는 마른 모래나 팽창 질석, 팽창 진주암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조선일보는 이와 관련해 보다 전문적인 배터리 화재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감사원이 이미 2020년 금속 화재에 대한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지만, 지금까지 반영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는데요.

장기적으로 제조사가 더 많은 배터리 정보를 소방 당국에 개방하고, 소방 당국도 유형별 대응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매일신문은 배터리 관련 시설에 대한 화재 안전 조사에 나선 소방청 소식을 전했는데요.

대구 14곳, 경북 74곳의 지역 배터리 관련 시설을 대상으로 오는 9일까지 2주간 진행됩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소방·피난·방화시설과 위험물 규정 준수 여부 등을 점검하고 회사가 마련한 화재 대피 계획도 확인합니다.

한편, 이번 사고로 리튬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차에 대한 화재 우려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영남일보는 전기차 화재 요인은 리튬 배터리 '열 폭주'현상이 대다수고, 전기차 충전시설이 화재에 취약한 지하 주차장에 있는 것도 화재를 부추긴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지자체장이 전기차 충전 시설 설치 장소를 결정하는 대구시의회의 조례안과, 충전 시설과 전용 주차구역의 지상 설치를 담은 경북도의회 조례안을 소개했습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정부는 근본적인 배터리 화재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는데요.

제대로 된 대책이 나올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KBS 뉴스9 대구·경북/지난달 28일 보도 화면 : "마을과 3백미터 가량 떨어진 산속. 높이 6미터, 길이 20미터의 사방댐이 설치됐습니다. 빗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수로도 만들어졌습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지난해 유례없는 집중호우로 큰 인명피해가 났던 경북 북부 지역에 막바지 복구 작업이 한창입니다.

하지만 재해 복구사업의 공정률은 70%가 채 안 되는데요.

동아일보는 정부 정책의 문제점을 짚었습니다.

최근 감사원 발표한 '산림재난 대비 실태' 보고서에서 산사태 위험지역 6만 9천여 곳이 정부 관리 대상에서 빠진 것으로 드러났는데요.

산림청이 경북 등 전국 10개 지자체에 편중돼 있다며 과학적 근거 없이 제외시킨 겁니다.

또, 지난해 인명피해가 발생한 13곳 중 11곳이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지정돼 있지 않았는데, 각 지자체가 심의위원회를 수년 째 열지 않고 있는데도 산림당국이 점검하지 않았다고 꼬집었습니다.

한편, 조선일보는 지방하천 복구 진행 상황을 짚었습니다.

지난해 폭우로 경북에서는 지류, 지천 112곳의 제방이 터졌습니다.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건데, 복구가 완료된 곳은 2곳에 불과했습니다.

지방하천 정비가 더딘 원인을 지자체 사업 우선순위에서 하천 관리가 밀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는데요.

7~8월 많은 비가 내릴 것이라는 기상 전망을 소개하며, 지난해 '오송 참사' 같은 피해가 반복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경북도민일보는 사설을 통해 경북도의 더딘 재해 복구 작업을 지적했습니다.

대규모 재해복구 공사가 속도를 내기 어렵다는 설명은 일리가 있지만, 재난은 핑계도 변명도 아랑곳없이 불시에 무자비하게 닥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지자체마다 우선순위를 정해 시급한 곳부터 복구에 나서고, 피난 시스템이라도 꼼꼼히 챙기고 실행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지난해 7월 극한호우로 경북에서만 25명이 숨지고 2명이 실종됐습니다.

이런 피해가 반복되지 않으려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