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레바논서 43만명 ‘내전국’ 시리아로 피란”
입력 2024.10.25 (18:55)
수정 2024.10.25 (19: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과 친이란 무장세력 헤즈볼라의 교전이 격화하면서 43만명 정도의 피란민이 국경을 넘어 인접한 시리아로 넘어갔다고 유엔이 전했습니다.
유엔 인도적업무조정실(OHCA)은 현지시간으로 25일 상황 보고서를 통해 “레바논에서 벌어지는 적대행위로 국경을 넘는 피란민이 증가했다”며 “지난달 23일 이후 43만여명이 시리아로 넘어왔다”고 밝혔습니다.
OCHA에 따르면 이 4주간 시리아로 들어온 피란민 가운데 4분의 3은 시리아 국적자이고 나머지는 레바논 국민이었습니다. 전체 피란민 43만명 가운데 80%가 여성과 아동으로 파악됐습니다.
시리아에선 14년째 내전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2011년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정권 퇴진 시위를 강경 진압한 이후로 정부군과 반군 사이의 내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내전으로 시리아를 떠나 레바논으로 유입한 이주민들이 또다시 전란을 피해 시리아로 돌아가는 모습입니다.
필리포 그란디 유엔난민기구(UNHCR) 최고대표는 이 상황을 두고 “고통에 고통을 더하는 일”이라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시리아의 인도적 상황 역시 여전히 나쁘다는 게 유엔의 진단입니다. OCHA는 “시리아에서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이들은 1천600만명 이상이고 이 가운데 700만명 이상은 국내 실향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내국인만으로도 구호가 절실한 시리아로 레바논 피란민까지 밀려들자 유엔은 긴급 대응자금 400만 달러(55억5천여만원)를 시리아에 추가 할당했습니다.
이미 배정된 구호 지원금까지 합치면 1천200만 달러(166억6천여만원)가 식량 지원과 임시 주거지 제공 등에 투입됩니다.
OCHA는 “레바논과 시리아를 잇는 주요 도로가 최근 공습으로 파괴됐다”며 “레바논 피란민까지 대거 들어오는 시리아에서 인도적 지원의 흐름을 방해하는 데 대해서는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유엔난민기구 사진 제공]
유엔 인도적업무조정실(OHCA)은 현지시간으로 25일 상황 보고서를 통해 “레바논에서 벌어지는 적대행위로 국경을 넘는 피란민이 증가했다”며 “지난달 23일 이후 43만여명이 시리아로 넘어왔다”고 밝혔습니다.
OCHA에 따르면 이 4주간 시리아로 들어온 피란민 가운데 4분의 3은 시리아 국적자이고 나머지는 레바논 국민이었습니다. 전체 피란민 43만명 가운데 80%가 여성과 아동으로 파악됐습니다.
시리아에선 14년째 내전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2011년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정권 퇴진 시위를 강경 진압한 이후로 정부군과 반군 사이의 내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내전으로 시리아를 떠나 레바논으로 유입한 이주민들이 또다시 전란을 피해 시리아로 돌아가는 모습입니다.
필리포 그란디 유엔난민기구(UNHCR) 최고대표는 이 상황을 두고 “고통에 고통을 더하는 일”이라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시리아의 인도적 상황 역시 여전히 나쁘다는 게 유엔의 진단입니다. OCHA는 “시리아에서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이들은 1천600만명 이상이고 이 가운데 700만명 이상은 국내 실향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내국인만으로도 구호가 절실한 시리아로 레바논 피란민까지 밀려들자 유엔은 긴급 대응자금 400만 달러(55억5천여만원)를 시리아에 추가 할당했습니다.
이미 배정된 구호 지원금까지 합치면 1천200만 달러(166억6천여만원)가 식량 지원과 임시 주거지 제공 등에 투입됩니다.
OCHA는 “레바논과 시리아를 잇는 주요 도로가 최근 공습으로 파괴됐다”며 “레바논 피란민까지 대거 들어오는 시리아에서 인도적 지원의 흐름을 방해하는 데 대해서는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유엔난민기구 사진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엔 “레바논서 43만명 ‘내전국’ 시리아로 피란”
-
- 입력 2024-10-25 18:55:33
- 수정2024-10-25 19:08:11

이스라엘과 친이란 무장세력 헤즈볼라의 교전이 격화하면서 43만명 정도의 피란민이 국경을 넘어 인접한 시리아로 넘어갔다고 유엔이 전했습니다.
유엔 인도적업무조정실(OHCA)은 현지시간으로 25일 상황 보고서를 통해 “레바논에서 벌어지는 적대행위로 국경을 넘는 피란민이 증가했다”며 “지난달 23일 이후 43만여명이 시리아로 넘어왔다”고 밝혔습니다.
OCHA에 따르면 이 4주간 시리아로 들어온 피란민 가운데 4분의 3은 시리아 국적자이고 나머지는 레바논 국민이었습니다. 전체 피란민 43만명 가운데 80%가 여성과 아동으로 파악됐습니다.
시리아에선 14년째 내전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2011년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정권 퇴진 시위를 강경 진압한 이후로 정부군과 반군 사이의 내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내전으로 시리아를 떠나 레바논으로 유입한 이주민들이 또다시 전란을 피해 시리아로 돌아가는 모습입니다.
필리포 그란디 유엔난민기구(UNHCR) 최고대표는 이 상황을 두고 “고통에 고통을 더하는 일”이라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시리아의 인도적 상황 역시 여전히 나쁘다는 게 유엔의 진단입니다. OCHA는 “시리아에서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이들은 1천600만명 이상이고 이 가운데 700만명 이상은 국내 실향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내국인만으로도 구호가 절실한 시리아로 레바논 피란민까지 밀려들자 유엔은 긴급 대응자금 400만 달러(55억5천여만원)를 시리아에 추가 할당했습니다.
이미 배정된 구호 지원금까지 합치면 1천200만 달러(166억6천여만원)가 식량 지원과 임시 주거지 제공 등에 투입됩니다.
OCHA는 “레바논과 시리아를 잇는 주요 도로가 최근 공습으로 파괴됐다”며 “레바논 피란민까지 대거 들어오는 시리아에서 인도적 지원의 흐름을 방해하는 데 대해서는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유엔난민기구 사진 제공]
유엔 인도적업무조정실(OHCA)은 현지시간으로 25일 상황 보고서를 통해 “레바논에서 벌어지는 적대행위로 국경을 넘는 피란민이 증가했다”며 “지난달 23일 이후 43만여명이 시리아로 넘어왔다”고 밝혔습니다.
OCHA에 따르면 이 4주간 시리아로 들어온 피란민 가운데 4분의 3은 시리아 국적자이고 나머지는 레바논 국민이었습니다. 전체 피란민 43만명 가운데 80%가 여성과 아동으로 파악됐습니다.
시리아에선 14년째 내전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2011년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정권 퇴진 시위를 강경 진압한 이후로 정부군과 반군 사이의 내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내전으로 시리아를 떠나 레바논으로 유입한 이주민들이 또다시 전란을 피해 시리아로 돌아가는 모습입니다.
필리포 그란디 유엔난민기구(UNHCR) 최고대표는 이 상황을 두고 “고통에 고통을 더하는 일”이라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시리아의 인도적 상황 역시 여전히 나쁘다는 게 유엔의 진단입니다. OCHA는 “시리아에서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이들은 1천600만명 이상이고 이 가운데 700만명 이상은 국내 실향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내국인만으로도 구호가 절실한 시리아로 레바논 피란민까지 밀려들자 유엔은 긴급 대응자금 400만 달러(55억5천여만원)를 시리아에 추가 할당했습니다.
이미 배정된 구호 지원금까지 합치면 1천200만 달러(166억6천여만원)가 식량 지원과 임시 주거지 제공 등에 투입됩니다.
OCHA는 “레바논과 시리아를 잇는 주요 도로가 최근 공습으로 파괴됐다”며 “레바논 피란민까지 대거 들어오는 시리아에서 인도적 지원의 흐름을 방해하는 데 대해서는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유엔난민기구 사진 제공]
-
-
송명희 기자 thimble@kbs.co.kr
송명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