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기준 부적합’ 보조배터리·쌍꺼풀 테이프 등 54개 제품 리콜 명령

입력 2024.09.11 (11:01) 수정 2024.09.11 (11: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 기준에 맞지 않는 보조 배터리와 쌍꺼풀 테이프 등 전기·생활·어린이 제품 54개에 대해 리콜 명령이 내려졌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안전기준 부적합률이 높거나 화재 등 사고가 잦아 중점 관리 품목으로 지정·관리 중인 전지와 전동킥보드, 가구 등 73개 품목, 916개 제품에 대해 안전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안전 기준에 부적합한 54개 제품에 대해 수거 등 명령 이른바 ‘리콜 명령’을 내렸다고 오늘(11일) 밝혔습니다.

리콜 대상은 구체적으로 전기용품 14개, 생활용품 14개, 어린이 제품 26개입니다.

전기용품엔 감전 위험이 있는 휴대용 보조배터리와 휴대용 선풍기에 들어가는 리튬 전지 등 전지 2개와 전기레인지, 전기밥솥 등이 포함됐습니다.

생활용품 가운데엔 전도 위험이 있는 가구 4개와 유해물질이 검출된 쌍꺼풀 4개 등이 리콜 대상이 됐습니다.

어린이 제품 가운데에선 6개 완구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등 유해물질이 검출돼 리콜 명령이 내려졌습니다.

이밖에 어린이용 장신구와 가죽제품도 포함됐습니다.

특히 가구와 쌍꺼풀용 테이프, 어린이용 장신구, 전지는 안전기준 부적합률이 각각 40%, 33%, 27%, 13%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올해 상반기 평균 부적합률인 6.1%보다 높은 수준으로, 국표원은 이 같은 품목을 구매할 때 소비자들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화재 사고가 잦아 안전 우려가 큰 전동킥보드에 대해선 이번에 4개 제품을 조사했지만 리콜 대상은 없었습니다.

국표원은 “앞으로도 전동킥보드 등 안전사고가 빈번한 제품에 대해선 집중적으로 안전성 조사를 추진해 위해 제품의 시중 유통을 근절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리콜 대상이 된 54개 제품의 자세한 정보는 제품안전정보센터 홈페이지(ww.safetykorea.kr)와 소비자24(www.consumer.go.kr)에 공개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가기술표준원 홈페이지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안전 기준 부적합’ 보조배터리·쌍꺼풀 테이프 등 54개 제품 리콜 명령
    • 입력 2024-09-11 11:01:10
    • 수정2024-09-11 11:15:01
    경제
안전 기준에 맞지 않는 보조 배터리와 쌍꺼풀 테이프 등 전기·생활·어린이 제품 54개에 대해 리콜 명령이 내려졌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안전기준 부적합률이 높거나 화재 등 사고가 잦아 중점 관리 품목으로 지정·관리 중인 전지와 전동킥보드, 가구 등 73개 품목, 916개 제품에 대해 안전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안전 기준에 부적합한 54개 제품에 대해 수거 등 명령 이른바 ‘리콜 명령’을 내렸다고 오늘(11일) 밝혔습니다.

리콜 대상은 구체적으로 전기용품 14개, 생활용품 14개, 어린이 제품 26개입니다.

전기용품엔 감전 위험이 있는 휴대용 보조배터리와 휴대용 선풍기에 들어가는 리튬 전지 등 전지 2개와 전기레인지, 전기밥솥 등이 포함됐습니다.

생활용품 가운데엔 전도 위험이 있는 가구 4개와 유해물질이 검출된 쌍꺼풀 4개 등이 리콜 대상이 됐습니다.

어린이 제품 가운데에선 6개 완구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등 유해물질이 검출돼 리콜 명령이 내려졌습니다.

이밖에 어린이용 장신구와 가죽제품도 포함됐습니다.

특히 가구와 쌍꺼풀용 테이프, 어린이용 장신구, 전지는 안전기준 부적합률이 각각 40%, 33%, 27%, 13%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올해 상반기 평균 부적합률인 6.1%보다 높은 수준으로, 국표원은 이 같은 품목을 구매할 때 소비자들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화재 사고가 잦아 안전 우려가 큰 전동킥보드에 대해선 이번에 4개 제품을 조사했지만 리콜 대상은 없었습니다.

국표원은 “앞으로도 전동킥보드 등 안전사고가 빈번한 제품에 대해선 집중적으로 안전성 조사를 추진해 위해 제품의 시중 유통을 근절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리콜 대상이 된 54개 제품의 자세한 정보는 제품안전정보센터 홈페이지(ww.safetykorea.kr)와 소비자24(www.consumer.go.kr)에 공개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가기술표준원 홈페이지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