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브리핑] 잇단 땅꺼짐…근본 대책은? 외
입력 2024.09.09 (19:22)
수정 2024.09.09 (20: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주간 지역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와 여론을 소개해 드리는 이슈브리핑 시간입니다.
최근 서울 연희동에 이어 구미와 대구의 도로에서도 땅꺼짐 현상이 나타나 화물차의 앞바퀴가 빠지는 등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국토안전관리원 자료를 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대구는 12건, 경북은 51건 등 모두 63건의 땅꺼짐 현상이 있었는데요.
원인으로는 '하수관 손상'이 가장 많고, '다짐 불량', '굴착공사 부실'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매일신문은 최근 5년간 전국의 땅꺼짐 실태를 점검했는데요.
전국에서 발생한 땅꺼짐은 모두 957건으로, 2명이 숨지고 47명이 다쳤고, 차량 78대가 파손됐습니다.
또, 자치단체의 지반탐사 안전점검 요청이 증가하고 있지만 국토안전관리원이 보유한 전문장비가 8대에 불과해 대응이 어렵다는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을 실었습니다.
황 의원은 인력과 장비 확충을 위한 예산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지반조사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일보는 땅꺼짐의 가장 큰 원인인 노후화된 상하수관 문제를 취재했습니다.
환경부 조사결과 2022년 기준 전국 상·하수관 40만 9천여 킬로미터 중 노후화 구간은 40%에 달했는데요.
서울시의 경우 싱크홀 우려 구간의 절반에 대한 조사를 마쳤다는 소식을 전했고요.
이와 함께 지하철역 주변 등 위험지역은 배수공법이 아닌 방수공법으로 토목공사 방식을 개선하는 등 근본적인 원인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전문가의 지적을 소개했습니다.
경향신문은 현행 지반 침하 진단법의 문제점과 대책을 보도했습니다.
서울시가 지표투과레이더 장비로 도로점검을 정기적으로 하지만, 이 장비는 지표면 3~4미터 아래까지만 감지할 수 있어 지하 7~8미터에서도 생길 수 있는 땅꺼짐을 확인하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우리나라가 인프라 조사에 쓰는 예산을 낭비로 보는 경향이 있다며, 땅꺼짐은 한 번 발생하면 손해가 크기 때문에 관련 장비를 보강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땅꺼짐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땜질식 처방만 반복되고 있죠.
이번에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강도다리와 광어 30만 마리를 기르는 양식장,
작업자가 수조 안에서 폐사한 물고기를 뜰채로 건져냅니다.
피해가 발생한 지난 일주일간 건져낸 물고기는 2만 마리가 넘습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이상기후로 수온이 급상승하면서 올해 경북 동해안 양식장에서 210만 마리가 넘는 어류가 폐사했습니다.
역대 최대치입니다.
국민일보는 경북 동해안 피해 상황을 소개했습니다.
지난 3일 경상북도는 양식장 어류 폐사 피해액이 18억 원으로 추정했는데요.
어종별로 살펴보면 강도다리와 넙치 순으로 고수온에 취약한 어종의 피해가 컸습니다.
지역별로는 포항에서만 199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가장 컸고, 울진과 경주, 영덕이 뒤를 이었습니다.
경향신문은 일본산에 밀리고 폭염에 치이는 양식어가의 고충을 취재했습니다.
고수온 피해로 추석 대목을 앞둔 어민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는데요.
특히 국내 양식어가의 빈자리를 일본산 수산물이 메우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올 상반기 일본산 수산물 수입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직전보다 13.2% 증가했고, 상반기 기준으로 2017년 이후 최고치로 나타났습니다.
수산물 수입이 증가한 원인은 엔저 효과로 가격이 저렴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경남일보는 사설에서 고수온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양식장 고수온 피해는 올해가 처음이 아니며,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재해라고 받아들이기엔 그 피해 규모가 너무 크고, 피해가 해마다 발생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바다 고수온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며 고수온에 강한 어패류를 발굴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양식기술 개발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일상화된 동해안 고수온에 대응하고, 어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정부가 좀 더 속도를 내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그래픽:김지현
최근 서울 연희동에 이어 구미와 대구의 도로에서도 땅꺼짐 현상이 나타나 화물차의 앞바퀴가 빠지는 등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국토안전관리원 자료를 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대구는 12건, 경북은 51건 등 모두 63건의 땅꺼짐 현상이 있었는데요.
원인으로는 '하수관 손상'이 가장 많고, '다짐 불량', '굴착공사 부실'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매일신문은 최근 5년간 전국의 땅꺼짐 실태를 점검했는데요.
전국에서 발생한 땅꺼짐은 모두 957건으로, 2명이 숨지고 47명이 다쳤고, 차량 78대가 파손됐습니다.
또, 자치단체의 지반탐사 안전점검 요청이 증가하고 있지만 국토안전관리원이 보유한 전문장비가 8대에 불과해 대응이 어렵다는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을 실었습니다.
황 의원은 인력과 장비 확충을 위한 예산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지반조사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일보는 땅꺼짐의 가장 큰 원인인 노후화된 상하수관 문제를 취재했습니다.
환경부 조사결과 2022년 기준 전국 상·하수관 40만 9천여 킬로미터 중 노후화 구간은 40%에 달했는데요.
서울시의 경우 싱크홀 우려 구간의 절반에 대한 조사를 마쳤다는 소식을 전했고요.
이와 함께 지하철역 주변 등 위험지역은 배수공법이 아닌 방수공법으로 토목공사 방식을 개선하는 등 근본적인 원인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전문가의 지적을 소개했습니다.
경향신문은 현행 지반 침하 진단법의 문제점과 대책을 보도했습니다.
서울시가 지표투과레이더 장비로 도로점검을 정기적으로 하지만, 이 장비는 지표면 3~4미터 아래까지만 감지할 수 있어 지하 7~8미터에서도 생길 수 있는 땅꺼짐을 확인하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우리나라가 인프라 조사에 쓰는 예산을 낭비로 보는 경향이 있다며, 땅꺼짐은 한 번 발생하면 손해가 크기 때문에 관련 장비를 보강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땅꺼짐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땜질식 처방만 반복되고 있죠.
이번에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강도다리와 광어 30만 마리를 기르는 양식장,
작업자가 수조 안에서 폐사한 물고기를 뜰채로 건져냅니다.
피해가 발생한 지난 일주일간 건져낸 물고기는 2만 마리가 넘습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이상기후로 수온이 급상승하면서 올해 경북 동해안 양식장에서 210만 마리가 넘는 어류가 폐사했습니다.
역대 최대치입니다.
국민일보는 경북 동해안 피해 상황을 소개했습니다.
지난 3일 경상북도는 양식장 어류 폐사 피해액이 18억 원으로 추정했는데요.
어종별로 살펴보면 강도다리와 넙치 순으로 고수온에 취약한 어종의 피해가 컸습니다.
지역별로는 포항에서만 199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가장 컸고, 울진과 경주, 영덕이 뒤를 이었습니다.
경향신문은 일본산에 밀리고 폭염에 치이는 양식어가의 고충을 취재했습니다.
고수온 피해로 추석 대목을 앞둔 어민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는데요.
특히 국내 양식어가의 빈자리를 일본산 수산물이 메우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올 상반기 일본산 수산물 수입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직전보다 13.2% 증가했고, 상반기 기준으로 2017년 이후 최고치로 나타났습니다.
수산물 수입이 증가한 원인은 엔저 효과로 가격이 저렴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경남일보는 사설에서 고수온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양식장 고수온 피해는 올해가 처음이 아니며,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재해라고 받아들이기엔 그 피해 규모가 너무 크고, 피해가 해마다 발생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바다 고수온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며 고수온에 강한 어패류를 발굴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양식기술 개발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일상화된 동해안 고수온에 대응하고, 어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정부가 좀 더 속도를 내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그래픽:김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브리핑] 잇단 땅꺼짐…근본 대책은? 외
-
- 입력 2024-09-09 19:22:15
- 수정2024-09-09 20:15:56
한 주간 지역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와 여론을 소개해 드리는 이슈브리핑 시간입니다.
최근 서울 연희동에 이어 구미와 대구의 도로에서도 땅꺼짐 현상이 나타나 화물차의 앞바퀴가 빠지는 등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국토안전관리원 자료를 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대구는 12건, 경북은 51건 등 모두 63건의 땅꺼짐 현상이 있었는데요.
원인으로는 '하수관 손상'이 가장 많고, '다짐 불량', '굴착공사 부실'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매일신문은 최근 5년간 전국의 땅꺼짐 실태를 점검했는데요.
전국에서 발생한 땅꺼짐은 모두 957건으로, 2명이 숨지고 47명이 다쳤고, 차량 78대가 파손됐습니다.
또, 자치단체의 지반탐사 안전점검 요청이 증가하고 있지만 국토안전관리원이 보유한 전문장비가 8대에 불과해 대응이 어렵다는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을 실었습니다.
황 의원은 인력과 장비 확충을 위한 예산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지반조사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일보는 땅꺼짐의 가장 큰 원인인 노후화된 상하수관 문제를 취재했습니다.
환경부 조사결과 2022년 기준 전국 상·하수관 40만 9천여 킬로미터 중 노후화 구간은 40%에 달했는데요.
서울시의 경우 싱크홀 우려 구간의 절반에 대한 조사를 마쳤다는 소식을 전했고요.
이와 함께 지하철역 주변 등 위험지역은 배수공법이 아닌 방수공법으로 토목공사 방식을 개선하는 등 근본적인 원인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전문가의 지적을 소개했습니다.
경향신문은 현행 지반 침하 진단법의 문제점과 대책을 보도했습니다.
서울시가 지표투과레이더 장비로 도로점검을 정기적으로 하지만, 이 장비는 지표면 3~4미터 아래까지만 감지할 수 있어 지하 7~8미터에서도 생길 수 있는 땅꺼짐을 확인하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우리나라가 인프라 조사에 쓰는 예산을 낭비로 보는 경향이 있다며, 땅꺼짐은 한 번 발생하면 손해가 크기 때문에 관련 장비를 보강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땅꺼짐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땜질식 처방만 반복되고 있죠.
이번에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강도다리와 광어 30만 마리를 기르는 양식장,
작업자가 수조 안에서 폐사한 물고기를 뜰채로 건져냅니다.
피해가 발생한 지난 일주일간 건져낸 물고기는 2만 마리가 넘습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이상기후로 수온이 급상승하면서 올해 경북 동해안 양식장에서 210만 마리가 넘는 어류가 폐사했습니다.
역대 최대치입니다.
국민일보는 경북 동해안 피해 상황을 소개했습니다.
지난 3일 경상북도는 양식장 어류 폐사 피해액이 18억 원으로 추정했는데요.
어종별로 살펴보면 강도다리와 넙치 순으로 고수온에 취약한 어종의 피해가 컸습니다.
지역별로는 포항에서만 199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가장 컸고, 울진과 경주, 영덕이 뒤를 이었습니다.
경향신문은 일본산에 밀리고 폭염에 치이는 양식어가의 고충을 취재했습니다.
고수온 피해로 추석 대목을 앞둔 어민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는데요.
특히 국내 양식어가의 빈자리를 일본산 수산물이 메우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올 상반기 일본산 수산물 수입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직전보다 13.2% 증가했고, 상반기 기준으로 2017년 이후 최고치로 나타났습니다.
수산물 수입이 증가한 원인은 엔저 효과로 가격이 저렴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경남일보는 사설에서 고수온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양식장 고수온 피해는 올해가 처음이 아니며,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재해라고 받아들이기엔 그 피해 규모가 너무 크고, 피해가 해마다 발생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바다 고수온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며 고수온에 강한 어패류를 발굴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양식기술 개발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일상화된 동해안 고수온에 대응하고, 어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정부가 좀 더 속도를 내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그래픽:김지현
최근 서울 연희동에 이어 구미와 대구의 도로에서도 땅꺼짐 현상이 나타나 화물차의 앞바퀴가 빠지는 등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국토안전관리원 자료를 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대구는 12건, 경북은 51건 등 모두 63건의 땅꺼짐 현상이 있었는데요.
원인으로는 '하수관 손상'이 가장 많고, '다짐 불량', '굴착공사 부실'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매일신문은 최근 5년간 전국의 땅꺼짐 실태를 점검했는데요.
전국에서 발생한 땅꺼짐은 모두 957건으로, 2명이 숨지고 47명이 다쳤고, 차량 78대가 파손됐습니다.
또, 자치단체의 지반탐사 안전점검 요청이 증가하고 있지만 국토안전관리원이 보유한 전문장비가 8대에 불과해 대응이 어렵다는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을 실었습니다.
황 의원은 인력과 장비 확충을 위한 예산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지반조사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일보는 땅꺼짐의 가장 큰 원인인 노후화된 상하수관 문제를 취재했습니다.
환경부 조사결과 2022년 기준 전국 상·하수관 40만 9천여 킬로미터 중 노후화 구간은 40%에 달했는데요.
서울시의 경우 싱크홀 우려 구간의 절반에 대한 조사를 마쳤다는 소식을 전했고요.
이와 함께 지하철역 주변 등 위험지역은 배수공법이 아닌 방수공법으로 토목공사 방식을 개선하는 등 근본적인 원인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전문가의 지적을 소개했습니다.
경향신문은 현행 지반 침하 진단법의 문제점과 대책을 보도했습니다.
서울시가 지표투과레이더 장비로 도로점검을 정기적으로 하지만, 이 장비는 지표면 3~4미터 아래까지만 감지할 수 있어 지하 7~8미터에서도 생길 수 있는 땅꺼짐을 확인하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우리나라가 인프라 조사에 쓰는 예산을 낭비로 보는 경향이 있다며, 땅꺼짐은 한 번 발생하면 손해가 크기 때문에 관련 장비를 보강해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땅꺼짐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땜질식 처방만 반복되고 있죠.
이번에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강도다리와 광어 30만 마리를 기르는 양식장,
작업자가 수조 안에서 폐사한 물고기를 뜰채로 건져냅니다.
피해가 발생한 지난 일주일간 건져낸 물고기는 2만 마리가 넘습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이상기후로 수온이 급상승하면서 올해 경북 동해안 양식장에서 210만 마리가 넘는 어류가 폐사했습니다.
역대 최대치입니다.
국민일보는 경북 동해안 피해 상황을 소개했습니다.
지난 3일 경상북도는 양식장 어류 폐사 피해액이 18억 원으로 추정했는데요.
어종별로 살펴보면 강도다리와 넙치 순으로 고수온에 취약한 어종의 피해가 컸습니다.
지역별로는 포항에서만 199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가장 컸고, 울진과 경주, 영덕이 뒤를 이었습니다.
경향신문은 일본산에 밀리고 폭염에 치이는 양식어가의 고충을 취재했습니다.
고수온 피해로 추석 대목을 앞둔 어민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는데요.
특히 국내 양식어가의 빈자리를 일본산 수산물이 메우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올 상반기 일본산 수산물 수입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직전보다 13.2% 증가했고, 상반기 기준으로 2017년 이후 최고치로 나타났습니다.
수산물 수입이 증가한 원인은 엔저 효과로 가격이 저렴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경남일보는 사설에서 고수온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양식장 고수온 피해는 올해가 처음이 아니며,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재해라고 받아들이기엔 그 피해 규모가 너무 크고, 피해가 해마다 발생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바다 고수온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며 고수온에 강한 어패류를 발굴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양식기술 개발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일상화된 동해안 고수온에 대응하고, 어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정부가 좀 더 속도를 내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슈브리핑이었습니다.
그래픽:김지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