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중심도시 광주, 어디까지 왔나?
입력 2024.07.02 (19:11)
수정 2024.07.02 (21: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지금 전 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산업, 두말할 것 없이 인공지능, 바로 AI입니다.
광주 역시 미래 먹거리로 이 분야를 꼽아 AI중심도시를 육성한지 5년째에 접어들었습니다.
이 5년 동안 AI 산업은 어떤 변화를 겪었을까요?
챗GPT, 반자율주행, 보행자를 감지하는 신호등까지 AI는 일상에 바짝 다가왔습니다.
AI에 관심이 없는 분들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미국의 AI 반도체 대표기업 엔비디아의 주가를 한 번 볼까요?
옆의 그래프에서 보시는 것처럼 5년 새 무려 3천4백%가 뛰었습니다.
광주도 그사이 이 엔비디아의 최신 기술이 들어간 국가 AI 데이터센터를 만들어 가동에 들어갔고, 실증센터와 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까지 연내 모두 완공됩니다.
또 광주에 사무실을 연 백 개가 넘는 AI기업과 AI융합대학과 AI사관학교 등 인재 양성도 성과로 꼽힙니다.
그런데 이런 성과가 앞으로도 이어질 수 있을까요?
그래서 중요한 것이 인공지능 집적단지를 만드는 지금의 1단계 사업 이후입니다.
내년부터는 다시 5년 동안 2단계 사업에 들어가야 하는데요.
KBS는 지난 5년 AI 사업의 결과물과 2단계 준비상황, 앞으로의 방향을 연속기획으로 진단해봅니다.
먼저 광주시가 과연 반년 앞으로 다가온 2단계 사업을 제대로 시작할 수 있을지 현재 상황과 속사정을 확인해봤습니다.
[리포트]
광주시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으로 AI 집적단지를 건의한 건 2018년입니다.
사업비 규모만 10년간 1조 천억원에 이릅니다.
이후 사업은 2단계로 나뉘었고 우선 5년 동안 4천억 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1단계가 확정됐습니다.
1단계 사업을 올해 마무리하고 내년에 2단계를 시작하는 일정은 6년 전에 예정됐습니다.
광주시는 1단계 사업 종료를 6개월 앞둔 지난달에 2단계 사업에 대한 예타 대상사업 선정을 신청했습니다.
예타조사 요구는 사업 시행 2년 전에 신청하는게 원칙입니다.
예타 대상으로 선정된 뒤에도 1년 가량 걸리는 예비타당성 조사와 정부 예산안 반영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광주시는 2단계 사업의 방향 조정과 예타 신청을 위한 용역 예산 배정이 늦어진 탓이라고 말합니다.
[채종환/광주시 AI반도체 과장 : "4월 정도에 (용역 예산) 수시 배정이 풀리고 최대한 빨리 절차를 진행했는데 물리적으로 이제 행정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이 있다 보니까 좀 지연이 됐습니다."]
하지만 광주시는 지난해 7월, 11월에 예타를 신청하겠다고 보도자료까지 냈습니다.
그러고도 7개월이 더 지연된겁니다.
복수의 기재부 출신 인사들은 광주시의 대응은 늦어도 너무 늦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당장 내년은 물론이고 내후년 예산 반영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겁니다.
[안도걸/국회의원 : "6개월 내에 예타 결과가 나온다는 것은요. 물리적으로 좀 불가능하고요. 우선 추진 가능한 사업을 추려내서 개별 예산을 반영하는 방안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광주시는 예타 면제도 함께 건의하고 있지만, 현 정부가 국가 주도 사업이 아니면 예타 면제를 허용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 역시 쉽지 않습니다.
AI산업을 선점했지만 다른 지자체의 거센 추격과도 마주하고 있는 광주시.
5년 동안 다져온 기반이 느슨한 준비로 연속성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기자]
내년 2단계 사업의 예산 확보가 불투명한 것도 문제지만, 광주시가 사업의 방향성을 놓고도 갈팡질팡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예타 신청을 위한 용역 결과는 연구개발 R&D 중심이었는데, 정작 예타 대상 신청에서는 인프라 구축, 이른바 '비(非) R&D' 중심으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이성각 기자입니다.
[리포트]
광주의 AI집적단지 2단계 사업 전략을 세우기 위해 용역을 발주한 건 지난해 7월,
올해 1월 나온 용역 결과에서는 2단계 사업비를 5700억원, 이 가운데 기술개발과 실증연구에 3700억원을, 관련 인프라를 갖추는 비(非) R&D에 1900억원을 투입하는 안을 제안합니다.
전체사업비의 65%를 연구개발에, 나머지는 인프라 구축 등에 투입하는 'R&D' 중심입니다.
용역 결과는 발주기관의 뜻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과기부와 광주시가 2단계 사업 방향을 연구개발로 잡은 겁니다.
그런데 정작 지난달 기획재정부에 요청한 2단계 계획안을 보면 실증과 사업화 지원에 43%, 비 R&D는 55%로, R&D와 비R&D 비중이 역전됩니다.
[곽재도/AI산업융합사업단장 대행 : "R&D, 비(非)R&D가 이렇게 (바뀐 것은) 정책적 판단이 있었던 것 같고요. 광주시와 과기부에서 예산을 어떻게 확보하느냐 하는 측면에서 정책적 판단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광주시와 사업단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2단계 사업 전략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복수의 업계 전문가들은 용역 결과와 예타 신청의 중심 방향이 바뀌는 것은 이례적이라며 사실상 전략 부재에 가깝다고 말합니다.
1-2단계 간 사업 공백이 우려되는데다 2단계 사업 방향의 혼선까지 더해지면서 광주시의 AI사업 전반에 대한 전략이 도마에 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영상편집:이두형
지금 전 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산업, 두말할 것 없이 인공지능, 바로 AI입니다.
광주 역시 미래 먹거리로 이 분야를 꼽아 AI중심도시를 육성한지 5년째에 접어들었습니다.
이 5년 동안 AI 산업은 어떤 변화를 겪었을까요?
챗GPT, 반자율주행, 보행자를 감지하는 신호등까지 AI는 일상에 바짝 다가왔습니다.
AI에 관심이 없는 분들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미국의 AI 반도체 대표기업 엔비디아의 주가를 한 번 볼까요?
옆의 그래프에서 보시는 것처럼 5년 새 무려 3천4백%가 뛰었습니다.
광주도 그사이 이 엔비디아의 최신 기술이 들어간 국가 AI 데이터센터를 만들어 가동에 들어갔고, 실증센터와 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까지 연내 모두 완공됩니다.
또 광주에 사무실을 연 백 개가 넘는 AI기업과 AI융합대학과 AI사관학교 등 인재 양성도 성과로 꼽힙니다.
그런데 이런 성과가 앞으로도 이어질 수 있을까요?
그래서 중요한 것이 인공지능 집적단지를 만드는 지금의 1단계 사업 이후입니다.
내년부터는 다시 5년 동안 2단계 사업에 들어가야 하는데요.
KBS는 지난 5년 AI 사업의 결과물과 2단계 준비상황, 앞으로의 방향을 연속기획으로 진단해봅니다.
먼저 광주시가 과연 반년 앞으로 다가온 2단계 사업을 제대로 시작할 수 있을지 현재 상황과 속사정을 확인해봤습니다.
[리포트]
광주시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으로 AI 집적단지를 건의한 건 2018년입니다.
사업비 규모만 10년간 1조 천억원에 이릅니다.
이후 사업은 2단계로 나뉘었고 우선 5년 동안 4천억 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1단계가 확정됐습니다.
1단계 사업을 올해 마무리하고 내년에 2단계를 시작하는 일정은 6년 전에 예정됐습니다.
광주시는 1단계 사업 종료를 6개월 앞둔 지난달에 2단계 사업에 대한 예타 대상사업 선정을 신청했습니다.
예타조사 요구는 사업 시행 2년 전에 신청하는게 원칙입니다.
예타 대상으로 선정된 뒤에도 1년 가량 걸리는 예비타당성 조사와 정부 예산안 반영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광주시는 2단계 사업의 방향 조정과 예타 신청을 위한 용역 예산 배정이 늦어진 탓이라고 말합니다.
[채종환/광주시 AI반도체 과장 : "4월 정도에 (용역 예산) 수시 배정이 풀리고 최대한 빨리 절차를 진행했는데 물리적으로 이제 행정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이 있다 보니까 좀 지연이 됐습니다."]
하지만 광주시는 지난해 7월, 11월에 예타를 신청하겠다고 보도자료까지 냈습니다.
그러고도 7개월이 더 지연된겁니다.
복수의 기재부 출신 인사들은 광주시의 대응은 늦어도 너무 늦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당장 내년은 물론이고 내후년 예산 반영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겁니다.
[안도걸/국회의원 : "6개월 내에 예타 결과가 나온다는 것은요. 물리적으로 좀 불가능하고요. 우선 추진 가능한 사업을 추려내서 개별 예산을 반영하는 방안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광주시는 예타 면제도 함께 건의하고 있지만, 현 정부가 국가 주도 사업이 아니면 예타 면제를 허용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 역시 쉽지 않습니다.
AI산업을 선점했지만 다른 지자체의 거센 추격과도 마주하고 있는 광주시.
5년 동안 다져온 기반이 느슨한 준비로 연속성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기자]
내년 2단계 사업의 예산 확보가 불투명한 것도 문제지만, 광주시가 사업의 방향성을 놓고도 갈팡질팡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예타 신청을 위한 용역 결과는 연구개발 R&D 중심이었는데, 정작 예타 대상 신청에서는 인프라 구축, 이른바 '비(非) R&D' 중심으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이성각 기자입니다.
[리포트]
광주의 AI집적단지 2단계 사업 전략을 세우기 위해 용역을 발주한 건 지난해 7월,
올해 1월 나온 용역 결과에서는 2단계 사업비를 5700억원, 이 가운데 기술개발과 실증연구에 3700억원을, 관련 인프라를 갖추는 비(非) R&D에 1900억원을 투입하는 안을 제안합니다.
전체사업비의 65%를 연구개발에, 나머지는 인프라 구축 등에 투입하는 'R&D' 중심입니다.
용역 결과는 발주기관의 뜻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과기부와 광주시가 2단계 사업 방향을 연구개발로 잡은 겁니다.
그런데 정작 지난달 기획재정부에 요청한 2단계 계획안을 보면 실증과 사업화 지원에 43%, 비 R&D는 55%로, R&D와 비R&D 비중이 역전됩니다.
[곽재도/AI산업융합사업단장 대행 : "R&D, 비(非)R&D가 이렇게 (바뀐 것은) 정책적 판단이 있었던 것 같고요. 광주시와 과기부에서 예산을 어떻게 확보하느냐 하는 측면에서 정책적 판단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광주시와 사업단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2단계 사업 전략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복수의 업계 전문가들은 용역 결과와 예타 신청의 중심 방향이 바뀌는 것은 이례적이라며 사실상 전략 부재에 가깝다고 말합니다.
1-2단계 간 사업 공백이 우려되는데다 2단계 사업 방향의 혼선까지 더해지면서 광주시의 AI사업 전반에 대한 전략이 도마에 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영상편집:이두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I 중심도시 광주, 어디까지 왔나?
-
- 입력 2024-07-02 19:11:07
- 수정2024-07-02 21:38:37
[기자]
지금 전 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산업, 두말할 것 없이 인공지능, 바로 AI입니다.
광주 역시 미래 먹거리로 이 분야를 꼽아 AI중심도시를 육성한지 5년째에 접어들었습니다.
이 5년 동안 AI 산업은 어떤 변화를 겪었을까요?
챗GPT, 반자율주행, 보행자를 감지하는 신호등까지 AI는 일상에 바짝 다가왔습니다.
AI에 관심이 없는 분들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미국의 AI 반도체 대표기업 엔비디아의 주가를 한 번 볼까요?
옆의 그래프에서 보시는 것처럼 5년 새 무려 3천4백%가 뛰었습니다.
광주도 그사이 이 엔비디아의 최신 기술이 들어간 국가 AI 데이터센터를 만들어 가동에 들어갔고, 실증센터와 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까지 연내 모두 완공됩니다.
또 광주에 사무실을 연 백 개가 넘는 AI기업과 AI융합대학과 AI사관학교 등 인재 양성도 성과로 꼽힙니다.
그런데 이런 성과가 앞으로도 이어질 수 있을까요?
그래서 중요한 것이 인공지능 집적단지를 만드는 지금의 1단계 사업 이후입니다.
내년부터는 다시 5년 동안 2단계 사업에 들어가야 하는데요.
KBS는 지난 5년 AI 사업의 결과물과 2단계 준비상황, 앞으로의 방향을 연속기획으로 진단해봅니다.
먼저 광주시가 과연 반년 앞으로 다가온 2단계 사업을 제대로 시작할 수 있을지 현재 상황과 속사정을 확인해봤습니다.
[리포트]
광주시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으로 AI 집적단지를 건의한 건 2018년입니다.
사업비 규모만 10년간 1조 천억원에 이릅니다.
이후 사업은 2단계로 나뉘었고 우선 5년 동안 4천억 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1단계가 확정됐습니다.
1단계 사업을 올해 마무리하고 내년에 2단계를 시작하는 일정은 6년 전에 예정됐습니다.
광주시는 1단계 사업 종료를 6개월 앞둔 지난달에 2단계 사업에 대한 예타 대상사업 선정을 신청했습니다.
예타조사 요구는 사업 시행 2년 전에 신청하는게 원칙입니다.
예타 대상으로 선정된 뒤에도 1년 가량 걸리는 예비타당성 조사와 정부 예산안 반영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광주시는 2단계 사업의 방향 조정과 예타 신청을 위한 용역 예산 배정이 늦어진 탓이라고 말합니다.
[채종환/광주시 AI반도체 과장 : "4월 정도에 (용역 예산) 수시 배정이 풀리고 최대한 빨리 절차를 진행했는데 물리적으로 이제 행정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이 있다 보니까 좀 지연이 됐습니다."]
하지만 광주시는 지난해 7월, 11월에 예타를 신청하겠다고 보도자료까지 냈습니다.
그러고도 7개월이 더 지연된겁니다.
복수의 기재부 출신 인사들은 광주시의 대응은 늦어도 너무 늦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당장 내년은 물론이고 내후년 예산 반영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겁니다.
[안도걸/국회의원 : "6개월 내에 예타 결과가 나온다는 것은요. 물리적으로 좀 불가능하고요. 우선 추진 가능한 사업을 추려내서 개별 예산을 반영하는 방안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광주시는 예타 면제도 함께 건의하고 있지만, 현 정부가 국가 주도 사업이 아니면 예타 면제를 허용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 역시 쉽지 않습니다.
AI산업을 선점했지만 다른 지자체의 거센 추격과도 마주하고 있는 광주시.
5년 동안 다져온 기반이 느슨한 준비로 연속성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기자]
내년 2단계 사업의 예산 확보가 불투명한 것도 문제지만, 광주시가 사업의 방향성을 놓고도 갈팡질팡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예타 신청을 위한 용역 결과는 연구개발 R&D 중심이었는데, 정작 예타 대상 신청에서는 인프라 구축, 이른바 '비(非) R&D' 중심으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이성각 기자입니다.
[리포트]
광주의 AI집적단지 2단계 사업 전략을 세우기 위해 용역을 발주한 건 지난해 7월,
올해 1월 나온 용역 결과에서는 2단계 사업비를 5700억원, 이 가운데 기술개발과 실증연구에 3700억원을, 관련 인프라를 갖추는 비(非) R&D에 1900억원을 투입하는 안을 제안합니다.
전체사업비의 65%를 연구개발에, 나머지는 인프라 구축 등에 투입하는 'R&D' 중심입니다.
용역 결과는 발주기관의 뜻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과기부와 광주시가 2단계 사업 방향을 연구개발로 잡은 겁니다.
그런데 정작 지난달 기획재정부에 요청한 2단계 계획안을 보면 실증과 사업화 지원에 43%, 비 R&D는 55%로, R&D와 비R&D 비중이 역전됩니다.
[곽재도/AI산업융합사업단장 대행 : "R&D, 비(非)R&D가 이렇게 (바뀐 것은) 정책적 판단이 있었던 것 같고요. 광주시와 과기부에서 예산을 어떻게 확보하느냐 하는 측면에서 정책적 판단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광주시와 사업단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2단계 사업 전략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복수의 업계 전문가들은 용역 결과와 예타 신청의 중심 방향이 바뀌는 것은 이례적이라며 사실상 전략 부재에 가깝다고 말합니다.
1-2단계 간 사업 공백이 우려되는데다 2단계 사업 방향의 혼선까지 더해지면서 광주시의 AI사업 전반에 대한 전략이 도마에 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영상편집:이두형
지금 전 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산업, 두말할 것 없이 인공지능, 바로 AI입니다.
광주 역시 미래 먹거리로 이 분야를 꼽아 AI중심도시를 육성한지 5년째에 접어들었습니다.
이 5년 동안 AI 산업은 어떤 변화를 겪었을까요?
챗GPT, 반자율주행, 보행자를 감지하는 신호등까지 AI는 일상에 바짝 다가왔습니다.
AI에 관심이 없는 분들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미국의 AI 반도체 대표기업 엔비디아의 주가를 한 번 볼까요?
옆의 그래프에서 보시는 것처럼 5년 새 무려 3천4백%가 뛰었습니다.
광주도 그사이 이 엔비디아의 최신 기술이 들어간 국가 AI 데이터센터를 만들어 가동에 들어갔고, 실증센터와 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까지 연내 모두 완공됩니다.
또 광주에 사무실을 연 백 개가 넘는 AI기업과 AI융합대학과 AI사관학교 등 인재 양성도 성과로 꼽힙니다.
그런데 이런 성과가 앞으로도 이어질 수 있을까요?
그래서 중요한 것이 인공지능 집적단지를 만드는 지금의 1단계 사업 이후입니다.
내년부터는 다시 5년 동안 2단계 사업에 들어가야 하는데요.
KBS는 지난 5년 AI 사업의 결과물과 2단계 준비상황, 앞으로의 방향을 연속기획으로 진단해봅니다.
먼저 광주시가 과연 반년 앞으로 다가온 2단계 사업을 제대로 시작할 수 있을지 현재 상황과 속사정을 확인해봤습니다.
[리포트]
광주시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으로 AI 집적단지를 건의한 건 2018년입니다.
사업비 규모만 10년간 1조 천억원에 이릅니다.
이후 사업은 2단계로 나뉘었고 우선 5년 동안 4천억 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1단계가 확정됐습니다.
1단계 사업을 올해 마무리하고 내년에 2단계를 시작하는 일정은 6년 전에 예정됐습니다.
광주시는 1단계 사업 종료를 6개월 앞둔 지난달에 2단계 사업에 대한 예타 대상사업 선정을 신청했습니다.
예타조사 요구는 사업 시행 2년 전에 신청하는게 원칙입니다.
예타 대상으로 선정된 뒤에도 1년 가량 걸리는 예비타당성 조사와 정부 예산안 반영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광주시는 2단계 사업의 방향 조정과 예타 신청을 위한 용역 예산 배정이 늦어진 탓이라고 말합니다.
[채종환/광주시 AI반도체 과장 : "4월 정도에 (용역 예산) 수시 배정이 풀리고 최대한 빨리 절차를 진행했는데 물리적으로 이제 행정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이 있다 보니까 좀 지연이 됐습니다."]
하지만 광주시는 지난해 7월, 11월에 예타를 신청하겠다고 보도자료까지 냈습니다.
그러고도 7개월이 더 지연된겁니다.
복수의 기재부 출신 인사들은 광주시의 대응은 늦어도 너무 늦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당장 내년은 물론이고 내후년 예산 반영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겁니다.
[안도걸/국회의원 : "6개월 내에 예타 결과가 나온다는 것은요. 물리적으로 좀 불가능하고요. 우선 추진 가능한 사업을 추려내서 개별 예산을 반영하는 방안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광주시는 예타 면제도 함께 건의하고 있지만, 현 정부가 국가 주도 사업이 아니면 예타 면제를 허용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 역시 쉽지 않습니다.
AI산업을 선점했지만 다른 지자체의 거센 추격과도 마주하고 있는 광주시.
5년 동안 다져온 기반이 느슨한 준비로 연속성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성입니다.
[기자]
내년 2단계 사업의 예산 확보가 불투명한 것도 문제지만, 광주시가 사업의 방향성을 놓고도 갈팡질팡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예타 신청을 위한 용역 결과는 연구개발 R&D 중심이었는데, 정작 예타 대상 신청에서는 인프라 구축, 이른바 '비(非) R&D' 중심으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이성각 기자입니다.
[리포트]
광주의 AI집적단지 2단계 사업 전략을 세우기 위해 용역을 발주한 건 지난해 7월,
올해 1월 나온 용역 결과에서는 2단계 사업비를 5700억원, 이 가운데 기술개발과 실증연구에 3700억원을, 관련 인프라를 갖추는 비(非) R&D에 1900억원을 투입하는 안을 제안합니다.
전체사업비의 65%를 연구개발에, 나머지는 인프라 구축 등에 투입하는 'R&D' 중심입니다.
용역 결과는 발주기관의 뜻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과기부와 광주시가 2단계 사업 방향을 연구개발로 잡은 겁니다.
그런데 정작 지난달 기획재정부에 요청한 2단계 계획안을 보면 실증과 사업화 지원에 43%, 비 R&D는 55%로, R&D와 비R&D 비중이 역전됩니다.
[곽재도/AI산업융합사업단장 대행 : "R&D, 비(非)R&D가 이렇게 (바뀐 것은) 정책적 판단이 있었던 것 같고요. 광주시와 과기부에서 예산을 어떻게 확보하느냐 하는 측면에서 정책적 판단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광주시와 사업단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2단계 사업 전략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복수의 업계 전문가들은 용역 결과와 예타 신청의 중심 방향이 바뀌는 것은 이례적이라며 사실상 전략 부재에 가깝다고 말합니다.
1-2단계 간 사업 공백이 우려되는데다 2단계 사업 방향의 혼선까지 더해지면서 광주시의 AI사업 전반에 대한 전략이 도마에 오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영상편집:이두형
-
-
박지성 기자 jsp@kbs.co.kr
박지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성각 기자 drill@kbs.co.kr
이성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