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 ‘평행선’ 언제까지?

입력 2024.09.09 (19:15) 수정 2024.09.09 (19: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의대 증원 문제로 지난 2월 전공의가 병원을 떠난 지 7개월째입니다.

정부와 의료계 갈등은 해결될 실마리가 보이지 않고 있는데요.

김영록 기자와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먼저 전공의가 떠난 대학 병원들, 현재 어떤 상황이죠?

[기자]

네, 겨울에 시작한 이번 사태, 이제 가을을 맞게 됐습니다.

전공의가 떠난 대학병원 상황, 응급실 뺑뺑이에서 수술 거부, 환자들 불안 등 시청자 여러분들도 뉴스로 계속 접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부산에선 부산대병원과 동아대병원 인제대백병원, 그리고 고신대병원 등 650여 명의 전공의가 진료를 멈췄습니다.

권역응급의료센터죠.

동아대병원이 응급 병상을 70%나 줄였고요.

부산대병원이나 인제대백병원은 피로도를 이기지 못하고 응급실 전문의가 사직해 현재 각각 8명, 6명이 겨우 버티고 있습니다.

최근 크게 보도됐었죠.

어린이병원이 있는 양산 부산대병원에선 소아 호흡기 응급 환자를 이제 받지 못합니다.

풍선효과로 2차 병원으로 환자가 몰리고 있는데요.

취재진이 몇 개 병원을 찾았는데 환자 보호자들 걱정이 많습니다.

"이 병원마저 못 오는 게 아닌지, 수술이 또 미뤄질까" 불안감이 컸습니다.

[앵커]

대한응급의사협회가 오늘 입장문에서, 추석 연휴 전국적으로 만 명 이상의 응급 환자를 받지 못할 거란 예측까지 내놨어요.

이런 위기 속, 정부와 의료계 갈등 해결 기미 안보입니까?

[기자]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오늘 대통령실에서 "2026년 의대 정원에 대해 숫자에 구애 안 받고 열린 마음으로 논의하겠다"는 의사 표명했죠.

며칠 전 내놓은 제안에 대해 의료계가 "2025학년도, 그러니까 당장 내년도 신입생 수까지 원점 재검토하자"고 요구하자 한 번 더 선을 그은 겁니다.

정치권에서도 의대 증원 등 의료 개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를 만들기로 했는데요.

하지만 시작부터 난항에 빠졌습니다.

의료계에서 역시나 당장 내년도 의대 정원 백지화를 전제 조건으로 내걸면서 협의체 참여가 사실 불투명해 한발짝도 나서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론 의료계의 이런 강경 입장에 대해 일부에서는 '역풍'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소수 의견이지만 "의사들도 계속 대화에 나서지 않는다면 실익을 챙기지 못할 것"이란 건데요.

결국 팽팽한 양쪽 입장은 쉽게 좁혀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앵커]

이런 상황에서 주요 대학들이 내년도 의대 신입생 수시 모집에 나섰죠?

[기자]

네, 전국 39곳의 의대에서 오늘부터 2025학년도 신입생 수시 모집에 들어갔습니다.

부산에서는 4개 의대가 모집을 시작했는데요.

올해보다 120명 더 많은 460여명을 모집합니다.

정부와 여야 정치권, 또 의료계와의 갈등 속, 교육부가 "내년도 증원 재조정은 없다"고 못 박았지만 수험생들과 학부모 불안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 수험생 사이에선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이 증원될지 불확실하다"며 "올해 입시에서 무조건 의대에 꼭 가야한다"는 이야기가 확산하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고3 수험생은 물론 재수생과 직장인까지 몰릴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앵커]

네, 마지막으로 시청자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실, 추석 연휴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처법 말씀해 주시죠.

[기자]

네, 응급실은 정말 긴박한 경우 생명을 살려야 하는 만큼 전문가들은 명절 동안 가벼운 증상으론 응급실을 찾지 않아야 한다고 조언했는데요.

이 때문에 필수적인 가정 상비약을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명절에 가장 흔한 게 소화불량 같은 위장관 증상인데요.

소화효소가 함유된 소화제나 산을 중화하는 제산제를 챙겨놔야 합니다.

또 가족들이 한데 모이면 바이러스가 쉽게 전파되는 만큼, 감기와 발열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장시간 운전으로 근육통 등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진통제 등을 준비하고 소아 환자 발생에 대비해 어린이용 의약품도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스마트앱이나 인터넷에서 추석 연휴 기간 문을 여는 의료기관을 꼭 한 번 더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영상편집:전은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정 갈등 ‘평행선’ 언제까지?
    • 입력 2024-09-09 19:15:18
    • 수정2024-09-09 19:25:20
    뉴스7(부산)
[앵커]

의대 증원 문제로 지난 2월 전공의가 병원을 떠난 지 7개월째입니다.

정부와 의료계 갈등은 해결될 실마리가 보이지 않고 있는데요.

김영록 기자와 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먼저 전공의가 떠난 대학 병원들, 현재 어떤 상황이죠?

[기자]

네, 겨울에 시작한 이번 사태, 이제 가을을 맞게 됐습니다.

전공의가 떠난 대학병원 상황, 응급실 뺑뺑이에서 수술 거부, 환자들 불안 등 시청자 여러분들도 뉴스로 계속 접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부산에선 부산대병원과 동아대병원 인제대백병원, 그리고 고신대병원 등 650여 명의 전공의가 진료를 멈췄습니다.

권역응급의료센터죠.

동아대병원이 응급 병상을 70%나 줄였고요.

부산대병원이나 인제대백병원은 피로도를 이기지 못하고 응급실 전문의가 사직해 현재 각각 8명, 6명이 겨우 버티고 있습니다.

최근 크게 보도됐었죠.

어린이병원이 있는 양산 부산대병원에선 소아 호흡기 응급 환자를 이제 받지 못합니다.

풍선효과로 2차 병원으로 환자가 몰리고 있는데요.

취재진이 몇 개 병원을 찾았는데 환자 보호자들 걱정이 많습니다.

"이 병원마저 못 오는 게 아닌지, 수술이 또 미뤄질까" 불안감이 컸습니다.

[앵커]

대한응급의사협회가 오늘 입장문에서, 추석 연휴 전국적으로 만 명 이상의 응급 환자를 받지 못할 거란 예측까지 내놨어요.

이런 위기 속, 정부와 의료계 갈등 해결 기미 안보입니까?

[기자]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오늘 대통령실에서 "2026년 의대 정원에 대해 숫자에 구애 안 받고 열린 마음으로 논의하겠다"는 의사 표명했죠.

며칠 전 내놓은 제안에 대해 의료계가 "2025학년도, 그러니까 당장 내년도 신입생 수까지 원점 재검토하자"고 요구하자 한 번 더 선을 그은 겁니다.

정치권에서도 의대 증원 등 의료 개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를 만들기로 했는데요.

하지만 시작부터 난항에 빠졌습니다.

의료계에서 역시나 당장 내년도 의대 정원 백지화를 전제 조건으로 내걸면서 협의체 참여가 사실 불투명해 한발짝도 나서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론 의료계의 이런 강경 입장에 대해 일부에서는 '역풍'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소수 의견이지만 "의사들도 계속 대화에 나서지 않는다면 실익을 챙기지 못할 것"이란 건데요.

결국 팽팽한 양쪽 입장은 쉽게 좁혀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앵커]

이런 상황에서 주요 대학들이 내년도 의대 신입생 수시 모집에 나섰죠?

[기자]

네, 전국 39곳의 의대에서 오늘부터 2025학년도 신입생 수시 모집에 들어갔습니다.

부산에서는 4개 의대가 모집을 시작했는데요.

올해보다 120명 더 많은 460여명을 모집합니다.

정부와 여야 정치권, 또 의료계와의 갈등 속, 교육부가 "내년도 증원 재조정은 없다"고 못 박았지만 수험생들과 학부모 불안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 수험생 사이에선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이 증원될지 불확실하다"며 "올해 입시에서 무조건 의대에 꼭 가야한다"는 이야기가 확산하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고3 수험생은 물론 재수생과 직장인까지 몰릴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앵커]

네, 마지막으로 시청자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실, 추석 연휴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처법 말씀해 주시죠.

[기자]

네, 응급실은 정말 긴박한 경우 생명을 살려야 하는 만큼 전문가들은 명절 동안 가벼운 증상으론 응급실을 찾지 않아야 한다고 조언했는데요.

이 때문에 필수적인 가정 상비약을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명절에 가장 흔한 게 소화불량 같은 위장관 증상인데요.

소화효소가 함유된 소화제나 산을 중화하는 제산제를 챙겨놔야 합니다.

또 가족들이 한데 모이면 바이러스가 쉽게 전파되는 만큼, 감기와 발열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장시간 운전으로 근육통 등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진통제 등을 준비하고 소아 환자 발생에 대비해 어린이용 의약품도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스마트앱이나 인터넷에서 추석 연휴 기간 문을 여는 의료기관을 꼭 한 번 더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영상편집:전은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패럴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