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총학생회 “비상계엄 규탄, 윤석열 퇴진” 학생총회 진행
입력 2024.12.05 (22:06)
수정 2024.12.05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news/2024/12/05/20241205_nssr3x.jpg)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태와 관련해 서울대학교 총학생회는 전체학생총회를 열고 재학생 의견을 수렴 중입니다.
서울대학교 총학생회는 오늘(5일) 오후 6시 반부터 서울대 관악캠퍼스 아크로폴리스 광장에서 ‘윤석열 퇴진 요구’ 안건을 주제로 전체학생총회를 진행 중입니다.
윤석열 퇴진 요구 의안에는 ‘윤석열 비상계엄 선포를 강력히 규탄하고 헌법적 가치를 수호해야 할 대통령의 책임을 명확히 묻겠다’,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행위에 단호히 반대하고 윤석열의 퇴진 운동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 등의 내용이 담겼습니다.
총학생회는 “비상계엄 선포는 1987년 헌정 체제 수립 이후 발생한 초유의 사태로 명백히 위헌적인 행위다”면서 “대통령은 국민의 기본권을 수호하고 민주적 헌정질서를 지켜야 할 책임이 있음에도 이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윤석열은 취임한 이래 대통령으로서 무책임한 모습으로 일관했다”면서 “서울대 총학생회는 전체학생총회를 통해 학내 구성원의 민주적 의사를 결집해 이에 대응하고자 한다”며 소집 이유를 밝혔습니다.
발언에 참여한 자유전공학부 재학생은 “대통령의 권한은 헌법으로부터 부여받고, 대통령은 누구보다 헌법을 수호할 책무가 있다”면서 “그러나 윤석열은 비상계엄과 포고령을 통해 국회의 기능을 위헌적으로 정지시키고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었다”고 비판했습니다.
정치외교학부 재학생은 “윤석열은 자유민주주의를 논하며 비민주적이고 반헌법적인 경로로 개인의 권력 유지 방안을 강구했다”면서 “반공과 반국가 세력 척결을 명분으로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뿐만 아니라 국민 모두를 농락했다”고 말했습니다.
총학생회는 오늘 진행된 전체학생총회 의견 수렴 및 표결을 진행해 성명을 작성하고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할 예정입니다.
이번 전체학생총회에는 재학생 2449명, 휴학생 258명으로 총 2707명이 참석했습니다. 전체학생총회 개최를 위한 정족수는 재학생과 휴학생을 포함해 1551명입니다.
총학생회는 어제 제2차 임시 총학생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윤석열 대통령의 비민주적 계엄령 선포에 따른 학생총회 소집’을 결정했습니다.
앞서 총학생회는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를 규탄한다’는 성명문을 내고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는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를 종북 반국가세력으로 전락시키고, 국가 기관의 의결을 교란으로 일축하는 부당한 처사다”고 규탄했습니다.
서울대학교 총학생회는 오늘(5일) 오후 6시 반부터 서울대 관악캠퍼스 아크로폴리스 광장에서 ‘윤석열 퇴진 요구’ 안건을 주제로 전체학생총회를 진행 중입니다.
윤석열 퇴진 요구 의안에는 ‘윤석열 비상계엄 선포를 강력히 규탄하고 헌법적 가치를 수호해야 할 대통령의 책임을 명확히 묻겠다’,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행위에 단호히 반대하고 윤석열의 퇴진 운동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 등의 내용이 담겼습니다.
총학생회는 “비상계엄 선포는 1987년 헌정 체제 수립 이후 발생한 초유의 사태로 명백히 위헌적인 행위다”면서 “대통령은 국민의 기본권을 수호하고 민주적 헌정질서를 지켜야 할 책임이 있음에도 이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윤석열은 취임한 이래 대통령으로서 무책임한 모습으로 일관했다”면서 “서울대 총학생회는 전체학생총회를 통해 학내 구성원의 민주적 의사를 결집해 이에 대응하고자 한다”며 소집 이유를 밝혔습니다.
발언에 참여한 자유전공학부 재학생은 “대통령의 권한은 헌법으로부터 부여받고, 대통령은 누구보다 헌법을 수호할 책무가 있다”면서 “그러나 윤석열은 비상계엄과 포고령을 통해 국회의 기능을 위헌적으로 정지시키고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었다”고 비판했습니다.
정치외교학부 재학생은 “윤석열은 자유민주주의를 논하며 비민주적이고 반헌법적인 경로로 개인의 권력 유지 방안을 강구했다”면서 “반공과 반국가 세력 척결을 명분으로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뿐만 아니라 국민 모두를 농락했다”고 말했습니다.
총학생회는 오늘 진행된 전체학생총회 의견 수렴 및 표결을 진행해 성명을 작성하고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할 예정입니다.
이번 전체학생총회에는 재학생 2449명, 휴학생 258명으로 총 2707명이 참석했습니다. 전체학생총회 개최를 위한 정족수는 재학생과 휴학생을 포함해 1551명입니다.
총학생회는 어제 제2차 임시 총학생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윤석열 대통령의 비민주적 계엄령 선포에 따른 학생총회 소집’을 결정했습니다.
앞서 총학생회는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를 규탄한다’는 성명문을 내고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는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를 종북 반국가세력으로 전락시키고, 국가 기관의 의결을 교란으로 일축하는 부당한 처사다”고 규탄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대 총학생회 “비상계엄 규탄, 윤석열 퇴진” 학생총회 진행
-
- 입력 2024-12-05 22:06:29
- 수정2024-12-05 22:07:37
![](/data/news/2024/12/05/20241205_nssr3x.jpg)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태와 관련해 서울대학교 총학생회는 전체학생총회를 열고 재학생 의견을 수렴 중입니다.
서울대학교 총학생회는 오늘(5일) 오후 6시 반부터 서울대 관악캠퍼스 아크로폴리스 광장에서 ‘윤석열 퇴진 요구’ 안건을 주제로 전체학생총회를 진행 중입니다.
윤석열 퇴진 요구 의안에는 ‘윤석열 비상계엄 선포를 강력히 규탄하고 헌법적 가치를 수호해야 할 대통령의 책임을 명확히 묻겠다’,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행위에 단호히 반대하고 윤석열의 퇴진 운동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 등의 내용이 담겼습니다.
총학생회는 “비상계엄 선포는 1987년 헌정 체제 수립 이후 발생한 초유의 사태로 명백히 위헌적인 행위다”면서 “대통령은 국민의 기본권을 수호하고 민주적 헌정질서를 지켜야 할 책임이 있음에도 이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윤석열은 취임한 이래 대통령으로서 무책임한 모습으로 일관했다”면서 “서울대 총학생회는 전체학생총회를 통해 학내 구성원의 민주적 의사를 결집해 이에 대응하고자 한다”며 소집 이유를 밝혔습니다.
발언에 참여한 자유전공학부 재학생은 “대통령의 권한은 헌법으로부터 부여받고, 대통령은 누구보다 헌법을 수호할 책무가 있다”면서 “그러나 윤석열은 비상계엄과 포고령을 통해 국회의 기능을 위헌적으로 정지시키고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었다”고 비판했습니다.
정치외교학부 재학생은 “윤석열은 자유민주주의를 논하며 비민주적이고 반헌법적인 경로로 개인의 권력 유지 방안을 강구했다”면서 “반공과 반국가 세력 척결을 명분으로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뿐만 아니라 국민 모두를 농락했다”고 말했습니다.
총학생회는 오늘 진행된 전체학생총회 의견 수렴 및 표결을 진행해 성명을 작성하고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할 예정입니다.
이번 전체학생총회에는 재학생 2449명, 휴학생 258명으로 총 2707명이 참석했습니다. 전체학생총회 개최를 위한 정족수는 재학생과 휴학생을 포함해 1551명입니다.
총학생회는 어제 제2차 임시 총학생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윤석열 대통령의 비민주적 계엄령 선포에 따른 학생총회 소집’을 결정했습니다.
앞서 총학생회는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를 규탄한다’는 성명문을 내고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는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를 종북 반국가세력으로 전락시키고, 국가 기관의 의결을 교란으로 일축하는 부당한 처사다”고 규탄했습니다.
서울대학교 총학생회는 오늘(5일) 오후 6시 반부터 서울대 관악캠퍼스 아크로폴리스 광장에서 ‘윤석열 퇴진 요구’ 안건을 주제로 전체학생총회를 진행 중입니다.
윤석열 퇴진 요구 의안에는 ‘윤석열 비상계엄 선포를 강력히 규탄하고 헌법적 가치를 수호해야 할 대통령의 책임을 명확히 묻겠다’,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행위에 단호히 반대하고 윤석열의 퇴진 운동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 등의 내용이 담겼습니다.
총학생회는 “비상계엄 선포는 1987년 헌정 체제 수립 이후 발생한 초유의 사태로 명백히 위헌적인 행위다”면서 “대통령은 국민의 기본권을 수호하고 민주적 헌정질서를 지켜야 할 책임이 있음에도 이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윤석열은 취임한 이래 대통령으로서 무책임한 모습으로 일관했다”면서 “서울대 총학생회는 전체학생총회를 통해 학내 구성원의 민주적 의사를 결집해 이에 대응하고자 한다”며 소집 이유를 밝혔습니다.
발언에 참여한 자유전공학부 재학생은 “대통령의 권한은 헌법으로부터 부여받고, 대통령은 누구보다 헌법을 수호할 책무가 있다”면서 “그러나 윤석열은 비상계엄과 포고령을 통해 국회의 기능을 위헌적으로 정지시키고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었다”고 비판했습니다.
정치외교학부 재학생은 “윤석열은 자유민주주의를 논하며 비민주적이고 반헌법적인 경로로 개인의 권력 유지 방안을 강구했다”면서 “반공과 반국가 세력 척결을 명분으로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뿐만 아니라 국민 모두를 농락했다”고 말했습니다.
총학생회는 오늘 진행된 전체학생총회 의견 수렴 및 표결을 진행해 성명을 작성하고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할 예정입니다.
이번 전체학생총회에는 재학생 2449명, 휴학생 258명으로 총 2707명이 참석했습니다. 전체학생총회 개최를 위한 정족수는 재학생과 휴학생을 포함해 1551명입니다.
총학생회는 어제 제2차 임시 총학생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윤석열 대통령의 비민주적 계엄령 선포에 따른 학생총회 소집’을 결정했습니다.
앞서 총학생회는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를 규탄한다’는 성명문을 내고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는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를 종북 반국가세력으로 전락시키고, 국가 기관의 의결을 교란으로 일축하는 부당한 처사다”고 규탄했습니다.
-
-
윤아림 기자 aha@kbs.co.kr
윤아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구속…헌정 최초
다만 이 기사는 일부 댓글에 모욕・명예훼손 등 현행법에 저촉될 우려가 발견돼 건전한 댓글 문화 정착을 위해 댓글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