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고임금 전문직’ 대체할까?…“생산성 늘지만 노동 강도는 그대로”
입력 2024.10.31 (19:51)
수정 2024.10.31 (19: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고임금 전문직’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오히려 이들의 생산성을 보완해 역량을 높일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또 근로자 67%는 이미 인공지능을 사용해 생산성을 높이고 있지만, 노동강도는 그대로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노동연구원은 오늘(3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AI 노동 : 가치를 재정립하고, 공존을 모색하며 미래를 준비하다’를 주제로 개원 36주년 기념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장지연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발제하며 “우리나라 일자리의 9.8%는 AI 기술로 인한 자동화로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15.9%는 AI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증강(Augmentation) 잠재력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자동화’ 가능성이 높은 직업은 텔레마케터, 여행사무원, 번역가, 비서, 아나운서 등이, ‘증강(보완)’ 가능성이 높은 직업은 변호사, 영업판매관리자, 산업용로봇 조작원, 약사 등이 제시됐습니다.
AI는 특정 직업을 한번에 대체하기보다는 직업을 구성하는 여러 과업별로 하나씩 대체하는데, 이때 특정 과업이 AI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가능성의 정도를 ‘AI 노출도’라고 합니다.
과업의 AI 노출도가 높고 과업도 다양하지 않은 단순 사무직 등은 ‘자동화’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반면, AI 노출도가 높은 과업과 낮은 과업이 다양하게 섞여 있는 전문직 등은 대체되지 않고 오히려 AI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증강(보완)’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노세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인공지능 활용과 노동과정의 변화’ 주제로 발제하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인공지능이 직무를 대거 대체하기보다 10% 이하의 일부 과업만을 대체하고 있다”며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과업을 대체한다는 점은 이전의 자동화 기술과 유사하지만 숙련 요건이 높은 과업도 대체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 기업 10%·근로자 67% “인공지능 활용”…“생산성 늘어도 노동 강도는 그대로”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 7월부터 두 달간 조사업체 매트릭스의 도움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1,382개 사업체 중 약 10%가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조사 대상 632명의 근로자 중 67%가 인공지능을 활용 중이었으며, 인공지능 결과물에 대한 이들의 신뢰도는 92%였고 54%가 ‘3년 내 인공지능 활용 빈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만족도는 92%였고, 이들 중 61%가 ‘의사결정 속도가 빠르다’는 이유를 들었습니다.
노 위원은 “근로자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면서 업무 처리 속도가 향상되고 업무 수행 능력도 향상된다고 느끼지만, 그 결과 정신적 그리고 육체적 노동강도가 낮아졌다고는 평가하지 않고 있어 근로조건의 질 개선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서 그 이유로 “시장에서 만족하는 높은 품질 결과물 생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노 위원은 “한국 사업체들의 인공지능 활용률이 높지는 않지만, 기존 연구와 달리 소규모 사업체에서 인공지능 활용률이 높게 확인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인력 공급을 늘리지 않고 노동 강도 증가도 가능하다”며 “(소규모 사업체는) 노동조합 등 근로자 이익 대변 부재로 변화 과정에서 근로자 보호가 취약하다”고 지적하며 정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 OECD 선임자문관 “AI가 미치는 영향 아직 확인 안 돼…근로자 참여시켜 생산성 높여야”
안젤리카 살비 델 페로(Angelica Salvi Del Pero) OECD 선임 자문관(Senior Advisor)은 “현재까지 인공지능 활용이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확인되지 않으며, 근로자들의 업무 성과와 일자리의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인공지능은 진공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며,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 정책의 조정 필요하다”며 “근로자를 기술 변화의 주체로 보고 기술의 도입 과정에서 신기술과 협업하는 방법을 이들과 상의할 때 인공지능의 활용력과 긍정적인 영향력은 극대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권오성 연세대학교 교수는 인공지능이 초래할 수 있는 새로운 차별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노동 통제의 강화 ▲인공지능에 의한 의사결정의 투명성과 책임성 확보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에 관한 노사공동결정 미흡 등의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권 교수는 “기업과 정부 모두에서 노동자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거버넌스를 만들 필요가 있다”며 “전환으로 혜택을 보는 사람과 위험을 부담하는 사람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변화로 인한 혜택과 위험 부담을 적정하게 조정하는 것이 정부가 해야 할 역할”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임영태 한국경영자총협회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인공지능과 로봇이 일자리를 대체하는 산업대전환을 앞둔 상황이지만 획일적 근로시간제 등 경쟁국보다 높은 우리 노동시장의 경직성이 신산업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가로막고 있다”며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는 실효적인 조치들에 정책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노동연구원은 오늘(3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AI 노동 : 가치를 재정립하고, 공존을 모색하며 미래를 준비하다’를 주제로 개원 36주년 기념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장지연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발제하며 “우리나라 일자리의 9.8%는 AI 기술로 인한 자동화로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15.9%는 AI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증강(Augmentation) 잠재력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자동화’ 가능성이 높은 직업은 텔레마케터, 여행사무원, 번역가, 비서, 아나운서 등이, ‘증강(보완)’ 가능성이 높은 직업은 변호사, 영업판매관리자, 산업용로봇 조작원, 약사 등이 제시됐습니다.
AI는 특정 직업을 한번에 대체하기보다는 직업을 구성하는 여러 과업별로 하나씩 대체하는데, 이때 특정 과업이 AI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가능성의 정도를 ‘AI 노출도’라고 합니다.
과업의 AI 노출도가 높고 과업도 다양하지 않은 단순 사무직 등은 ‘자동화’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반면, AI 노출도가 높은 과업과 낮은 과업이 다양하게 섞여 있는 전문직 등은 대체되지 않고 오히려 AI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증강(보완)’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노세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인공지능 활용과 노동과정의 변화’ 주제로 발제하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인공지능이 직무를 대거 대체하기보다 10% 이하의 일부 과업만을 대체하고 있다”며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과업을 대체한다는 점은 이전의 자동화 기술과 유사하지만 숙련 요건이 높은 과업도 대체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 기업 10%·근로자 67% “인공지능 활용”…“생산성 늘어도 노동 강도는 그대로”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 7월부터 두 달간 조사업체 매트릭스의 도움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1,382개 사업체 중 약 10%가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조사 대상 632명의 근로자 중 67%가 인공지능을 활용 중이었으며, 인공지능 결과물에 대한 이들의 신뢰도는 92%였고 54%가 ‘3년 내 인공지능 활용 빈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만족도는 92%였고, 이들 중 61%가 ‘의사결정 속도가 빠르다’는 이유를 들었습니다.
노 위원은 “근로자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면서 업무 처리 속도가 향상되고 업무 수행 능력도 향상된다고 느끼지만, 그 결과 정신적 그리고 육체적 노동강도가 낮아졌다고는 평가하지 않고 있어 근로조건의 질 개선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서 그 이유로 “시장에서 만족하는 높은 품질 결과물 생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노 위원은 “한국 사업체들의 인공지능 활용률이 높지는 않지만, 기존 연구와 달리 소규모 사업체에서 인공지능 활용률이 높게 확인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인력 공급을 늘리지 않고 노동 강도 증가도 가능하다”며 “(소규모 사업체는) 노동조합 등 근로자 이익 대변 부재로 변화 과정에서 근로자 보호가 취약하다”고 지적하며 정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 OECD 선임자문관 “AI가 미치는 영향 아직 확인 안 돼…근로자 참여시켜 생산성 높여야”
안젤리카 살비 델 페로(Angelica Salvi Del Pero) OECD 선임 자문관(Senior Advisor)은 “현재까지 인공지능 활용이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확인되지 않으며, 근로자들의 업무 성과와 일자리의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인공지능은 진공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며,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 정책의 조정 필요하다”며 “근로자를 기술 변화의 주체로 보고 기술의 도입 과정에서 신기술과 협업하는 방법을 이들과 상의할 때 인공지능의 활용력과 긍정적인 영향력은 극대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권오성 연세대학교 교수는 인공지능이 초래할 수 있는 새로운 차별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노동 통제의 강화 ▲인공지능에 의한 의사결정의 투명성과 책임성 확보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에 관한 노사공동결정 미흡 등의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권 교수는 “기업과 정부 모두에서 노동자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거버넌스를 만들 필요가 있다”며 “전환으로 혜택을 보는 사람과 위험을 부담하는 사람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변화로 인한 혜택과 위험 부담을 적정하게 조정하는 것이 정부가 해야 할 역할”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임영태 한국경영자총협회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인공지능과 로봇이 일자리를 대체하는 산업대전환을 앞둔 상황이지만 획일적 근로시간제 등 경쟁국보다 높은 우리 노동시장의 경직성이 신산업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가로막고 있다”며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는 실효적인 조치들에 정책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공지능, ‘고임금 전문직’ 대체할까?…“생산성 늘지만 노동 강도는 그대로”
-
- 입력 2024-10-31 19:51:43
- 수정2024-10-31 19:53:26

인공지능이 ‘고임금 전문직’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오히려 이들의 생산성을 보완해 역량을 높일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또 근로자 67%는 이미 인공지능을 사용해 생산성을 높이고 있지만, 노동강도는 그대로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노동연구원은 오늘(3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AI 노동 : 가치를 재정립하고, 공존을 모색하며 미래를 준비하다’를 주제로 개원 36주년 기념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장지연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발제하며 “우리나라 일자리의 9.8%는 AI 기술로 인한 자동화로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15.9%는 AI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증강(Augmentation) 잠재력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자동화’ 가능성이 높은 직업은 텔레마케터, 여행사무원, 번역가, 비서, 아나운서 등이, ‘증강(보완)’ 가능성이 높은 직업은 변호사, 영업판매관리자, 산업용로봇 조작원, 약사 등이 제시됐습니다.
AI는 특정 직업을 한번에 대체하기보다는 직업을 구성하는 여러 과업별로 하나씩 대체하는데, 이때 특정 과업이 AI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가능성의 정도를 ‘AI 노출도’라고 합니다.
과업의 AI 노출도가 높고 과업도 다양하지 않은 단순 사무직 등은 ‘자동화’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반면, AI 노출도가 높은 과업과 낮은 과업이 다양하게 섞여 있는 전문직 등은 대체되지 않고 오히려 AI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증강(보완)’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노세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인공지능 활용과 노동과정의 변화’ 주제로 발제하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인공지능이 직무를 대거 대체하기보다 10% 이하의 일부 과업만을 대체하고 있다”며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과업을 대체한다는 점은 이전의 자동화 기술과 유사하지만 숙련 요건이 높은 과업도 대체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 기업 10%·근로자 67% “인공지능 활용”…“생산성 늘어도 노동 강도는 그대로”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 7월부터 두 달간 조사업체 매트릭스의 도움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1,382개 사업체 중 약 10%가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조사 대상 632명의 근로자 중 67%가 인공지능을 활용 중이었으며, 인공지능 결과물에 대한 이들의 신뢰도는 92%였고 54%가 ‘3년 내 인공지능 활용 빈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만족도는 92%였고, 이들 중 61%가 ‘의사결정 속도가 빠르다’는 이유를 들었습니다.
노 위원은 “근로자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면서 업무 처리 속도가 향상되고 업무 수행 능력도 향상된다고 느끼지만, 그 결과 정신적 그리고 육체적 노동강도가 낮아졌다고는 평가하지 않고 있어 근로조건의 질 개선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서 그 이유로 “시장에서 만족하는 높은 품질 결과물 생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노 위원은 “한국 사업체들의 인공지능 활용률이 높지는 않지만, 기존 연구와 달리 소규모 사업체에서 인공지능 활용률이 높게 확인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인력 공급을 늘리지 않고 노동 강도 증가도 가능하다”며 “(소규모 사업체는) 노동조합 등 근로자 이익 대변 부재로 변화 과정에서 근로자 보호가 취약하다”고 지적하며 정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 OECD 선임자문관 “AI가 미치는 영향 아직 확인 안 돼…근로자 참여시켜 생산성 높여야”
안젤리카 살비 델 페로(Angelica Salvi Del Pero) OECD 선임 자문관(Senior Advisor)은 “현재까지 인공지능 활용이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확인되지 않으며, 근로자들의 업무 성과와 일자리의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인공지능은 진공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며,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 정책의 조정 필요하다”며 “근로자를 기술 변화의 주체로 보고 기술의 도입 과정에서 신기술과 협업하는 방법을 이들과 상의할 때 인공지능의 활용력과 긍정적인 영향력은 극대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권오성 연세대학교 교수는 인공지능이 초래할 수 있는 새로운 차별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노동 통제의 강화 ▲인공지능에 의한 의사결정의 투명성과 책임성 확보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에 관한 노사공동결정 미흡 등의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권 교수는 “기업과 정부 모두에서 노동자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거버넌스를 만들 필요가 있다”며 “전환으로 혜택을 보는 사람과 위험을 부담하는 사람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변화로 인한 혜택과 위험 부담을 적정하게 조정하는 것이 정부가 해야 할 역할”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임영태 한국경영자총협회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인공지능과 로봇이 일자리를 대체하는 산업대전환을 앞둔 상황이지만 획일적 근로시간제 등 경쟁국보다 높은 우리 노동시장의 경직성이 신산업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가로막고 있다”며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는 실효적인 조치들에 정책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노동연구원은 오늘(3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AI 노동 : 가치를 재정립하고, 공존을 모색하며 미래를 준비하다’를 주제로 개원 36주년 기념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장지연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발제하며 “우리나라 일자리의 9.8%는 AI 기술로 인한 자동화로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15.9%는 AI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증강(Augmentation) 잠재력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자동화’ 가능성이 높은 직업은 텔레마케터, 여행사무원, 번역가, 비서, 아나운서 등이, ‘증강(보완)’ 가능성이 높은 직업은 변호사, 영업판매관리자, 산업용로봇 조작원, 약사 등이 제시됐습니다.
AI는 특정 직업을 한번에 대체하기보다는 직업을 구성하는 여러 과업별로 하나씩 대체하는데, 이때 특정 과업이 AI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가능성의 정도를 ‘AI 노출도’라고 합니다.
과업의 AI 노출도가 높고 과업도 다양하지 않은 단순 사무직 등은 ‘자동화’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반면, AI 노출도가 높은 과업과 낮은 과업이 다양하게 섞여 있는 전문직 등은 대체되지 않고 오히려 AI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증강(보완)’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노세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인공지능 활용과 노동과정의 변화’ 주제로 발제하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인공지능이 직무를 대거 대체하기보다 10% 이하의 일부 과업만을 대체하고 있다”며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과업을 대체한다는 점은 이전의 자동화 기술과 유사하지만 숙련 요건이 높은 과업도 대체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 기업 10%·근로자 67% “인공지능 활용”…“생산성 늘어도 노동 강도는 그대로”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 7월부터 두 달간 조사업체 매트릭스의 도움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1,382개 사업체 중 약 10%가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조사 대상 632명의 근로자 중 67%가 인공지능을 활용 중이었으며, 인공지능 결과물에 대한 이들의 신뢰도는 92%였고 54%가 ‘3년 내 인공지능 활용 빈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만족도는 92%였고, 이들 중 61%가 ‘의사결정 속도가 빠르다’는 이유를 들었습니다.
노 위원은 “근로자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면서 업무 처리 속도가 향상되고 업무 수행 능력도 향상된다고 느끼지만, 그 결과 정신적 그리고 육체적 노동강도가 낮아졌다고는 평가하지 않고 있어 근로조건의 질 개선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서 그 이유로 “시장에서 만족하는 높은 품질 결과물 생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노 위원은 “한국 사업체들의 인공지능 활용률이 높지는 않지만, 기존 연구와 달리 소규모 사업체에서 인공지능 활용률이 높게 확인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에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그러면서 “인력 공급을 늘리지 않고 노동 강도 증가도 가능하다”며 “(소규모 사업체는) 노동조합 등 근로자 이익 대변 부재로 변화 과정에서 근로자 보호가 취약하다”고 지적하며 정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 OECD 선임자문관 “AI가 미치는 영향 아직 확인 안 돼…근로자 참여시켜 생산성 높여야”
안젤리카 살비 델 페로(Angelica Salvi Del Pero) OECD 선임 자문관(Senior Advisor)은 “현재까지 인공지능 활용이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확인되지 않으며, 근로자들의 업무 성과와 일자리의 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인공지능은 진공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며,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 정책의 조정 필요하다”며 “근로자를 기술 변화의 주체로 보고 기술의 도입 과정에서 신기술과 협업하는 방법을 이들과 상의할 때 인공지능의 활용력과 긍정적인 영향력은 극대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권오성 연세대학교 교수는 인공지능이 초래할 수 있는 새로운 차별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노동 통제의 강화 ▲인공지능에 의한 의사결정의 투명성과 책임성 확보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에 관한 노사공동결정 미흡 등의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권 교수는 “기업과 정부 모두에서 노동자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거버넌스를 만들 필요가 있다”며 “전환으로 혜택을 보는 사람과 위험을 부담하는 사람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변화로 인한 혜택과 위험 부담을 적정하게 조정하는 것이 정부가 해야 할 역할”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임영태 한국경영자총협회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인공지능과 로봇이 일자리를 대체하는 산업대전환을 앞둔 상황이지만 획일적 근로시간제 등 경쟁국보다 높은 우리 노동시장의 경직성이 신산업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가로막고 있다”며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는 실효적인 조치들에 정책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황다예 기자 allyes@kbs.co.kr
황다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