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 해법은?…‘조기 대선’ 현실화되나?
입력 2024.12.07 (21:22)
수정 2024.12.07 (23: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7일) 윤석열 대통령은 본인의 임기를 포함해 정국 안정 방안을 여당인 국민의힘에 일임했습니다.
현재 탄핵안 표결이 진행 중인 만큼 예단은 어렵지만 탄핵안이 통과되든, 부결되든,
차기 대선 시계가 빨라지면서 변화무쌍한 정국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큽니다
이 소식은 문예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사흘 만에 침묵을 깬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대한 언급 대신 본인 임기 문제를 여당인 국민의힘에 일임한다고 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저의 임기를 포함하여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습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구체적인 해법은 언급하지 않은 채 '조기 퇴진'을 못박았습니다.
[한동훈/국민의힘 대표 : "대통령의 정상적인 직무 수행은 불가능한 상황이고 대통령의 조기 퇴진은 불가피합니다. (책임총리제로 가야 한다 생각하시나요?) …."]
국회 탄핵안 표결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가결이든, 부결이든, 경우의 수는 복잡해집니다.
탄핵안이 가결되면 대통령 직무 즉시 정지, 헌법재판소의 180일 내 탄핵 심리, 60일 내 대선이 숨가쁘게 이어집니다.
'벚꽃 대선'이 될 지, '여름 대선'이 될 지는 헌재의 심리 속도에 달려 있습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탄핵안이 부결될 경우 다음 대선 시기 변수는, 여의도 정치에 달리게 됩니다.
야당은 탄핵안을 거듭 발의하며 여당을 압박할 걸로 보입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계속 탄핵을 반대하고 내란세력을 옹호한다면 이에대한 명확한 헌법적 형사법적 책임을 지게될것이다…."]
여당 입장에서는 탄핵안 부결이 반복될 때마다 불거질 책임론이 부담입니다.
탄핵 사유가 불법적 계엄 사태인 만큼 과거 국정 농단과는 차원이 다른 여당 책임론이 불거질 수 있습니다.
여당 입장에서는 '질서 있는 후퇴'로 시간을 끌며 야당 대선 후보군들의 사법 리스크를 부각하고 차기 대선을 준비할 걸로 보입니다.
한동안 여의도는 탄핵 국면과 동시에, 윤 대통령의 퇴진 시점, 거국내각 구성, 개헌 등을 놓고 치열한 정치 협상이 진행될 텐데, 이에 따라 다음 대선 시계가 결정될 걸로 보입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김정현
오늘(7일) 윤석열 대통령은 본인의 임기를 포함해 정국 안정 방안을 여당인 국민의힘에 일임했습니다.
현재 탄핵안 표결이 진행 중인 만큼 예단은 어렵지만 탄핵안이 통과되든, 부결되든,
차기 대선 시계가 빨라지면서 변화무쌍한 정국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큽니다
이 소식은 문예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사흘 만에 침묵을 깬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대한 언급 대신 본인 임기 문제를 여당인 국민의힘에 일임한다고 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저의 임기를 포함하여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습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구체적인 해법은 언급하지 않은 채 '조기 퇴진'을 못박았습니다.
[한동훈/국민의힘 대표 : "대통령의 정상적인 직무 수행은 불가능한 상황이고 대통령의 조기 퇴진은 불가피합니다. (책임총리제로 가야 한다 생각하시나요?) …."]
국회 탄핵안 표결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가결이든, 부결이든, 경우의 수는 복잡해집니다.
탄핵안이 가결되면 대통령 직무 즉시 정지, 헌법재판소의 180일 내 탄핵 심리, 60일 내 대선이 숨가쁘게 이어집니다.
'벚꽃 대선'이 될 지, '여름 대선'이 될 지는 헌재의 심리 속도에 달려 있습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탄핵안이 부결될 경우 다음 대선 시기 변수는, 여의도 정치에 달리게 됩니다.
야당은 탄핵안을 거듭 발의하며 여당을 압박할 걸로 보입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계속 탄핵을 반대하고 내란세력을 옹호한다면 이에대한 명확한 헌법적 형사법적 책임을 지게될것이다…."]
여당 입장에서는 탄핵안 부결이 반복될 때마다 불거질 책임론이 부담입니다.
탄핵 사유가 불법적 계엄 사태인 만큼 과거 국정 농단과는 차원이 다른 여당 책임론이 불거질 수 있습니다.
여당 입장에서는 '질서 있는 후퇴'로 시간을 끌며 야당 대선 후보군들의 사법 리스크를 부각하고 차기 대선을 준비할 걸로 보입니다.
한동안 여의도는 탄핵 국면과 동시에, 윤 대통령의 퇴진 시점, 거국내각 구성, 개헌 등을 놓고 치열한 정치 협상이 진행될 텐데, 이에 따라 다음 대선 시계가 결정될 걸로 보입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김정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탄핵 정국 해법은?…‘조기 대선’ 현실화되나?
-
- 입력 2024-12-07 21:21:59
- 수정2024-12-07 23:16:47

[앵커]
오늘(7일) 윤석열 대통령은 본인의 임기를 포함해 정국 안정 방안을 여당인 국민의힘에 일임했습니다.
현재 탄핵안 표결이 진행 중인 만큼 예단은 어렵지만 탄핵안이 통과되든, 부결되든,
차기 대선 시계가 빨라지면서 변화무쌍한 정국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큽니다
이 소식은 문예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사흘 만에 침묵을 깬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대한 언급 대신 본인 임기 문제를 여당인 국민의힘에 일임한다고 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저의 임기를 포함하여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습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구체적인 해법은 언급하지 않은 채 '조기 퇴진'을 못박았습니다.
[한동훈/국민의힘 대표 : "대통령의 정상적인 직무 수행은 불가능한 상황이고 대통령의 조기 퇴진은 불가피합니다. (책임총리제로 가야 한다 생각하시나요?) …."]
국회 탄핵안 표결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가결이든, 부결이든, 경우의 수는 복잡해집니다.
탄핵안이 가결되면 대통령 직무 즉시 정지, 헌법재판소의 180일 내 탄핵 심리, 60일 내 대선이 숨가쁘게 이어집니다.
'벚꽃 대선'이 될 지, '여름 대선'이 될 지는 헌재의 심리 속도에 달려 있습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탄핵안이 부결될 경우 다음 대선 시기 변수는, 여의도 정치에 달리게 됩니다.
야당은 탄핵안을 거듭 발의하며 여당을 압박할 걸로 보입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계속 탄핵을 반대하고 내란세력을 옹호한다면 이에대한 명확한 헌법적 형사법적 책임을 지게될것이다…."]
여당 입장에서는 탄핵안 부결이 반복될 때마다 불거질 책임론이 부담입니다.
탄핵 사유가 불법적 계엄 사태인 만큼 과거 국정 농단과는 차원이 다른 여당 책임론이 불거질 수 있습니다.
여당 입장에서는 '질서 있는 후퇴'로 시간을 끌며 야당 대선 후보군들의 사법 리스크를 부각하고 차기 대선을 준비할 걸로 보입니다.
한동안 여의도는 탄핵 국면과 동시에, 윤 대통령의 퇴진 시점, 거국내각 구성, 개헌 등을 놓고 치열한 정치 협상이 진행될 텐데, 이에 따라 다음 대선 시계가 결정될 걸로 보입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김정현
오늘(7일) 윤석열 대통령은 본인의 임기를 포함해 정국 안정 방안을 여당인 국민의힘에 일임했습니다.
현재 탄핵안 표결이 진행 중인 만큼 예단은 어렵지만 탄핵안이 통과되든, 부결되든,
차기 대선 시계가 빨라지면서 변화무쌍한 정국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큽니다
이 소식은 문예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사흘 만에 침묵을 깬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대한 언급 대신 본인 임기 문제를 여당인 국민의힘에 일임한다고 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 "저의 임기를 포함하여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습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구체적인 해법은 언급하지 않은 채 '조기 퇴진'을 못박았습니다.
[한동훈/국민의힘 대표 : "대통령의 정상적인 직무 수행은 불가능한 상황이고 대통령의 조기 퇴진은 불가피합니다. (책임총리제로 가야 한다 생각하시나요?) …."]
국회 탄핵안 표결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가결이든, 부결이든, 경우의 수는 복잡해집니다.
탄핵안이 가결되면 대통령 직무 즉시 정지, 헌법재판소의 180일 내 탄핵 심리, 60일 내 대선이 숨가쁘게 이어집니다.
'벚꽃 대선'이 될 지, '여름 대선'이 될 지는 헌재의 심리 속도에 달려 있습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탄핵안이 부결될 경우 다음 대선 시기 변수는, 여의도 정치에 달리게 됩니다.
야당은 탄핵안을 거듭 발의하며 여당을 압박할 걸로 보입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계속 탄핵을 반대하고 내란세력을 옹호한다면 이에대한 명확한 헌법적 형사법적 책임을 지게될것이다…."]
여당 입장에서는 탄핵안 부결이 반복될 때마다 불거질 책임론이 부담입니다.
탄핵 사유가 불법적 계엄 사태인 만큼 과거 국정 농단과는 차원이 다른 여당 책임론이 불거질 수 있습니다.
여당 입장에서는 '질서 있는 후퇴'로 시간을 끌며 야당 대선 후보군들의 사법 리스크를 부각하고 차기 대선을 준비할 걸로 보입니다.
한동안 여의도는 탄핵 국면과 동시에, 윤 대통령의 퇴진 시점, 거국내각 구성, 개헌 등을 놓고 치열한 정치 협상이 진행될 텐데, 이에 따라 다음 대선 시계가 결정될 걸로 보입니다.
KBS 뉴스 문예슬입니다.
촬영기자:박장빈/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김정현
-
-
문예슬 기자 moonster@kbs.co.kr
문예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尹 ‘내란 혐의’ 재판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