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외무차관 “북러 조약, 군사적 해법에 대한 경고 역할”

입력 2024.07.11 (05:06) 수정 2024.07.11 (05: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러 조약이 한반도 문제를 군사적 해법으로 접근하는 사람들에게 경고 역할을 할 것이라고 러시아 외무차관이 현지시각 10일 주장했습니다.

러시아 관영 타스 통신에 따르면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이날 발다이 토론 행사에서 “처음부터 우리는 이 조약이 동북아에서 안정화 역할을 할 것이며 적어도 한반도와 동북아 문제를 군사적으로 해결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거나 심지어 환상을 가진 국가들에 경고 역할을 할 것이라고 믿어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아마도 그들은 실제로 이를 시도하려는 의지가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루덴코 차관은 지난달 26일 이도훈 주러시아 한국 대사를 만나 한국 정부가 대결적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습니다.

앞서 지난달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포괄적인 전략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맺었습니다.

이 조약에는 자동 군사개입으로 해석될 수 있는 조항이 있어 한반도 유사시 러시아의 개입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 가속화에 중국이 불편해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지만 루덴코 차관은 1961년 중국과 북한 사이에 유사한 조약이 체결된 적이 있다는 점에서 중국이 러시아와 북한 간의 관계 진전에 대해 이해심을 보여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해당 조약은 ‘조·중 우호협력 상호원조조약’으로 이 조약 2조엔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이 규정돼 있습니다.

북한과 중국 양국 정부 모두 해당 조약의 실효를 언급하지 않아 사실상 자동 군사 개입 조항은 사문화됐다는 지적도 있지만, 파기하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루덴코 차관은 “우리는 한반도를 비롯해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와 관련해 중국과 긴밀히 접촉하고 있다”며 “따라서 베이징에 있는 우리 친구들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타스=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러 외무차관 “북러 조약, 군사적 해법에 대한 경고 역할”
    • 입력 2024-07-11 05:06:13
    • 수정2024-07-11 05:07:55
    국제
북러 조약이 한반도 문제를 군사적 해법으로 접근하는 사람들에게 경고 역할을 할 것이라고 러시아 외무차관이 현지시각 10일 주장했습니다.

러시아 관영 타스 통신에 따르면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이날 발다이 토론 행사에서 “처음부터 우리는 이 조약이 동북아에서 안정화 역할을 할 것이며 적어도 한반도와 동북아 문제를 군사적으로 해결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거나 심지어 환상을 가진 국가들에 경고 역할을 할 것이라고 믿어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아마도 그들은 실제로 이를 시도하려는 의지가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루덴코 차관은 지난달 26일 이도훈 주러시아 한국 대사를 만나 한국 정부가 대결적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습니다.

앞서 지난달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포괄적인 전략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맺었습니다.

이 조약에는 자동 군사개입으로 해석될 수 있는 조항이 있어 한반도 유사시 러시아의 개입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 가속화에 중국이 불편해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지만 루덴코 차관은 1961년 중국과 북한 사이에 유사한 조약이 체결된 적이 있다는 점에서 중국이 러시아와 북한 간의 관계 진전에 대해 이해심을 보여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해당 조약은 ‘조·중 우호협력 상호원조조약’으로 이 조약 2조엔 유사시 자동 군사 개입이 규정돼 있습니다.

북한과 중국 양국 정부 모두 해당 조약의 실효를 언급하지 않아 사실상 자동 군사 개입 조항은 사문화됐다는 지적도 있지만, 파기하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루덴코 차관은 “우리는 한반도를 비롯해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와 관련해 중국과 긴밀히 접촉하고 있다”며 “따라서 베이징에 있는 우리 친구들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타스=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