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장관 “‘통일 독트린’은 현실적 방안…후속조치 마련”
입력 2024.08.16 (11:10)
수정 2024.08.16 (11: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8.15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제시한 '8.15 통일 독트린'은 우리가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제시된 것이라며 후속조치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김 장관은 오늘(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30년 동안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첫 단계인 화해협력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8.15 통일 독트린'은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따른 '자유 평화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 달성 목표를 분명히 함으로써, 한반도 구성원 모두가 자유를 누리게 된다는 통일의 지향점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정권의 선의만을 바라볼 것이 아니라 우리가 자유 통일을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을 해 나가자는 차원에서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보완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통일 독트린의 7대 추진방안들을 중심으로 후속조치 이행계획을 마련해 나가겠다"며 메타버스 등을 활용한 첨단 현장형 통일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북한 자유 인권 펀드 조성, 인도지원 관련 국제사회와의 협력 방안 강구 등을 소개했습니다.
특히 윤 대통령이 제시한 남북 당국간 실무차원의 대화협의체 설치와 관련해 김 장관은 북한 당국의 호응을 촉구하며, "이를 위해 북한 당국에 의해 일방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와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이 재가동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방대한 과제를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서는 범정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통일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고 관계부처 차관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남북관계발전위원회'를 조만간 개최해 후속조치 계획을 논의해 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장관은 오늘(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30년 동안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첫 단계인 화해협력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8.15 통일 독트린'은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따른 '자유 평화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 달성 목표를 분명히 함으로써, 한반도 구성원 모두가 자유를 누리게 된다는 통일의 지향점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정권의 선의만을 바라볼 것이 아니라 우리가 자유 통일을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을 해 나가자는 차원에서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보완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통일 독트린의 7대 추진방안들을 중심으로 후속조치 이행계획을 마련해 나가겠다"며 메타버스 등을 활용한 첨단 현장형 통일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북한 자유 인권 펀드 조성, 인도지원 관련 국제사회와의 협력 방안 강구 등을 소개했습니다.
특히 윤 대통령이 제시한 남북 당국간 실무차원의 대화협의체 설치와 관련해 김 장관은 북한 당국의 호응을 촉구하며, "이를 위해 북한 당국에 의해 일방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와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이 재가동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방대한 과제를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서는 범정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통일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고 관계부처 차관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남북관계발전위원회'를 조만간 개최해 후속조치 계획을 논의해 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통일부 장관 “‘통일 독트린’은 현실적 방안…후속조치 마련”
-
- 입력 2024-08-16 11:10:13
- 수정2024-08-16 11:17:11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8.15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제시한 '8.15 통일 독트린'은 우리가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제시된 것이라며 후속조치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김 장관은 오늘(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30년 동안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첫 단계인 화해협력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8.15 통일 독트린'은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따른 '자유 평화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 달성 목표를 분명히 함으로써, 한반도 구성원 모두가 자유를 누리게 된다는 통일의 지향점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정권의 선의만을 바라볼 것이 아니라 우리가 자유 통일을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을 해 나가자는 차원에서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보완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통일 독트린의 7대 추진방안들을 중심으로 후속조치 이행계획을 마련해 나가겠다"며 메타버스 등을 활용한 첨단 현장형 통일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북한 자유 인권 펀드 조성, 인도지원 관련 국제사회와의 협력 방안 강구 등을 소개했습니다.
특히 윤 대통령이 제시한 남북 당국간 실무차원의 대화협의체 설치와 관련해 김 장관은 북한 당국의 호응을 촉구하며, "이를 위해 북한 당국에 의해 일방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와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이 재가동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방대한 과제를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서는 범정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통일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고 관계부처 차관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남북관계발전위원회'를 조만간 개최해 후속조치 계획을 논의해 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장관은 오늘(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30년 동안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첫 단계인 화해협력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8.15 통일 독트린'은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따른 '자유 평화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 달성 목표를 분명히 함으로써, 한반도 구성원 모두가 자유를 누리게 된다는 통일의 지향점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정권의 선의만을 바라볼 것이 아니라 우리가 자유 통일을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을 해 나가자는 차원에서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보완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통일 독트린의 7대 추진방안들을 중심으로 후속조치 이행계획을 마련해 나가겠다"며 메타버스 등을 활용한 첨단 현장형 통일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북한 자유 인권 펀드 조성, 인도지원 관련 국제사회와의 협력 방안 강구 등을 소개했습니다.
특히 윤 대통령이 제시한 남북 당국간 실무차원의 대화협의체 설치와 관련해 김 장관은 북한 당국의 호응을 촉구하며, "이를 위해 북한 당국에 의해 일방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와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이 재가동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방대한 과제를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서는 범정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통일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고 관계부처 차관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남북관계발전위원회'를 조만간 개최해 후속조치 계획을 논의해 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유호윤 기자 live@kbs.co.kr
유호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