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근로자 10명 중 6명은 취업 1년 이내 퇴사
입력 2024.11.03 (10:20)
수정 2024.11.03 (10: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로 취업한 임금 근로자 10명 중 4명만이 취업 1년 후에도 같은 직장에 다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오늘(3일) 발표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의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각 연도에 새로 취업한 일자리가 이듬해까지 유지된 비율을 분석했습니다.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2012년 42.4%에서 2017년 41.2%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지다 2018년과 2019년엔 42%대로 다시 올랐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 39.6%, 2021년 40.1% 수준으로 다시 낮아졌습니다. 즉, 2021년 새로 취업한 근로자 10명 중 6명은 1년 이내에 그만뒀다는 의미입니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임금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012년 64개월에서 2021년 70개월, 2024년엔 76개월까지 꾸준히 증가한 걸로 나오지만, 고용 유지율은 10년간 제자리거나 오히려 소폭 후퇴하고 있는 겁니다.
이는 신규 취업자 수가 줄어들며 전체 근로자에서 신규 취업자 비중이 작아져 평균 근속기간은 늘어났지만, 신규 취업자의 고용 안정성은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
장사랑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안정적인 일자리는 안정성이 강화하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그렇지 못한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모습"이라고 말했습니다.
2021년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을 성별로 보면 남성이 42.4%, 여성이 37.9%로, 여성이 더 낮았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46.0%)와 40대(43.8%)가 상대적으로 높고, 60세 이상(34.0%)과 29세 이하(37.4%)는 낮았습니다.
학력이 낮을수록 고용 유지율도 낮아졌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고용 유지율이 낮아지던 시기엔 여성의 고용 유지율 감소 폭이 남성보다 크게 나타나는 등 전반적으로 10년 사이 성별, 연령별, 학력별 격차가 벌어졌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장 연구원은 "고용 지표가 악화하는 시기에 고용 유지율이 낮은 집단을 지원할 세심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고용 유지율 변화 원인을 산업 요인 등 노동 수요 측면에서 추가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고용정보원이 오늘(3일) 발표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의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각 연도에 새로 취업한 일자리가 이듬해까지 유지된 비율을 분석했습니다.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2012년 42.4%에서 2017년 41.2%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지다 2018년과 2019년엔 42%대로 다시 올랐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 39.6%, 2021년 40.1% 수준으로 다시 낮아졌습니다. 즉, 2021년 새로 취업한 근로자 10명 중 6명은 1년 이내에 그만뒀다는 의미입니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임금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012년 64개월에서 2021년 70개월, 2024년엔 76개월까지 꾸준히 증가한 걸로 나오지만, 고용 유지율은 10년간 제자리거나 오히려 소폭 후퇴하고 있는 겁니다.
이는 신규 취업자 수가 줄어들며 전체 근로자에서 신규 취업자 비중이 작아져 평균 근속기간은 늘어났지만, 신규 취업자의 고용 안정성은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
장사랑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안정적인 일자리는 안정성이 강화하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그렇지 못한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모습"이라고 말했습니다.
2021년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을 성별로 보면 남성이 42.4%, 여성이 37.9%로, 여성이 더 낮았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46.0%)와 40대(43.8%)가 상대적으로 높고, 60세 이상(34.0%)과 29세 이하(37.4%)는 낮았습니다.
학력이 낮을수록 고용 유지율도 낮아졌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고용 유지율이 낮아지던 시기엔 여성의 고용 유지율 감소 폭이 남성보다 크게 나타나는 등 전반적으로 10년 사이 성별, 연령별, 학력별 격차가 벌어졌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장 연구원은 "고용 지표가 악화하는 시기에 고용 유지율이 낮은 집단을 지원할 세심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고용 유지율 변화 원인을 산업 요인 등 노동 수요 측면에서 추가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임금 근로자 10명 중 6명은 취업 1년 이내 퇴사
-
- 입력 2024-11-03 10:20:26
- 수정2024-11-03 10:21:41
새로 취업한 임금 근로자 10명 중 4명만이 취업 1년 후에도 같은 직장에 다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오늘(3일) 발표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의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각 연도에 새로 취업한 일자리가 이듬해까지 유지된 비율을 분석했습니다.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2012년 42.4%에서 2017년 41.2%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지다 2018년과 2019년엔 42%대로 다시 올랐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 39.6%, 2021년 40.1% 수준으로 다시 낮아졌습니다. 즉, 2021년 새로 취업한 근로자 10명 중 6명은 1년 이내에 그만뒀다는 의미입니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임금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012년 64개월에서 2021년 70개월, 2024년엔 76개월까지 꾸준히 증가한 걸로 나오지만, 고용 유지율은 10년간 제자리거나 오히려 소폭 후퇴하고 있는 겁니다.
이는 신규 취업자 수가 줄어들며 전체 근로자에서 신규 취업자 비중이 작아져 평균 근속기간은 늘어났지만, 신규 취업자의 고용 안정성은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
장사랑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안정적인 일자리는 안정성이 강화하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그렇지 못한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모습"이라고 말했습니다.
2021년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을 성별로 보면 남성이 42.4%, 여성이 37.9%로, 여성이 더 낮았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46.0%)와 40대(43.8%)가 상대적으로 높고, 60세 이상(34.0%)과 29세 이하(37.4%)는 낮았습니다.
학력이 낮을수록 고용 유지율도 낮아졌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고용 유지율이 낮아지던 시기엔 여성의 고용 유지율 감소 폭이 남성보다 크게 나타나는 등 전반적으로 10년 사이 성별, 연령별, 학력별 격차가 벌어졌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장 연구원은 "고용 지표가 악화하는 시기에 고용 유지율이 낮은 집단을 지원할 세심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고용 유지율 변화 원인을 산업 요인 등 노동 수요 측면에서 추가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고용정보원이 오늘(3일) 발표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의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각 연도에 새로 취업한 일자리가 이듬해까지 유지된 비율을 분석했습니다.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2012년 42.4%에서 2017년 41.2%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지다 2018년과 2019년엔 42%대로 다시 올랐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 39.6%, 2021년 40.1% 수준으로 다시 낮아졌습니다. 즉, 2021년 새로 취업한 근로자 10명 중 6명은 1년 이내에 그만뒀다는 의미입니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임금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012년 64개월에서 2021년 70개월, 2024년엔 76개월까지 꾸준히 증가한 걸로 나오지만, 고용 유지율은 10년간 제자리거나 오히려 소폭 후퇴하고 있는 겁니다.
이는 신규 취업자 수가 줄어들며 전체 근로자에서 신규 취업자 비중이 작아져 평균 근속기간은 늘어났지만, 신규 취업자의 고용 안정성은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
장사랑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안정적인 일자리는 안정성이 강화하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그렇지 못한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모습"이라고 말했습니다.
2021년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을 성별로 보면 남성이 42.4%, 여성이 37.9%로, 여성이 더 낮았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46.0%)와 40대(43.8%)가 상대적으로 높고, 60세 이상(34.0%)과 29세 이하(37.4%)는 낮았습니다.
학력이 낮을수록 고용 유지율도 낮아졌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고용 유지율이 낮아지던 시기엔 여성의 고용 유지율 감소 폭이 남성보다 크게 나타나는 등 전반적으로 10년 사이 성별, 연령별, 학력별 격차가 벌어졌다고 보고서는 지적했습니다.
장 연구원은 "고용 지표가 악화하는 시기에 고용 유지율이 낮은 집단을 지원할 세심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고용 유지율 변화 원인을 산업 요인 등 노동 수요 측면에서 추가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지숙 기자 vox@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