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 토하고 울음 삼키며…” 지리산에서 발견된 392자의 독립 염원 [이런뉴스]
입력 2024.08.14 (14: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웅장한 자연 풍경과 함께 일출 명소로 꼽히는 지리산 천왕봉, 이 천왕봉 바로 아래 바위에서 독립운동가가 작성한 광복을 염원하는 글씨가 확인됐습니다.
바위에는 "천지가 크게 닫혔다고 하는데, 다시 열릴 기미는 언제쯤일까?
오랑캐를 크게 통일하여 문명이 밝게 빛나고 넓게 퍼져가는 날을 반드시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다.
스스로 울분과 원통함을 금치 못하고서 피를 토하고 울음을 삼키며 이 남악 천왕봉에 올라 만세 천왕의 대일통을 기록한다.
아! 슬프다" 라고 새겨져 있습니다.
글을 쓴 묵희 선생은 임시정부 연락책 등으로 활동하다 3년여 옥고를 치르기도 했습니다.
명시적으로 일본을 지목하진 않았지만 독립운동 이력과 1924년 새긴 점을 보면 나라를 빼앗긴 울분을 토로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최석기 / 한국선비문화연구원 부원장
"3 ·1운동이 막 일어난 뒤에 다시 탄압을 받고 숨을 죽이고 있던 상황이니까...
비참한 현실 속에서 살면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자 하는 문명의식을 그분들이 가지고 계셨던 거 같아요"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글씨가 광복절을 앞두고 발견됐습니다.
KBS 뉴스 고해람입니다.
바위에는 "천지가 크게 닫혔다고 하는데, 다시 열릴 기미는 언제쯤일까?
오랑캐를 크게 통일하여 문명이 밝게 빛나고 넓게 퍼져가는 날을 반드시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다.
스스로 울분과 원통함을 금치 못하고서 피를 토하고 울음을 삼키며 이 남악 천왕봉에 올라 만세 천왕의 대일통을 기록한다.
아! 슬프다" 라고 새겨져 있습니다.
글을 쓴 묵희 선생은 임시정부 연락책 등으로 활동하다 3년여 옥고를 치르기도 했습니다.
명시적으로 일본을 지목하진 않았지만 독립운동 이력과 1924년 새긴 점을 보면 나라를 빼앗긴 울분을 토로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최석기 / 한국선비문화연구원 부원장
"3 ·1운동이 막 일어난 뒤에 다시 탄압을 받고 숨을 죽이고 있던 상황이니까...
비참한 현실 속에서 살면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자 하는 문명의식을 그분들이 가지고 계셨던 거 같아요"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글씨가 광복절을 앞두고 발견됐습니다.
KBS 뉴스 고해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피 토하고 울음 삼키며…” 지리산에서 발견된 392자의 독립 염원 [이런뉴스]
-
- 입력 2024-08-14 14:51:11
웅장한 자연 풍경과 함께 일출 명소로 꼽히는 지리산 천왕봉, 이 천왕봉 바로 아래 바위에서 독립운동가가 작성한 광복을 염원하는 글씨가 확인됐습니다.
바위에는 "천지가 크게 닫혔다고 하는데, 다시 열릴 기미는 언제쯤일까?
오랑캐를 크게 통일하여 문명이 밝게 빛나고 넓게 퍼져가는 날을 반드시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다.
스스로 울분과 원통함을 금치 못하고서 피를 토하고 울음을 삼키며 이 남악 천왕봉에 올라 만세 천왕의 대일통을 기록한다.
아! 슬프다" 라고 새겨져 있습니다.
글을 쓴 묵희 선생은 임시정부 연락책 등으로 활동하다 3년여 옥고를 치르기도 했습니다.
명시적으로 일본을 지목하진 않았지만 독립운동 이력과 1924년 새긴 점을 보면 나라를 빼앗긴 울분을 토로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최석기 / 한국선비문화연구원 부원장
"3 ·1운동이 막 일어난 뒤에 다시 탄압을 받고 숨을 죽이고 있던 상황이니까...
비참한 현실 속에서 살면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자 하는 문명의식을 그분들이 가지고 계셨던 거 같아요"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글씨가 광복절을 앞두고 발견됐습니다.
KBS 뉴스 고해람입니다.
바위에는 "천지가 크게 닫혔다고 하는데, 다시 열릴 기미는 언제쯤일까?
오랑캐를 크게 통일하여 문명이 밝게 빛나고 넓게 퍼져가는 날을 반드시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다.
스스로 울분과 원통함을 금치 못하고서 피를 토하고 울음을 삼키며 이 남악 천왕봉에 올라 만세 천왕의 대일통을 기록한다.
아! 슬프다" 라고 새겨져 있습니다.
글을 쓴 묵희 선생은 임시정부 연락책 등으로 활동하다 3년여 옥고를 치르기도 했습니다.
명시적으로 일본을 지목하진 않았지만 독립운동 이력과 1924년 새긴 점을 보면 나라를 빼앗긴 울분을 토로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최석기 / 한국선비문화연구원 부원장
"3 ·1운동이 막 일어난 뒤에 다시 탄압을 받고 숨을 죽이고 있던 상황이니까...
비참한 현실 속에서 살면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자 하는 문명의식을 그분들이 가지고 계셨던 거 같아요"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글씨가 광복절을 앞두고 발견됐습니다.
KBS 뉴스 고해람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