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대생 25%, 부모·자녀 부양에 ‘월평균 155만원’ 지출
입력 2024.11.28 (13:24)
수정 2024.11.28 (13: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970년대 초반(1970∼1974년) 출생한 ‘2차 베이비부머’ 세대 4명 중 1명은 부모와 자녀를 부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은 은퇴를 앞두고 노후 준비까지 걱정해야 하는 ‘삼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1970년대생 76%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이중부양에 월평균 ‘155만원’ 지출
오늘(28일) 재단법인 ‘돌봄과미래’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960∼1974년에 태어난 전국 50∼64세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 ‘돌봄 실태와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를 보면, 1970년대생의 76%는 자녀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있고, 42%는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자녀 부양에는 월평균 107만 원, 부모 부양엔 62만 원을 지출했습니다.
자녀와 부모를 모두 부양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25%로, 월평균 155만원을 이중부양에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은퇴를 앞뒀거나 이미 은퇴한 1960년대생(55∼64세)보다 1970년대 초반생(50∼54세·이하 70년대생)들이 주관적인 건강 지수나 노후 준비, 돌봄 부담 등에서 부정적인 인식이 두드러졌습니다.
1960년대생의 경우 이미 자녀가 경제적으로 독립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아 43%가 자녀 부양(월평균 88만원), 44%가 부모 부양(월평균 73만원)을 하는 것으로 조사돼.
‘이중 부양’ 비율은 70년대생보다 10%포인트 낮은 15% 수준입니다.
■“경제적 지원에 부담 크다”…응답자 절반이 노동 지속에 ‘불안’
부양자의 지출 규모는 60년대생이 165만원으로 70년대생보다 조금 많았지만, 느끼는 부담의 정도는 70년대생이 훨씬 컸습니다.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부담스럽다’는 응답은 60년대생 46%, 70년대생 57%로 나타났습니다.
부모에 대한 지원을 부담스럽게 느끼는 응답자는 60년대생 33%, 70년대생 48%였습니다.
70년대생의 80%는 현재 일을 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일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한 응답자는 56%였습니다.
60년대생은 70%가 일을 하고 있었고, 46%가 노동 지속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했습니다.
연금을 받기 전까지의 소득 공백에 대한 불안감도 70년대생이 91%로, 60년대생(81%)보다 컸습니다.
하지만 실제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는 70년대생은 50%에 그쳐, 60년대생(62%)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0년대생은 39%만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공적연금이 노후의 주요 소득원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신체, 정신 등 건강 지수에서도 ‘부정적 인식’
특히 70년대생은 자기 신체·정신 건강 상태에 대해서도 각각 40%, 62%만 좋다고 답했습니다.
연령대가 더 높은 60년대생의 ‘좋음’ 응답률 51%(신체), 75%(정신)보다도 낮았습니다.
아울러 70년대생은 자신이 건강하지 못한 상태로 사는 기간(비건강 수명)이 10.5년에 달할 것으로 전망해, 60년대생(9.0년)보다 비관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 출처 : 돌봄과미래 홈페이지 캡처]
이들은 은퇴를 앞두고 노후 준비까지 걱정해야 하는 ‘삼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1970년대생 76%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이중부양에 월평균 ‘155만원’ 지출
오늘(28일) 재단법인 ‘돌봄과미래’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960∼1974년에 태어난 전국 50∼64세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 ‘돌봄 실태와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를 보면, 1970년대생의 76%는 자녀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있고, 42%는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자녀 부양에는 월평균 107만 원, 부모 부양엔 62만 원을 지출했습니다.
자녀와 부모를 모두 부양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25%로, 월평균 155만원을 이중부양에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은퇴를 앞뒀거나 이미 은퇴한 1960년대생(55∼64세)보다 1970년대 초반생(50∼54세·이하 70년대생)들이 주관적인 건강 지수나 노후 준비, 돌봄 부담 등에서 부정적인 인식이 두드러졌습니다.
1960년대생의 경우 이미 자녀가 경제적으로 독립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아 43%가 자녀 부양(월평균 88만원), 44%가 부모 부양(월평균 73만원)을 하는 것으로 조사돼.
‘이중 부양’ 비율은 70년대생보다 10%포인트 낮은 15% 수준입니다.
■“경제적 지원에 부담 크다”…응답자 절반이 노동 지속에 ‘불안’
부양자의 지출 규모는 60년대생이 165만원으로 70년대생보다 조금 많았지만, 느끼는 부담의 정도는 70년대생이 훨씬 컸습니다.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부담스럽다’는 응답은 60년대생 46%, 70년대생 57%로 나타났습니다.
부모에 대한 지원을 부담스럽게 느끼는 응답자는 60년대생 33%, 70년대생 48%였습니다.
70년대생의 80%는 현재 일을 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일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한 응답자는 56%였습니다.
60년대생은 70%가 일을 하고 있었고, 46%가 노동 지속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했습니다.
연금을 받기 전까지의 소득 공백에 대한 불안감도 70년대생이 91%로, 60년대생(81%)보다 컸습니다.
하지만 실제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는 70년대생은 50%에 그쳐, 60년대생(62%)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0년대생은 39%만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공적연금이 노후의 주요 소득원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신체, 정신 등 건강 지수에서도 ‘부정적 인식’
특히 70년대생은 자기 신체·정신 건강 상태에 대해서도 각각 40%, 62%만 좋다고 답했습니다.
연령대가 더 높은 60년대생의 ‘좋음’ 응답률 51%(신체), 75%(정신)보다도 낮았습니다.
아울러 70년대생은 자신이 건강하지 못한 상태로 사는 기간(비건강 수명)이 10.5년에 달할 것으로 전망해, 60년대생(9.0년)보다 비관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 출처 : 돌봄과미래 홈페이지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70년대생 25%, 부모·자녀 부양에 ‘월평균 155만원’ 지출
-
- 입력 2024-11-28 13:24:33
- 수정2024-11-28 13:28:47
1970년대 초반(1970∼1974년) 출생한 ‘2차 베이비부머’ 세대 4명 중 1명은 부모와 자녀를 부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은 은퇴를 앞두고 노후 준비까지 걱정해야 하는 ‘삼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1970년대생 76%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이중부양에 월평균 ‘155만원’ 지출
오늘(28일) 재단법인 ‘돌봄과미래’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960∼1974년에 태어난 전국 50∼64세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 ‘돌봄 실태와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를 보면, 1970년대생의 76%는 자녀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있고, 42%는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자녀 부양에는 월평균 107만 원, 부모 부양엔 62만 원을 지출했습니다.
자녀와 부모를 모두 부양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25%로, 월평균 155만원을 이중부양에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은퇴를 앞뒀거나 이미 은퇴한 1960년대생(55∼64세)보다 1970년대 초반생(50∼54세·이하 70년대생)들이 주관적인 건강 지수나 노후 준비, 돌봄 부담 등에서 부정적인 인식이 두드러졌습니다.
1960년대생의 경우 이미 자녀가 경제적으로 독립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아 43%가 자녀 부양(월평균 88만원), 44%가 부모 부양(월평균 73만원)을 하는 것으로 조사돼.
‘이중 부양’ 비율은 70년대생보다 10%포인트 낮은 15% 수준입니다.
■“경제적 지원에 부담 크다”…응답자 절반이 노동 지속에 ‘불안’
부양자의 지출 규모는 60년대생이 165만원으로 70년대생보다 조금 많았지만, 느끼는 부담의 정도는 70년대생이 훨씬 컸습니다.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부담스럽다’는 응답은 60년대생 46%, 70년대생 57%로 나타났습니다.
부모에 대한 지원을 부담스럽게 느끼는 응답자는 60년대생 33%, 70년대생 48%였습니다.
70년대생의 80%는 현재 일을 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일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한 응답자는 56%였습니다.
60년대생은 70%가 일을 하고 있었고, 46%가 노동 지속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했습니다.
연금을 받기 전까지의 소득 공백에 대한 불안감도 70년대생이 91%로, 60년대생(81%)보다 컸습니다.
하지만 실제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는 70년대생은 50%에 그쳐, 60년대생(62%)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0년대생은 39%만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공적연금이 노후의 주요 소득원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신체, 정신 등 건강 지수에서도 ‘부정적 인식’
특히 70년대생은 자기 신체·정신 건강 상태에 대해서도 각각 40%, 62%만 좋다고 답했습니다.
연령대가 더 높은 60년대생의 ‘좋음’ 응답률 51%(신체), 75%(정신)보다도 낮았습니다.
아울러 70년대생은 자신이 건강하지 못한 상태로 사는 기간(비건강 수명)이 10.5년에 달할 것으로 전망해, 60년대생(9.0년)보다 비관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 출처 : 돌봄과미래 홈페이지 캡처]
이들은 은퇴를 앞두고 노후 준비까지 걱정해야 하는 ‘삼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1970년대생 76%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이중부양에 월평균 ‘155만원’ 지출
오늘(28일) 재단법인 ‘돌봄과미래’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960∼1974년에 태어난 전국 50∼64세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 ‘돌봄 실태와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를 보면, 1970년대생의 76%는 자녀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있고, 42%는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자녀 부양에는 월평균 107만 원, 부모 부양엔 62만 원을 지출했습니다.
자녀와 부모를 모두 부양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25%로, 월평균 155만원을 이중부양에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은퇴를 앞뒀거나 이미 은퇴한 1960년대생(55∼64세)보다 1970년대 초반생(50∼54세·이하 70년대생)들이 주관적인 건강 지수나 노후 준비, 돌봄 부담 등에서 부정적인 인식이 두드러졌습니다.
1960년대생의 경우 이미 자녀가 경제적으로 독립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아 43%가 자녀 부양(월평균 88만원), 44%가 부모 부양(월평균 73만원)을 하는 것으로 조사돼.
‘이중 부양’ 비율은 70년대생보다 10%포인트 낮은 15% 수준입니다.
■“경제적 지원에 부담 크다”…응답자 절반이 노동 지속에 ‘불안’
부양자의 지출 규모는 60년대생이 165만원으로 70년대생보다 조금 많았지만, 느끼는 부담의 정도는 70년대생이 훨씬 컸습니다.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부담스럽다’는 응답은 60년대생 46%, 70년대생 57%로 나타났습니다.
부모에 대한 지원을 부담스럽게 느끼는 응답자는 60년대생 33%, 70년대생 48%였습니다.
70년대생의 80%는 현재 일을 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일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한 응답자는 56%였습니다.
60년대생은 70%가 일을 하고 있었고, 46%가 노동 지속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했습니다.
연금을 받기 전까지의 소득 공백에 대한 불안감도 70년대생이 91%로, 60년대생(81%)보다 컸습니다.
하지만 실제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는 70년대생은 50%에 그쳐, 60년대생(62%)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0년대생은 39%만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공적연금이 노후의 주요 소득원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신체, 정신 등 건강 지수에서도 ‘부정적 인식’
특히 70년대생은 자기 신체·정신 건강 상태에 대해서도 각각 40%, 62%만 좋다고 답했습니다.
연령대가 더 높은 60년대생의 ‘좋음’ 응답률 51%(신체), 75%(정신)보다도 낮았습니다.
아울러 70년대생은 자신이 건강하지 못한 상태로 사는 기간(비건강 수명)이 10.5년에 달할 것으로 전망해, 60년대생(9.0년)보다 비관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 출처 : 돌봄과미래 홈페이지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