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려진 울산의 독립운동 ‘교육 현장으로’

입력 2024.10.08 (19:25) 수정 2024.10.08 (19: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울산 출신의 유명한 항일 독립운동가도 많지만, '교육'을 통해 독립운동에 앞장섰던 잘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들도 적지 않습니다.

울산교육청이 이들의 업적을 기리고, 그 정신을 이어가기 위해 교육 현장 곳곳에 발자취를 남기고 있습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일제 치하 옥고를 치르면서도 한글을 지키고 가르쳤던 외솔 최현배 선생.

지금도 큰 울림을 주는 울산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잡니다.

[최현배 선생 육성 : "일제 경찰은 조선어학회 회원 33인을 검거하여 함흥형무소에 가두었습니다. 이때 큰 사전(우리말큰사전)원고도 증거물이 돼서 함흥까지 가져간 바 되었습니다."]

울산시교육청이 한글날을 맞아 선생의 업적이 담긴 QR코드와 함께 기념 동판을 설치했습니다.

울산 시민에게 크게 알려지지 않은, 가려진 교사 출신 독립운동가들도 소개됐습니다.

보성학교를 세운 성세빈 선생과 동화의숙을 설립한 안태로 선생, 양정학원 교사였던 이무종 선생과 대흥학교 교장 조형진 선생, 언양초 출신의 박제민 선생과 경성여자만세운동을 주도한 이효정 선생 등 6명입니다.

[송화영/천곡중 교사/이무종 선생 외증손 : "교단에 설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신 거에 대해서 (이무종 외증조) 할아버지께 감사드리고 할아버지의 뜻을 시간이 많이 지났지만, 학생들과 함께 기릴 수 있는 시간을 이렇게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울산교육청은 2019년부터 교육자 독립운동가 발굴을 시작해, 학생들이 그 업적을 기억하고 정신을 계승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념 사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김수형/울산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장학사 : "학생들이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기억할 수 있는…. 역사교육의 정신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양한) 행사를 기획하게 됐습니다."]

또 울산을 중심으로 벌어졌던 '독립운동사'를 담은 교과서도 올해 말 보급돼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교재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려진 울산의 독립운동 ‘교육 현장으로’
    • 입력 2024-10-08 19:25:25
    • 수정2024-10-08 19:36:11
    뉴스7(부산)
[앵커]

울산 출신의 유명한 항일 독립운동가도 많지만, '교육'을 통해 독립운동에 앞장섰던 잘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들도 적지 않습니다.

울산교육청이 이들의 업적을 기리고, 그 정신을 이어가기 위해 교육 현장 곳곳에 발자취를 남기고 있습니다.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일제 치하 옥고를 치르면서도 한글을 지키고 가르쳤던 외솔 최현배 선생.

지금도 큰 울림을 주는 울산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잡니다.

[최현배 선생 육성 : "일제 경찰은 조선어학회 회원 33인을 검거하여 함흥형무소에 가두었습니다. 이때 큰 사전(우리말큰사전)원고도 증거물이 돼서 함흥까지 가져간 바 되었습니다."]

울산시교육청이 한글날을 맞아 선생의 업적이 담긴 QR코드와 함께 기념 동판을 설치했습니다.

울산 시민에게 크게 알려지지 않은, 가려진 교사 출신 독립운동가들도 소개됐습니다.

보성학교를 세운 성세빈 선생과 동화의숙을 설립한 안태로 선생, 양정학원 교사였던 이무종 선생과 대흥학교 교장 조형진 선생, 언양초 출신의 박제민 선생과 경성여자만세운동을 주도한 이효정 선생 등 6명입니다.

[송화영/천곡중 교사/이무종 선생 외증손 : "교단에 설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신 거에 대해서 (이무종 외증조) 할아버지께 감사드리고 할아버지의 뜻을 시간이 많이 지났지만, 학생들과 함께 기릴 수 있는 시간을 이렇게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울산교육청은 2019년부터 교육자 독립운동가 발굴을 시작해, 학생들이 그 업적을 기억하고 정신을 계승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념 사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김수형/울산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장학사 : "학생들이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기억할 수 있는…. 역사교육의 정신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양한) 행사를 기획하게 됐습니다."]

또 울산을 중심으로 벌어졌던 '독립운동사'를 담은 교과서도 올해 말 보급돼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교재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