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탄핵은 불확실성 있어…조기퇴진이 최선의 방안”

입력 2024.12.08 (18:04) 수정 2024.12.08 (20: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오늘(8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보다는 '질서있는 퇴진'이 국민과 대한민국을 위한 최선의 방안이라고 밝혔습니다.

여당과 한덕수 국무총리가 국정 수습책을 논의하겠다는 것을 두고 야당이 반발하는 데 대해선 "당이 적극적이고 세심하게 총리와 협의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동훈 대표는 오늘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 직무집행 정지 방법 중 하나가 탄핵이지만, 탄핵은 상당 기간 불확실성이 있는 채로 진행되고 그 과정에서 극심한 진영 혼란이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시기를 정하는 조기퇴진과 그 이전 단계의 직무배제는 분명한 예측 가능성을 국민과 국제사회에 드릴 수 있다"면서 "그렇기에 질서있는 조기퇴진이 더 나은 방안"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윤 대통령 직무 배제 범위에 군 통수권이 포함되는지에 대해 "마찬가지"라며 "외교를 포함한 국정(에 대한 직무배제)"라고 거듭 밝혔습니다.

한 대표는 그러면서 조기 퇴진 시기 등에 대한 당내외 의견을 여러가지 방식으로 듣고 있다고 했습니다.

오전 한덕수 총리와의 담화 발표에서 총리와 여당이 국정을 챙기겠다고 한 걸 두고 야당에서 위헌이라고 비판한데 대해선 "총리가 국정운영을 직접 챙기는 것이고, 당정간 긴밀한 협의는 그동안 있어왔다"면서 "비상시국에 당이 좀더 적극적이고 세심하게 총리와 협의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습니다.

한 대표는 그러면서 "박근헤 대통령 당시 국정농단 상황에서 우원식 당시 의원을 비롯한 민주당 의원들이 '대통령은 국정에서 손 떼고 총리에게 전권을 맡겨라'라고 했다"면서 "그때의 그 해결책을 저도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당시엔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당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이번엔 대통령이 이를 수용했기 때문에 그 조치를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오늘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사의를 윤 대통령이 면직 재가한 것을 직무행사로 봐야하냐는 질문에는 "적극적 직무행사는 아니다"라면서 "앞으로 (국무위원들이) 사퇴하는 일 있을텐데 사퇴의 경우 수동적으로 처리하는 일은 있을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 여야간 예산안 협상 등이 중단된 상황에서 추경호 원내대표의 재신임 필요성에 대해선 "예산안 협상하고 민생(을 위한) 처리 중요하다"면서 "잘 대응하겠다"고만 답했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국민의힘이 불참으로 표결을 무산시키려 할 당시 한 대표가 '편법'이라고 지적했던 발언에 대해선 "그건 재적수를 채우고 표결엔 안 들어가는 걸 두고 한 말"이라며 "특검법 자체에 대해선 들어가서 찍어야 하는 거여서 그 절차를 말한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동훈 “탄핵은 불확실성 있어…조기퇴진이 최선의 방안”
    • 입력 2024-12-08 18:04:01
    • 수정2024-12-08 20:37:57
    정치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오늘(8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보다는 '질서있는 퇴진'이 국민과 대한민국을 위한 최선의 방안이라고 밝혔습니다.

여당과 한덕수 국무총리가 국정 수습책을 논의하겠다는 것을 두고 야당이 반발하는 데 대해선 "당이 적극적이고 세심하게 총리와 협의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동훈 대표는 오늘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 직무집행 정지 방법 중 하나가 탄핵이지만, 탄핵은 상당 기간 불확실성이 있는 채로 진행되고 그 과정에서 극심한 진영 혼란이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시기를 정하는 조기퇴진과 그 이전 단계의 직무배제는 분명한 예측 가능성을 국민과 국제사회에 드릴 수 있다"면서 "그렇기에 질서있는 조기퇴진이 더 나은 방안"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윤 대통령 직무 배제 범위에 군 통수권이 포함되는지에 대해 "마찬가지"라며 "외교를 포함한 국정(에 대한 직무배제)"라고 거듭 밝혔습니다.

한 대표는 그러면서 조기 퇴진 시기 등에 대한 당내외 의견을 여러가지 방식으로 듣고 있다고 했습니다.

오전 한덕수 총리와의 담화 발표에서 총리와 여당이 국정을 챙기겠다고 한 걸 두고 야당에서 위헌이라고 비판한데 대해선 "총리가 국정운영을 직접 챙기는 것이고, 당정간 긴밀한 협의는 그동안 있어왔다"면서 "비상시국에 당이 좀더 적극적이고 세심하게 총리와 협의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습니다.

한 대표는 그러면서 "박근헤 대통령 당시 국정농단 상황에서 우원식 당시 의원을 비롯한 민주당 의원들이 '대통령은 국정에서 손 떼고 총리에게 전권을 맡겨라'라고 했다"면서 "그때의 그 해결책을 저도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당시엔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당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이번엔 대통령이 이를 수용했기 때문에 그 조치를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오늘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사의를 윤 대통령이 면직 재가한 것을 직무행사로 봐야하냐는 질문에는 "적극적 직무행사는 아니다"라면서 "앞으로 (국무위원들이) 사퇴하는 일 있을텐데 사퇴의 경우 수동적으로 처리하는 일은 있을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 여야간 예산안 협상 등이 중단된 상황에서 추경호 원내대표의 재신임 필요성에 대해선 "예산안 협상하고 민생(을 위한) 처리 중요하다"면서 "잘 대응하겠다"고만 답했습니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국민의힘이 불참으로 표결을 무산시키려 할 당시 한 대표가 '편법'이라고 지적했던 발언에 대해선 "그건 재적수를 채우고 표결엔 안 들어가는 걸 두고 한 말"이라며 "특검법 자체에 대해선 들어가서 찍어야 하는 거여서 그 절차를 말한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