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퇴진’ vs ‘즉각 퇴진’…퇴진 시기 쟁점화
입력 2024.12.07 (21:20)
수정 2024.12.07 (21: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탄핵정국 해법을 놓고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윤 대통령의 조기 퇴진을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탄핵을 통한 즉각 퇴진을 거론하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의 퇴진엔 뜻이 같다고 볼 수 있지만 그 시기가 언제냐가 쟁점으로 떠오르는 형국입니다.
김진호 기잡니다.
[리포트]
'2선 후퇴'를 시사하는 대통령 대국민담화,
또 '대통령 조기 퇴진이 불가피하다'는 여당 대표의 발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꺼낸 문제는 여당이 언급하는 '조기 퇴진'의 '조기'가 언제냐는 점입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조기'가 언제냐를 가지고 아마 또 논쟁이 되지 않겠습니까? '대통령 임기가 2027년 5월 10일인데, 5월 1일까지 하면 조기 아니냐', 뭐 이렇게 또 이야기가 될 가능성이 없지 않아서 무의미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듭니다."]
민주당은 '즉각 퇴진' 외에는 어떤 방법도 있을 수 없다고 일축했습니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도 여당의 '조기 퇴진' 발언을 놓고 모호한 말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조국/조국혁신당 대표 : "조기 퇴진의 의미가 무엇인지는 한동훈 대표가 답을 해야 됩니다. 책임지지 않기 위해서 모호한 말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요."]
하지만, 윤 대통령의 퇴진 시기는 곧바로 치러질 대선 일정과 직결됩니다.
우리 헌법은 대통령 궐위 시 60일 내에 대선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각 당의 대선 후보 선출 등 일정을 감안하면 '벼락 대선'이 될 수 있습니다.
대통령 퇴진 후 다음 대통령 선출까지 국정 운영을 어떻게 할지도 문제입니다.
다만 그 방법이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 후 대선이든 거국내각 구성 후 대선이든, 아니면 개헌을 통한 대선이든 대통령 퇴진 시 조기 대선은 현실이 됩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탄핵정국 해법을 놓고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윤 대통령의 조기 퇴진을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탄핵을 통한 즉각 퇴진을 거론하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의 퇴진엔 뜻이 같다고 볼 수 있지만 그 시기가 언제냐가 쟁점으로 떠오르는 형국입니다.
김진호 기잡니다.
[리포트]
'2선 후퇴'를 시사하는 대통령 대국민담화,
또 '대통령 조기 퇴진이 불가피하다'는 여당 대표의 발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꺼낸 문제는 여당이 언급하는 '조기 퇴진'의 '조기'가 언제냐는 점입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조기'가 언제냐를 가지고 아마 또 논쟁이 되지 않겠습니까? '대통령 임기가 2027년 5월 10일인데, 5월 1일까지 하면 조기 아니냐', 뭐 이렇게 또 이야기가 될 가능성이 없지 않아서 무의미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듭니다."]
민주당은 '즉각 퇴진' 외에는 어떤 방법도 있을 수 없다고 일축했습니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도 여당의 '조기 퇴진' 발언을 놓고 모호한 말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조국/조국혁신당 대표 : "조기 퇴진의 의미가 무엇인지는 한동훈 대표가 답을 해야 됩니다. 책임지지 않기 위해서 모호한 말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요."]
하지만, 윤 대통령의 퇴진 시기는 곧바로 치러질 대선 일정과 직결됩니다.
우리 헌법은 대통령 궐위 시 60일 내에 대선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각 당의 대선 후보 선출 등 일정을 감안하면 '벼락 대선'이 될 수 있습니다.
대통령 퇴진 후 다음 대통령 선출까지 국정 운영을 어떻게 할지도 문제입니다.
다만 그 방법이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 후 대선이든 거국내각 구성 후 대선이든, 아니면 개헌을 통한 대선이든 대통령 퇴진 시 조기 대선은 현실이 됩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조기 퇴진’ vs ‘즉각 퇴진’…퇴진 시기 쟁점화
-
- 입력 2024-12-07 21:20:24
- 수정2024-12-07 21:26:29

[앵커]
탄핵정국 해법을 놓고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윤 대통령의 조기 퇴진을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탄핵을 통한 즉각 퇴진을 거론하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의 퇴진엔 뜻이 같다고 볼 수 있지만 그 시기가 언제냐가 쟁점으로 떠오르는 형국입니다.
김진호 기잡니다.
[리포트]
'2선 후퇴'를 시사하는 대통령 대국민담화,
또 '대통령 조기 퇴진이 불가피하다'는 여당 대표의 발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꺼낸 문제는 여당이 언급하는 '조기 퇴진'의 '조기'가 언제냐는 점입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조기'가 언제냐를 가지고 아마 또 논쟁이 되지 않겠습니까? '대통령 임기가 2027년 5월 10일인데, 5월 1일까지 하면 조기 아니냐', 뭐 이렇게 또 이야기가 될 가능성이 없지 않아서 무의미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듭니다."]
민주당은 '즉각 퇴진' 외에는 어떤 방법도 있을 수 없다고 일축했습니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도 여당의 '조기 퇴진' 발언을 놓고 모호한 말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조국/조국혁신당 대표 : "조기 퇴진의 의미가 무엇인지는 한동훈 대표가 답을 해야 됩니다. 책임지지 않기 위해서 모호한 말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요."]
하지만, 윤 대통령의 퇴진 시기는 곧바로 치러질 대선 일정과 직결됩니다.
우리 헌법은 대통령 궐위 시 60일 내에 대선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각 당의 대선 후보 선출 등 일정을 감안하면 '벼락 대선'이 될 수 있습니다.
대통령 퇴진 후 다음 대통령 선출까지 국정 운영을 어떻게 할지도 문제입니다.
다만 그 방법이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 후 대선이든 거국내각 구성 후 대선이든, 아니면 개헌을 통한 대선이든 대통령 퇴진 시 조기 대선은 현실이 됩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탄핵정국 해법을 놓고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윤 대통령의 조기 퇴진을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탄핵을 통한 즉각 퇴진을 거론하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의 퇴진엔 뜻이 같다고 볼 수 있지만 그 시기가 언제냐가 쟁점으로 떠오르는 형국입니다.
김진호 기잡니다.
[리포트]
'2선 후퇴'를 시사하는 대통령 대국민담화,
또 '대통령 조기 퇴진이 불가피하다'는 여당 대표의 발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꺼낸 문제는 여당이 언급하는 '조기 퇴진'의 '조기'가 언제냐는 점입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조기'가 언제냐를 가지고 아마 또 논쟁이 되지 않겠습니까? '대통령 임기가 2027년 5월 10일인데, 5월 1일까지 하면 조기 아니냐', 뭐 이렇게 또 이야기가 될 가능성이 없지 않아서 무의미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듭니다."]
민주당은 '즉각 퇴진' 외에는 어떤 방법도 있을 수 없다고 일축했습니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도 여당의 '조기 퇴진' 발언을 놓고 모호한 말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조국/조국혁신당 대표 : "조기 퇴진의 의미가 무엇인지는 한동훈 대표가 답을 해야 됩니다. 책임지지 않기 위해서 모호한 말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요."]
하지만, 윤 대통령의 퇴진 시기는 곧바로 치러질 대선 일정과 직결됩니다.
우리 헌법은 대통령 궐위 시 60일 내에 대선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각 당의 대선 후보 선출 등 일정을 감안하면 '벼락 대선'이 될 수 있습니다.
대통령 퇴진 후 다음 대통령 선출까지 국정 운영을 어떻게 할지도 문제입니다.
다만 그 방법이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 후 대선이든 거국내각 구성 후 대선이든, 아니면 개헌을 통한 대선이든 대통령 퇴진 시 조기 대선은 현실이 됩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
-
김진호 기자 hit@kbs.co.kr
김진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尹 ‘내란 혐의’ 재판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