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무용지물 ‘방사능 감시기’…“잇단 고장에 감지도 안 돼”
입력 2024.07.23 (19:03)
수정 2024.07.23 (20: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월성원전 저장수 누출 사고를 조사한 원안위의 방식이 허술했다는 보도를 어제 해드렸는데요,
기존에 설치된 바닷속 방사능 감시 기계 역시 무용지물이라는 사실이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심 5미터 바닷속에 놓인 방사능 감시기입니다.
바다로 유입되는 고농도 방사성 물질을 15분마다 탐지합니다.
원안위 산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월성원전 주변인 포항·울산을 비롯해 전국 21곳 해역에 총 6억여 원을 들여 설치했습니다.
문제는 감시기가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겁니다.
검출 가능한 최소 방사능 농도는 1시간 기준 리터당 0.32베크렐.
1960년대 세계 각국의 핵 실험 당시 서해는 물론, 지난 5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지 인근의 세슘-137 농도조차 측정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원자력 기관 관계자/음성변조 : "지금 뭐 아무리 측정해도 그걸로 측정할 수 있는 양이 안 나오거든요. 그 정도까지 올라가려면 핵폭탄이 한 2만 발 터졌어야 해요."]
여기에다 설치 이후 6년간 발생한 고장만 40여 차례.
지난해 유지 보수 비용만 2억 3천만 원을 썼습니다.
[이정헌/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과방위원 : "감마선 분광 분석 장비라는 게 있어요. 이런 장비들을 이용해서 실제로 낮은 농도의 방사성 물질이라도 바로 잡아낼 수 있을 만한 시스템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겠다."]
기술원은 감시기는 신속 분석을 위한 것으로, 정밀 분석은 해수 직접 채취를 통해 병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원전 저장수 누출에 대한 허술한 대응은 물론, 정례적인 감시 분석도 부실하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그래픽:인푸름
월성원전 저장수 누출 사고를 조사한 원안위의 방식이 허술했다는 보도를 어제 해드렸는데요,
기존에 설치된 바닷속 방사능 감시 기계 역시 무용지물이라는 사실이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심 5미터 바닷속에 놓인 방사능 감시기입니다.
바다로 유입되는 고농도 방사성 물질을 15분마다 탐지합니다.
원안위 산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월성원전 주변인 포항·울산을 비롯해 전국 21곳 해역에 총 6억여 원을 들여 설치했습니다.
문제는 감시기가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겁니다.
검출 가능한 최소 방사능 농도는 1시간 기준 리터당 0.32베크렐.
1960년대 세계 각국의 핵 실험 당시 서해는 물론, 지난 5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지 인근의 세슘-137 농도조차 측정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원자력 기관 관계자/음성변조 : "지금 뭐 아무리 측정해도 그걸로 측정할 수 있는 양이 안 나오거든요. 그 정도까지 올라가려면 핵폭탄이 한 2만 발 터졌어야 해요."]
여기에다 설치 이후 6년간 발생한 고장만 40여 차례.
지난해 유지 보수 비용만 2억 3천만 원을 썼습니다.
[이정헌/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과방위원 : "감마선 분광 분석 장비라는 게 있어요. 이런 장비들을 이용해서 실제로 낮은 농도의 방사성 물질이라도 바로 잡아낼 수 있을 만한 시스템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겠다."]
기술원은 감시기는 신속 분석을 위한 것으로, 정밀 분석은 해수 직접 채취를 통해 병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원전 저장수 누출에 대한 허술한 대응은 물론, 정례적인 감시 분석도 부실하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그래픽:인푸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무용지물 ‘방사능 감시기’…“잇단 고장에 감지도 안 돼”
-
- 입력 2024-07-23 19:03:21
- 수정2024-07-23 20:07:37
[앵커]
월성원전 저장수 누출 사고를 조사한 원안위의 방식이 허술했다는 보도를 어제 해드렸는데요,
기존에 설치된 바닷속 방사능 감시 기계 역시 무용지물이라는 사실이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심 5미터 바닷속에 놓인 방사능 감시기입니다.
바다로 유입되는 고농도 방사성 물질을 15분마다 탐지합니다.
원안위 산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월성원전 주변인 포항·울산을 비롯해 전국 21곳 해역에 총 6억여 원을 들여 설치했습니다.
문제는 감시기가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겁니다.
검출 가능한 최소 방사능 농도는 1시간 기준 리터당 0.32베크렐.
1960년대 세계 각국의 핵 실험 당시 서해는 물론, 지난 5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지 인근의 세슘-137 농도조차 측정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원자력 기관 관계자/음성변조 : "지금 뭐 아무리 측정해도 그걸로 측정할 수 있는 양이 안 나오거든요. 그 정도까지 올라가려면 핵폭탄이 한 2만 발 터졌어야 해요."]
여기에다 설치 이후 6년간 발생한 고장만 40여 차례.
지난해 유지 보수 비용만 2억 3천만 원을 썼습니다.
[이정헌/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과방위원 : "감마선 분광 분석 장비라는 게 있어요. 이런 장비들을 이용해서 실제로 낮은 농도의 방사성 물질이라도 바로 잡아낼 수 있을 만한 시스템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겠다."]
기술원은 감시기는 신속 분석을 위한 것으로, 정밀 분석은 해수 직접 채취를 통해 병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원전 저장수 누출에 대한 허술한 대응은 물론, 정례적인 감시 분석도 부실하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그래픽:인푸름
월성원전 저장수 누출 사고를 조사한 원안위의 방식이 허술했다는 보도를 어제 해드렸는데요,
기존에 설치된 바닷속 방사능 감시 기계 역시 무용지물이라는 사실이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심 5미터 바닷속에 놓인 방사능 감시기입니다.
바다로 유입되는 고농도 방사성 물질을 15분마다 탐지합니다.
원안위 산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월성원전 주변인 포항·울산을 비롯해 전국 21곳 해역에 총 6억여 원을 들여 설치했습니다.
문제는 감시기가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겁니다.
검출 가능한 최소 방사능 농도는 1시간 기준 리터당 0.32베크렐.
1960년대 세계 각국의 핵 실험 당시 서해는 물론, 지난 5월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지 인근의 세슘-137 농도조차 측정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원자력 기관 관계자/음성변조 : "지금 뭐 아무리 측정해도 그걸로 측정할 수 있는 양이 안 나오거든요. 그 정도까지 올라가려면 핵폭탄이 한 2만 발 터졌어야 해요."]
여기에다 설치 이후 6년간 발생한 고장만 40여 차례.
지난해 유지 보수 비용만 2억 3천만 원을 썼습니다.
[이정헌/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과방위원 : "감마선 분광 분석 장비라는 게 있어요. 이런 장비들을 이용해서 실제로 낮은 농도의 방사성 물질이라도 바로 잡아낼 수 있을 만한 시스템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겠다."]
기술원은 감시기는 신속 분석을 위한 것으로, 정밀 분석은 해수 직접 채취를 통해 병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원전 저장수 누출에 대한 허술한 대응은 물론, 정례적인 감시 분석도 부실하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그래픽:인푸름
-
-
이지은 기자 easy@kbs.co.kr
이지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