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비축미 45만 톤 수매…“햅쌀 40만 톤·지난해 쌀 5만 톤 매입”
입력 2024.08.19 (11:43)
수정 2024.08.19 (1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쌀 45만 톤을 사들여 비축하기로 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공공비축 시행계획을 오늘(1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생산하는 쌀 40만 톤과 지난해 생산한 쌀 5만 톤 등 45만 톤을 공공비축미로 매입합니다.
여기에는 가루쌀 4만 톤과 친환경쌀 만 톤이 포함됐습니다.
지난해 생산한 쌀 5만 톤 수매 계획은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해 지난 6월 결정한 내용입니다.
농식품부는 매입 가격은 수확기 산지 쌀값을 벼 가격으로 환산해 연말에 정하게 되고, 매입 직후 벼 40kg에 3만 원씩 중간정산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친환경쌀은 그동안 특등과 1등급만 매입해왔지만, 올해부터는 2, 3등급까지 확대하고 일반벼보다 등급별로 5%p 가격을 추가 지급한다고 밝혔습니다.
매입 품종은 각 시군에서 미리 제시한 품종으로, 지정 품종이 아닌 품종을 공공비축미로 출하했다가 적발된 농가는 5년 동안 공공비축미를 출하할 수 없게 됩니다.
공공비축제도는 지난 2005년 세계무역기구, 즉 WTO 체제에서 감축 대상이었던 추곡수매제를 대신해 도입한 제도입니다.
2005년부터 한해 35만 톤 규모로 매입해 비축하다가 2022년부터 식량안보와 가루쌀 산업 활성화 등을 위해 매입 규모를 40만 톤 이상으로 늘렸습니다.
공공비축미는 군 급식이나 주정용, 가공용, 식량 원조용 등으로 쓰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공공비축 시행계획을 오늘(1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생산하는 쌀 40만 톤과 지난해 생산한 쌀 5만 톤 등 45만 톤을 공공비축미로 매입합니다.
여기에는 가루쌀 4만 톤과 친환경쌀 만 톤이 포함됐습니다.
지난해 생산한 쌀 5만 톤 수매 계획은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해 지난 6월 결정한 내용입니다.
농식품부는 매입 가격은 수확기 산지 쌀값을 벼 가격으로 환산해 연말에 정하게 되고, 매입 직후 벼 40kg에 3만 원씩 중간정산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친환경쌀은 그동안 특등과 1등급만 매입해왔지만, 올해부터는 2, 3등급까지 확대하고 일반벼보다 등급별로 5%p 가격을 추가 지급한다고 밝혔습니다.
매입 품종은 각 시군에서 미리 제시한 품종으로, 지정 품종이 아닌 품종을 공공비축미로 출하했다가 적발된 농가는 5년 동안 공공비축미를 출하할 수 없게 됩니다.
공공비축제도는 지난 2005년 세계무역기구, 즉 WTO 체제에서 감축 대상이었던 추곡수매제를 대신해 도입한 제도입니다.
2005년부터 한해 35만 톤 규모로 매입해 비축하다가 2022년부터 식량안보와 가루쌀 산업 활성화 등을 위해 매입 규모를 40만 톤 이상으로 늘렸습니다.
공공비축미는 군 급식이나 주정용, 가공용, 식량 원조용 등으로 쓰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공비축미 45만 톤 수매…“햅쌀 40만 톤·지난해 쌀 5만 톤 매입”
-
- 입력 2024-08-19 11:43:53
- 수정2024-08-19 11:56:21
정부가 쌀 45만 톤을 사들여 비축하기로 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공공비축 시행계획을 오늘(1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생산하는 쌀 40만 톤과 지난해 생산한 쌀 5만 톤 등 45만 톤을 공공비축미로 매입합니다.
여기에는 가루쌀 4만 톤과 친환경쌀 만 톤이 포함됐습니다.
지난해 생산한 쌀 5만 톤 수매 계획은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해 지난 6월 결정한 내용입니다.
농식품부는 매입 가격은 수확기 산지 쌀값을 벼 가격으로 환산해 연말에 정하게 되고, 매입 직후 벼 40kg에 3만 원씩 중간정산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친환경쌀은 그동안 특등과 1등급만 매입해왔지만, 올해부터는 2, 3등급까지 확대하고 일반벼보다 등급별로 5%p 가격을 추가 지급한다고 밝혔습니다.
매입 품종은 각 시군에서 미리 제시한 품종으로, 지정 품종이 아닌 품종을 공공비축미로 출하했다가 적발된 농가는 5년 동안 공공비축미를 출하할 수 없게 됩니다.
공공비축제도는 지난 2005년 세계무역기구, 즉 WTO 체제에서 감축 대상이었던 추곡수매제를 대신해 도입한 제도입니다.
2005년부터 한해 35만 톤 규모로 매입해 비축하다가 2022년부터 식량안보와 가루쌀 산업 활성화 등을 위해 매입 규모를 40만 톤 이상으로 늘렸습니다.
공공비축미는 군 급식이나 주정용, 가공용, 식량 원조용 등으로 쓰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공공비축 시행계획을 오늘(1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생산하는 쌀 40만 톤과 지난해 생산한 쌀 5만 톤 등 45만 톤을 공공비축미로 매입합니다.
여기에는 가루쌀 4만 톤과 친환경쌀 만 톤이 포함됐습니다.
지난해 생산한 쌀 5만 톤 수매 계획은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해 지난 6월 결정한 내용입니다.
농식품부는 매입 가격은 수확기 산지 쌀값을 벼 가격으로 환산해 연말에 정하게 되고, 매입 직후 벼 40kg에 3만 원씩 중간정산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친환경쌀은 그동안 특등과 1등급만 매입해왔지만, 올해부터는 2, 3등급까지 확대하고 일반벼보다 등급별로 5%p 가격을 추가 지급한다고 밝혔습니다.
매입 품종은 각 시군에서 미리 제시한 품종으로, 지정 품종이 아닌 품종을 공공비축미로 출하했다가 적발된 농가는 5년 동안 공공비축미를 출하할 수 없게 됩니다.
공공비축제도는 지난 2005년 세계무역기구, 즉 WTO 체제에서 감축 대상이었던 추곡수매제를 대신해 도입한 제도입니다.
2005년부터 한해 35만 톤 규모로 매입해 비축하다가 2022년부터 식량안보와 가루쌀 산업 활성화 등을 위해 매입 규모를 40만 톤 이상으로 늘렸습니다.
공공비축미는 군 급식이나 주정용, 가공용, 식량 원조용 등으로 쓰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수연 기자 isuyon@kbs.co.kr
이수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