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가자지구 GDP 81% 급락…일자리 3분의2 소멸”
입력 2024.09.10 (17:45)
수정 2024.09.10 (17: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무장정파 하마스와 이스라엘군의 교전이 10개월 넘게 이어지면서 현지 경제도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고 유엔이 전했습니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현지 시각 10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가자지구의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10월 전쟁 발발 이후 81% 급감했습니다.
올해 중반 기준으로 가자지구의 GDP는 2022년 대비 6분의 1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전란 속에 가자지구 내 농업 시설의 80∼90%가 파괴됐고, 기업의 82%가 공습 피해로 가동이 어려워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일자리는 올해 1월 기준으로 전쟁 직전 대비 20만 1,000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이는 전체 일자리의 3분의 2에 해당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습니다.
요르단강 서안의 경제 위축도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자지구 전쟁 발발 직후 서안 지역에서도 정착민 폭력 사태와 이스라엘 측의 팔레스타인 거주 시설 철거 등이 끊이지 않으면서 지난해 4분기에 GDP가 1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보고서는 “전쟁 발발 이전에도 가자지구는 전체 인구의 80%가 국제 원조에 의존한 경제생활을 하고 있었는데 전쟁 이후로는 전체 인구가 빈곤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서안지구에서도 빈곤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는 중”이라고 진단했습니다.
UNCTAD는 “교전의 장기화는 팔레스타인 경제 발전에 중요한 장애물로 남아 있다”면서 “현지 경제의 자유낙하를 막으려면 평화 정착과 더불어 국제원조의 확대, 가자지구 봉쇄 해제, 포괄적인 경제 복구 계획 수립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유엔무역개발회의 제공]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현지 시각 10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가자지구의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10월 전쟁 발발 이후 81% 급감했습니다.
올해 중반 기준으로 가자지구의 GDP는 2022년 대비 6분의 1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전란 속에 가자지구 내 농업 시설의 80∼90%가 파괴됐고, 기업의 82%가 공습 피해로 가동이 어려워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일자리는 올해 1월 기준으로 전쟁 직전 대비 20만 1,000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이는 전체 일자리의 3분의 2에 해당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습니다.
요르단강 서안의 경제 위축도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자지구 전쟁 발발 직후 서안 지역에서도 정착민 폭력 사태와 이스라엘 측의 팔레스타인 거주 시설 철거 등이 끊이지 않으면서 지난해 4분기에 GDP가 1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보고서는 “전쟁 발발 이전에도 가자지구는 전체 인구의 80%가 국제 원조에 의존한 경제생활을 하고 있었는데 전쟁 이후로는 전체 인구가 빈곤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서안지구에서도 빈곤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는 중”이라고 진단했습니다.
UNCTAD는 “교전의 장기화는 팔레스타인 경제 발전에 중요한 장애물로 남아 있다”면서 “현지 경제의 자유낙하를 막으려면 평화 정착과 더불어 국제원조의 확대, 가자지구 봉쇄 해제, 포괄적인 경제 복구 계획 수립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유엔무역개발회의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엔 “가자지구 GDP 81% 급락…일자리 3분의2 소멸”
-
- 입력 2024-09-10 17:45:11
- 수정2024-09-10 17:46:17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무장정파 하마스와 이스라엘군의 교전이 10개월 넘게 이어지면서 현지 경제도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고 유엔이 전했습니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현지 시각 10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가자지구의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10월 전쟁 발발 이후 81% 급감했습니다.
올해 중반 기준으로 가자지구의 GDP는 2022년 대비 6분의 1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전란 속에 가자지구 내 농업 시설의 80∼90%가 파괴됐고, 기업의 82%가 공습 피해로 가동이 어려워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일자리는 올해 1월 기준으로 전쟁 직전 대비 20만 1,000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이는 전체 일자리의 3분의 2에 해당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습니다.
요르단강 서안의 경제 위축도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자지구 전쟁 발발 직후 서안 지역에서도 정착민 폭력 사태와 이스라엘 측의 팔레스타인 거주 시설 철거 등이 끊이지 않으면서 지난해 4분기에 GDP가 1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보고서는 “전쟁 발발 이전에도 가자지구는 전체 인구의 80%가 국제 원조에 의존한 경제생활을 하고 있었는데 전쟁 이후로는 전체 인구가 빈곤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서안지구에서도 빈곤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는 중”이라고 진단했습니다.
UNCTAD는 “교전의 장기화는 팔레스타인 경제 발전에 중요한 장애물로 남아 있다”면서 “현지 경제의 자유낙하를 막으려면 평화 정착과 더불어 국제원조의 확대, 가자지구 봉쇄 해제, 포괄적인 경제 복구 계획 수립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유엔무역개발회의 제공]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현지 시각 10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가자지구의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10월 전쟁 발발 이후 81% 급감했습니다.
올해 중반 기준으로 가자지구의 GDP는 2022년 대비 6분의 1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전란 속에 가자지구 내 농업 시설의 80∼90%가 파괴됐고, 기업의 82%가 공습 피해로 가동이 어려워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일자리는 올해 1월 기준으로 전쟁 직전 대비 20만 1,000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이는 전체 일자리의 3분의 2에 해당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습니다.
요르단강 서안의 경제 위축도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자지구 전쟁 발발 직후 서안 지역에서도 정착민 폭력 사태와 이스라엘 측의 팔레스타인 거주 시설 철거 등이 끊이지 않으면서 지난해 4분기에 GDP가 1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보고서는 “전쟁 발발 이전에도 가자지구는 전체 인구의 80%가 국제 원조에 의존한 경제생활을 하고 있었는데 전쟁 이후로는 전체 인구가 빈곤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서안지구에서도 빈곤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는 중”이라고 진단했습니다.
UNCTAD는 “교전의 장기화는 팔레스타인 경제 발전에 중요한 장애물로 남아 있다”면서 “현지 경제의 자유낙하를 막으려면 평화 정착과 더불어 국제원조의 확대, 가자지구 봉쇄 해제, 포괄적인 경제 복구 계획 수립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유엔무역개발회의 제공]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