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까지 나라살림 103.4조 적자…“역대 두 번째 적자 규모”
입력 2024.08.14 (11:01)
수정 2024.08.14 (11: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들어 6월까지 실질적인 나라 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가 10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같은 기간 기준으로 역대 두 번째 큰 적자 폭입니다.
기획재정부가 오늘(14일)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8월호’를 보면, 지난 6월까지 우리나라 총수입은 296조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 대비 3천억 원 감소했습니다.
소득세(+0.2조 원), 부가세(+5.6조 원) 수입이 증가한 데 반해, 법인세가 지난해보다 16조 1천억 원이 덜 걷히면서 국세수입이 10조 원 줄었습니다.
세외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조 1천억 원 증가한 16조 5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기금수입도 8조 7천억 원 증가한 110조 9천억 원이 걷혔습니다.
총지출은 상반기 예산 신속집행 영향으로 1년 전보다 20조 3천억 원이 늘어난 371조 9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동기 대비 건강보험가입자지원(+3.2조), 기초연금지급(+1.3조), 부모급여지급(+1.0조) 등에 지출이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6월까지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76조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여기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 수지를 빼 실질적인 재정 상황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103조 4천억 원 적자를 보였습니다.
6월 누계 적자가 100조 원을 넘어선 건 지난 2000년과 2022년 이후 세 번째이며, 적자 규모로는 2020년 110조 5천억 원 적자 이후 두 번째로 큽니다.
기획재정부 한주희 재정건전성과장은 “법인세 수입 감소가 계속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상반기 신속집행이 이뤄지다보니 적자 규모가 커졌다”며 “하반기에 법인세·소득세 수입이 늘어나면 관리재정수지도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6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전월보다 9천억 원 감소한 1,145조 9천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서는 53조 4천억 원 늘었습니다.
[사진 출처 : 기획재정부 홈페이지 보도자료 캡쳐]
같은 기간 기준으로 역대 두 번째 큰 적자 폭입니다.
기획재정부가 오늘(14일)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8월호’를 보면, 지난 6월까지 우리나라 총수입은 296조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 대비 3천억 원 감소했습니다.
소득세(+0.2조 원), 부가세(+5.6조 원) 수입이 증가한 데 반해, 법인세가 지난해보다 16조 1천억 원이 덜 걷히면서 국세수입이 10조 원 줄었습니다.
세외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조 1천억 원 증가한 16조 5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기금수입도 8조 7천억 원 증가한 110조 9천억 원이 걷혔습니다.
총지출은 상반기 예산 신속집행 영향으로 1년 전보다 20조 3천억 원이 늘어난 371조 9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동기 대비 건강보험가입자지원(+3.2조), 기초연금지급(+1.3조), 부모급여지급(+1.0조) 등에 지출이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6월까지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76조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여기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 수지를 빼 실질적인 재정 상황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103조 4천억 원 적자를 보였습니다.
6월 누계 적자가 100조 원을 넘어선 건 지난 2000년과 2022년 이후 세 번째이며, 적자 규모로는 2020년 110조 5천억 원 적자 이후 두 번째로 큽니다.
기획재정부 한주희 재정건전성과장은 “법인세 수입 감소가 계속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상반기 신속집행이 이뤄지다보니 적자 규모가 커졌다”며 “하반기에 법인세·소득세 수입이 늘어나면 관리재정수지도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6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전월보다 9천억 원 감소한 1,145조 9천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서는 53조 4천억 원 늘었습니다.
[사진 출처 : 기획재정부 홈페이지 보도자료 캡쳐]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6월까지 나라살림 103.4조 적자…“역대 두 번째 적자 규모”
-
- 입력 2024-08-14 11:01:27
- 수정2024-08-14 11:02:54
올해 들어 6월까지 실질적인 나라 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가 10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같은 기간 기준으로 역대 두 번째 큰 적자 폭입니다.
기획재정부가 오늘(14일)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8월호’를 보면, 지난 6월까지 우리나라 총수입은 296조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 대비 3천억 원 감소했습니다.
소득세(+0.2조 원), 부가세(+5.6조 원) 수입이 증가한 데 반해, 법인세가 지난해보다 16조 1천억 원이 덜 걷히면서 국세수입이 10조 원 줄었습니다.
세외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조 1천억 원 증가한 16조 5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기금수입도 8조 7천억 원 증가한 110조 9천억 원이 걷혔습니다.
총지출은 상반기 예산 신속집행 영향으로 1년 전보다 20조 3천억 원이 늘어난 371조 9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동기 대비 건강보험가입자지원(+3.2조), 기초연금지급(+1.3조), 부모급여지급(+1.0조) 등에 지출이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6월까지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76조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여기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 수지를 빼 실질적인 재정 상황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103조 4천억 원 적자를 보였습니다.
6월 누계 적자가 100조 원을 넘어선 건 지난 2000년과 2022년 이후 세 번째이며, 적자 규모로는 2020년 110조 5천억 원 적자 이후 두 번째로 큽니다.
기획재정부 한주희 재정건전성과장은 “법인세 수입 감소가 계속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상반기 신속집행이 이뤄지다보니 적자 규모가 커졌다”며 “하반기에 법인세·소득세 수입이 늘어나면 관리재정수지도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6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전월보다 9천억 원 감소한 1,145조 9천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서는 53조 4천억 원 늘었습니다.
[사진 출처 : 기획재정부 홈페이지 보도자료 캡쳐]
같은 기간 기준으로 역대 두 번째 큰 적자 폭입니다.
기획재정부가 오늘(14일)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8월호’를 보면, 지난 6월까지 우리나라 총수입은 296조 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 대비 3천억 원 감소했습니다.
소득세(+0.2조 원), 부가세(+5.6조 원) 수입이 증가한 데 반해, 법인세가 지난해보다 16조 1천억 원이 덜 걷히면서 국세수입이 10조 원 줄었습니다.
세외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조 1천억 원 증가한 16조 5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기금수입도 8조 7천억 원 증가한 110조 9천억 원이 걷혔습니다.
총지출은 상반기 예산 신속집행 영향으로 1년 전보다 20조 3천억 원이 늘어난 371조 9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동기 대비 건강보험가입자지원(+3.2조), 기초연금지급(+1.3조), 부모급여지급(+1.0조) 등에 지출이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6월까지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76조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여기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 수지를 빼 실질적인 재정 상황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103조 4천억 원 적자를 보였습니다.
6월 누계 적자가 100조 원을 넘어선 건 지난 2000년과 2022년 이후 세 번째이며, 적자 규모로는 2020년 110조 5천억 원 적자 이후 두 번째로 큽니다.
기획재정부 한주희 재정건전성과장은 “법인세 수입 감소가 계속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상반기 신속집행이 이뤄지다보니 적자 규모가 커졌다”며 “하반기에 법인세·소득세 수입이 늘어나면 관리재정수지도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6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전월보다 9천억 원 감소한 1,145조 9천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서는 53조 4천억 원 늘었습니다.
[사진 출처 : 기획재정부 홈페이지 보도자료 캡쳐]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