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물살 타는 여야의정 협의체…추석 때는 아파도 괜찮을까?

입력 2024.09.07 (07:00) 수정 2024.09.07 (07: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사건이 속출하고, 제때 치료받지 못해 피해를 입었단 안타까운 소식도 들려오는 요즘입니다.

5일간 긴 추석 연휴를 앞두고 설레는 마음보다 "그때 아프면 어떻게 하지?"란 우려가 앞서는 분도 많으실 겁니다.

■ 한동훈 "의료공백 해소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하자"


민심과 국민 눈높이에 반응하겠다고 한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의료 개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의료개혁 여·야·의·정 협의체' 란 카드를 꺼내 든 이유이기도 합니다.

한 대표는 어제(6일) "의료 공백 상황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지역·필수 의료 체계 개선을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를 구성·운영하자"고 야당과 의료계에 제안했습니다.

여야, 의료계,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의료 차질과 혼란을 수습하고, 의료 개혁 방안과 의대 증원의 합리적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협의기구를 구성해 대화의 물꼬를 틔어보잔 겁니다.

추경호 원내대표도 "지금이라도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을 포함해 의료 개혁 문제에 대해 얼마든지 열린 마음으로 원점에서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와 당의 입장"이라며 한 대표에게 힘을 실어줬습니다.

■ 대통령실 "긍정적으로 생각…2026년 의대 정원 제로베이스에서 논의하겠다"

대통령실도 한 대표의 제안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화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의료계가 합리적 안을 제시하면, 2026년 의대 정원 증원 문제를 제로베이스에서 논의하겠다"며 전향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앞서 한 대표의 '2026년 의대 증원 유예' 제안에 대해 대통령실과 정부가 사실상 거부하면서 당정 갈등 우려도 제기됐었는데 이번에 달랐습니다.

당과 대통령실이 의료 개혁과 의정 갈등 이슈를 놓고 오랜만에 일치된 입장을 보인 겁니다.

KBS 취재결과, 한 대표가 그제(5일)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과 면담에 앞서, 이미 당정 간에는 협의체 구성에 대해 공감대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당정은 의료공백 사태에 대한 의원들의 성토가 있었던 지난 주 국민의힘 의원 연찬회 이후 의견을 주고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추경호 원내대표가 대통령실의 협조를 이끌어내고 한 대표 역시 '의대 증원 유예안' 논의를 협의체 안으로 갖고 들어오자며 양쪽을 설득하면서 물밑에서 조율 작업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민주 "'여야의정협의체' 즉시 가동하자…제안 늦었지만 다행"

당정이 모처럼 한목소리를 낸 건 참 다행인데, 관건은 야당과 의료계의 참여입니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늦었지만 다행이다. 협의체를 즉시 가동하자"며 호응했습니다.

그러면서 "26년 정원에만 국한하지 않고 전공의들이 돌아올 수 있도록 모든 방안을 열어 두고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고, 윤석열 대통령의 사과와 조규홍 복지부 장관과 박민수 복지부 차관 등 책임자들에 대한 문책과 경질을 요구했습니다.

의료계는 정부·여당의 제안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의료계의 고심이 길어질 수 있는 만큼 여야정 협의체라도 우선 가동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협의체 구성 제안을 두고 "의료계 쪽에선 일단 관망세"라면서 "그래서 이제 여야끼리 일단 먼저 얘기를 하고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정 안 되면 여야라도 먼저 만나서 갈 거라며, 중요한 건 이게 초당적인 의제라는 것을 인지하고, 대화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 장상윤 사회수석은 SBS 뉴스에 출연해 "의사들을 대화에 참여시키기 위해 정부에서 물밑으로 여러 연락도 해보고 전공의들도 비공개이지만 접촉들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부와 국민의힘, 야당이 뜻을 모은 여·야·의·정 협의체.

극적으로 의료계의 참여까지 끌어내며 6개월 넘게 이어온 의정 갈등에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 온 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급물살 타는 여야의정 협의체…추석 때는 아파도 괜찮을까?
    • 입력 2024-09-07 07:00:39
    • 수정2024-09-07 07:14:56
    심층K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사건이 속출하고, 제때 치료받지 못해 피해를 입었단 안타까운 소식도 들려오는 요즘입니다.

5일간 긴 추석 연휴를 앞두고 설레는 마음보다 "그때 아프면 어떻게 하지?"란 우려가 앞서는 분도 많으실 겁니다.

■ 한동훈 "의료공백 해소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하자"


민심과 국민 눈높이에 반응하겠다고 한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의료 개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의료개혁 여·야·의·정 협의체' 란 카드를 꺼내 든 이유이기도 합니다.

한 대표는 어제(6일) "의료 공백 상황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지역·필수 의료 체계 개선을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를 구성·운영하자"고 야당과 의료계에 제안했습니다.

여야, 의료계,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의료 차질과 혼란을 수습하고, 의료 개혁 방안과 의대 증원의 합리적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협의기구를 구성해 대화의 물꼬를 틔어보잔 겁니다.

추경호 원내대표도 "지금이라도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을 포함해 의료 개혁 문제에 대해 얼마든지 열린 마음으로 원점에서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와 당의 입장"이라며 한 대표에게 힘을 실어줬습니다.

■ 대통령실 "긍정적으로 생각…2026년 의대 정원 제로베이스에서 논의하겠다"

대통령실도 한 대표의 제안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화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의료계가 합리적 안을 제시하면, 2026년 의대 정원 증원 문제를 제로베이스에서 논의하겠다"며 전향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앞서 한 대표의 '2026년 의대 증원 유예' 제안에 대해 대통령실과 정부가 사실상 거부하면서 당정 갈등 우려도 제기됐었는데 이번에 달랐습니다.

당과 대통령실이 의료 개혁과 의정 갈등 이슈를 놓고 오랜만에 일치된 입장을 보인 겁니다.

KBS 취재결과, 한 대표가 그제(5일)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과 면담에 앞서, 이미 당정 간에는 협의체 구성에 대해 공감대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당정은 의료공백 사태에 대한 의원들의 성토가 있었던 지난 주 국민의힘 의원 연찬회 이후 의견을 주고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추경호 원내대표가 대통령실의 협조를 이끌어내고 한 대표 역시 '의대 증원 유예안' 논의를 협의체 안으로 갖고 들어오자며 양쪽을 설득하면서 물밑에서 조율 작업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민주 "'여야의정협의체' 즉시 가동하자…제안 늦었지만 다행"

당정이 모처럼 한목소리를 낸 건 참 다행인데, 관건은 야당과 의료계의 참여입니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늦었지만 다행이다. 협의체를 즉시 가동하자"며 호응했습니다.

그러면서 "26년 정원에만 국한하지 않고 전공의들이 돌아올 수 있도록 모든 방안을 열어 두고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고, 윤석열 대통령의 사과와 조규홍 복지부 장관과 박민수 복지부 차관 등 책임자들에 대한 문책과 경질을 요구했습니다.

의료계는 정부·여당의 제안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의료계의 고심이 길어질 수 있는 만큼 여야정 협의체라도 우선 가동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협의체 구성 제안을 두고 "의료계 쪽에선 일단 관망세"라면서 "그래서 이제 여야끼리 일단 먼저 얘기를 하고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정 안 되면 여야라도 먼저 만나서 갈 거라며, 중요한 건 이게 초당적인 의제라는 것을 인지하고, 대화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 장상윤 사회수석은 SBS 뉴스에 출연해 "의사들을 대화에 참여시키기 위해 정부에서 물밑으로 여러 연락도 해보고 전공의들도 비공개이지만 접촉들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부와 국민의힘, 야당이 뜻을 모은 여·야·의·정 협의체.

극적으로 의료계의 참여까지 끌어내며 6개월 넘게 이어온 의정 갈등에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 온 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